-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7/08 19:41:17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냉면에 관한 잡설
냉면처럼 차가운 면 요리는 세계 어느 곳을 둘러봐도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은 아닙니다. 일본의 소바나 중국의 량몐은 실제로 차가운 요리라기보다는 뜨겁지 않은 요리로 보는 것이 맞을 겁니다. 이탈리아의 파스타 역시 근래에 들어서야 차가운 파스타면을 샐러드와 함께 먹고 있지만 주로 뜨겁게 먹는 음식이죠.  우리 역사에서 냉면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조선중기인 17세기초로 보여집니다. 당대의 문장가이자 우의정이었던 장유의 '계곡집' 에 실려있는 '자장냉면' 이라는 시에서 냉면에 대한 언급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이름만 보면 검은색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붉은 색입니다.)

높다랗게 툭 터진 집 좋다마다요, 게다가 별미(別味)까지 대접을 받다니요
노을 빛 영롱한 자줏빛 육수, 옥 가루 눈꽃이 골고루 내려 배었어라
입 속에서 우러나는 향긋한 미각, 몸이 갑자기 서늘해져 옷을 끼어 입었도다
나그네 시름 이로부터 해소되리니, 귀경(歸京)의 꿈 다시는 괴롭히지 않으리라

냉면 한그릇에 시름까지 해소되는 걸 보니 보통 음식은 아니었나봅니다. 더욱이 냉면을 별미라고 묘사한 문장을 보면 냉면이 그 당시 서민화되지 않은 귀한음식으로 보여집니다. 이 시에서 특이 한 점은 냉면 육수를 자주빛으로 묘사한 부분입니다.

조선시대에는 동치미, 참깨, 콩물, 꿀물, 오미자 등이 냉면 육수로 쓰였다고 합니다. 요즘에 꿀물 육수에 냉면을 넣어주면 어떤 반응일지 궁금하네요. 흐흐흐 
실제로 '규합총서'와 같은 조선 후기 문헌에는 국수를 오미자 국물에 말아 먹었다는 대목이 자주 나옵니다. 이런 정황을 살펴볼때 시에서 나오는 자주빛 육수는  오미자를 우려낸 육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미자 육수를 이용한 여름국수의 경우 투명한 앏은면을 주로 썼는데 붉은 국물에 녹두가루로 만든 투명한 면을 생각해보면 색감이 고와서 보기에 좋았을 것 같습니다.

  - 맛은 없을 것 같아 보이는게 함정(?)

현재 우리가 먹는 메밀국수에 동치미 국물을 사용하는 평양냉면의 경우 홍석모의 '동국세시기'에 유사한 형태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문헌으로 유추해볼때 적어도 조선후기인 19세기부터는 지금의 형태의 냉면이 존재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겠네요. 우리 문헌에 '냉면'이라는 이름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시기는 19세기 이 후부터 입니다. 본격적으로 등장하긴 하지만 서민들이 주로 먹을 수 있는 음식은 아니었지요. 메밀로 면을 만드는 과정이 워낙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다 보니 양반댁이 아니고서야 해먹기 쉽지 않았을겁니다. 

재미난 점은 냉면이 주로 양반들이 먹는 음식이다보니 기생문화와도 관련이 깊다는 것이죠. 평양, 함흥, 진주, 해주 처럼 냉면이 유명한 곳은 당대의 유명한 기생들을 배출 한 곳이기도 합니다. 냉면은 기방에서 거하게 술을 마신 뒤 시린 속을 달래주는 해장음식으로 당시에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하네요. 요즘에도 고깃집에서 마지막에 입가심으로 냉면을 말아먹는 경우가 많은데 조선시대 기방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합니다. 

1900년대 들어 냉장고의 발명과 더불어 인공적으로 얼음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냉면이 대중적인 서민음식으로 자리잡았지만 원래는 고종황제쯤 돼야 야식으로 먹을 정도로 귀한 음식이었다죠. 오늘 점심에 냉면을 먹은 김에 생각이 나서 주절주절 써봤네요. 기회가 된다면 다음엔 1900년대 이 후 냉면에 대해서 한번 써보겠습니다.  



0


    Beer Inside
    일단 면요리 자체가 귀한 음식이였지요.

    과거에는 도정기술도 변변치 않아서 쌀로 개떡을 해 먹던 시절이였습니다.
    지금과 같은 밥을 하려고 쌀을 절구에 빻아서 하얗게 하려면 얼마나 많은 노동이 필요하며 사라지는 쌀도 많았을 것이니까요.

    그런데, 밀을 하얗게 가루로 만들어서 뭉쳐서 국수를 해 먹는다는 것은 상류계층이 아니면 먹기 힘든 음식이지요.
    지금도 안동지역의 제삿상에는 국수가 올라가는데, 그 만큼 귀한 음식이였다는 증거일 겁니다.

    냉면은 얼마나 만들기 힘든 음식인가하면, 당시의 삽화인지 사진을 보면
    ... 더 보기
    일단 면요리 자체가 귀한 음식이였지요.

    과거에는 도정기술도 변변치 않아서 쌀로 개떡을 해 먹던 시절이였습니다.
    지금과 같은 밥을 하려고 쌀을 절구에 빻아서 하얗게 하려면 얼마나 많은 노동이 필요하며 사라지는 쌀도 많았을 것이니까요.

    그런데, 밀을 하얗게 가루로 만들어서 뭉쳐서 국수를 해 먹는다는 것은 상류계층이 아니면 먹기 힘든 음식이지요.
    지금도 안동지역의 제삿상에는 국수가 올라가는데, 그 만큼 귀한 음식이였다는 증거일 겁니다.

    냉면은 얼마나 만들기 힘든 음식인가하면, 당시의 삽화인지 사진을 보면
    국수틀에 장정 두명이 매달려서 국수틀을 누르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당시 장정의 몸무게가 대략 50kg정도 되었을 것이니 지금에 비하면 엄청나게 힘든 일이였지요.
    (한식 대첩에 그 당시의 국수틀을 가지고 나온 팀이 있었는데, 쇼가 아니라면 할 수 없는 일이 였을겁니다.)
    냉면 한 그릇 먹자고 하루 종일 육수 만들고, 메밀을 맷돌에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서 반죽하고,
    장정 두명이 국수틀에 매달려서 국수를 만드는 장면을 상상해 본다면,
    왕이 아니면 먹기 힘든 음식인 것이 당연하지요.

    20세기 이전의 조선땅에는 기생집 말고 요리를 파는 집이 없었을 겁니다.
    심지어 1970년대 까지도 청요리집, 일식집을 제외하고는 요정에서 한정식이라는 요리를 팔았으니까요.

    자장냉면은 아니지만, 한 때 \'호면당\'에서 오미자물 육수를 한 냉면에 가까운 음식을 출시한 적이 있습니다.
    면이 소면은 아니였던 것으로 기억이 되니까요.

    맛은 다시 먹고 싶은 맛은 아니였습니다만, 별식으로 먹는다면 먹을 만 할 것 같기도 합니다.
    마르코폴로
    한반도에는 밀자체가 귀했죠. 고려시대까지는 왕족급의 고위귀족 아니면 밀로 만든 면요리를 먹기 쉽지 않았을겁니다.
    그러니 메밀을 사용해서 면을 만들었는데, 이 메밀이란 것이 찰기가 없다보니 덩치좋은 장정이 용을 쓰고 반죽을 해야 면으로 만들 정도가 된다더군요.
    도정 과정도 멧돌로 다섯번에서 여섯번은 갈아야 할 정도로 손이 많이 가기도 하고요.
    이것 저것 따져보면 반가에서나 먹을수 밖에 없는 음식인 것 같습니다.
    시중에 오미자 육수로 된 냉면이 나왔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네요. 시큼한 맛 때문에 먹기 힘들 것 같은데요. 흐흐흐
    Beer Inside
    맛이 없다기 보다 적응이 되지 않는 맛이였지요.

    녹차에 밥을 말아 먹기도 하니, 홍차에도 밥을 말아먹을 수는 있는데.... 왜? 하는 그런 느낌이 드는 맛이였습니다.

    http://blog.daum.net/drstone/6014452

    오미자냉면을 먹은 후기입니다.

    당시 이런 괴식을 만든 이유가 무엇일까 고민을 했는데, 전통을 재현한 것이였군요.
    최종병기캐리어
    먹어봤어요.

    기본적인 느낌은 냉국에 국수사리 넣은듯한 느낌입니다만, 그보다 덜 새콤하고, 덜 짜면서도(면에 있는 간말고는 국물에 간을 안하는듯합니다.) \'면\'의 맛이 더 강하게 느껴집니다. 그러면서도 뒷맛은 오미자차 특유의 시콤함과 살짝 단맛이 남아서 청량감을 주구요. 그리고 간간히 씹히는 잣이 별미가되어줍니다.

    영 나쁘지는 않았는데 식사로 먹기에는 뭔가 가볍고, 더운 여름날 열대야로 잠이 안올때 후루룩 말아먹으면 괜찮겠네..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Beer Inside
    동지가 여기 있었군요.

    동감입니다.
    마르코폴로
    설명을 맛깔나게 하셔서 한번 먹어보고 싶네요.
    마르코폴로
    솔직한 후기가 인상적인 블로그네요. 흐흐흐
    西木野真姫
    경상도 생활이 길어지다 보니 요즘에는 냉면보다 밀면이 더욱 끌리고 있습니다...
    후속편 기대하겠습니다.
    마르코폴로
    밀면은 한번도 못 먹어봤어요. 부산친구들은 별거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던데 쿨하게 나오니 더 먹어보고 싶더라고요.
    Beer Inside
    밀면은 남쪽의 강한맛이 나타나는 음식이지요.

    밀면과 서울식 냉면의 그 중간 쯤에 대구 냉면집이 있습니다.
    밀면 한번도 안 먹어본 사람으로 밀면은 한번 먹어보고 싶네요.
    가끔 밀면이 어떤 맛일까 상상을 하기는 하는데 감이 안 오기는 하네요. 시간 날때 부산이나 한번 갔다와야할듯^^
    파란아게하
    면 성애자여서
    여름엔 냉면 콩국수가 거의 주식입니다.
    잘 읽고 갑니다~
    마르코폴로
    전 둘 중 하나를 고르라면 콩국숩니다. 정말 완벽란 음식같아요.
    파란아게하
    크크크 콩국수는 진짜 제 애인
    사계절 먹으라고
    따뜻한 콩국수도 나와요 오예
    마르코폴로
    전 소금,설탕 다 거부하고 순정 콩국수를 즐깁니다. 겉절이는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괜찮고요.
    파란아게하
    억 저돈데크크
    여름엔 콩불려 콩국 만들어서
    라면먹듯 수시로 먹어댑니다.
    마르코폴로
    만들어드시는걸 보니 진정한 성애자시군요. 전 먹는것만 잘하는 쓸모없는 인간입니다. 흑
    스타로드
    두 분 이쁜 사랑하세요~
    솔지은
    저는 김치말이냉국수!
    저 자장냉면은 그냥 그릇째 들어 후루룩 마실 수 있을 것 같은 비주얼이네요.
    마르코폴로
    색이 참 곱긴하죠. 흐흐흐
    면 좋아요!!
    마르코폴로
    저도 좋아합니다.
    이번엔 거짓이 아니라구요.
    캡틴아메리카
    냉면보단 밀면
    배고프네요 ㅠㅠ

    저는 경상도에서 나고 자라다 서울로 와서 아무래도 냉면을 쉽게 접하다보니 밀면이 먹고 싶습니다.
    저는 부산식 밀면보단 진주식 밀면을 더 좋아하고요.
    이 시간에 진짜 배고프네요.ㅠㅠ
    마르코폴로
    부산식 진주식이 따로 있는건 처음 들어보네요. 밀면하면 부산이라고만 생각했어요.
    진주가 좀 색다릅니다. 언제 기회 닿으시면 한번 드셔보세요.
    촉석루 근처에 괜찮은 집들 여럿 있어요.
    안동에 가면 안동식혜라고 식혜와 나박김치를 섞은 듯한 맛의 음료(?)가 있는데 색이 저렇게 빨갛죠. 안도현시인이 자신의 시에서 처녀가 월경한 핏자국을 빨아낸 물색이라고 했던... 처음엔 이게 뭥미 하는 맛인데 먹다보면 중독됩니다. 손이 많이 가는 양반음식이죠. 저는 냉면은 파스타에 댈것이 아닌 만들기 어려운 음식이라고 생각해요.
    Beer Inside
    안동식혜... 미장원에서 머리자르다가 한모금 얻어먹은 기억이 납니다.

    식혜에 왜! 김칫국물을 썩어 마시나... 하는 생각이 드는 음료였지요.
    헐... 그 귀한걸 서비스하는 미용실은 어디랍니까... 그게 얼마나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인데요.
    Beer Inside
    동네미장원이지요.
    마르코폴로
    등잔밑이 맛있다?
    돌아가신 할머니가 마지막 한 10년 전까지는 매년 만들어 주셨는데... 식혜 먹으면 단술(일반적 식혜) 먹고 싶고, 단술먹으면 식혜를 먹고 싶은.. 이상한 일이.
    못먹어 본지도 15년이 넘어가는군요. 이렇게 사장 될 음식은 아닌데..
    안동에 가면 상품화된것도 팔아요. 먹어봤는데 괜찮더라고요. 나중에 제 손님께 파스타를 드신후 안동식혜를 낼 작정입니다. 엄청 좋아하기도 하고 정성이 많이 들어간 좋은 음식인데다 소화를 돕거든요. 할머니가 해주신 식혜에 대겠습니까만...
    아케르나르
    자장냉면은 비주얼이 수박즙에 수박을 잘 썰어서 사리로 올린 거 같이 빨갛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2 요리/음식한국식 파스타는 왜 맛이 없을까? 14 마르코폴로 15/08/25 12946 1
    831 요리/음식유툽삼매경 - 중국 Changhai 스트릿푸드 5 눈부심 15/08/23 4987 0
    769 요리/음식더운 여름에 마셔볼만한 값싸고 시원한 화이트와인 11 마르코폴로 15/08/11 9610 0
    704 요리/음식지금은 사라진 서양식 젓갈, 가룸 15 마르코폴로 15/08/02 18264 0
    695 요리/음식'내 마음은 항상 깔롱에 있소' - 샤또 깔롱 세귀르 8 마르코폴로 15/08/01 7439 0
    672 요리/음식'폴 로저' - 처칠이 사랑한 와인 13 마르코폴로 15/07/28 7586 0
    667 요리/음식연인 혹은 아내에게 선물하기 좋은 의미를 가진 와인(~3만원이하) 24 마르코폴로 15/07/27 11697 0
    628 요리/음식콩국수, 서민음식과 양반음식의 하이브리드 33 마르코폴로 15/07/21 8629 0
    605 요리/음식이연복셰프의 라면 직접 만들어먹은 후기 6 피아니시모 15/07/17 6993 0
    564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5) - 마지막 이야기 46 뤼야 15/07/11 10048 0
    548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4) - 토마토소스만들기 29 뤼야 15/07/09 10890 0
    544 요리/음식냉면에 관한 잡설 35 마르코폴로 15/07/08 10445 0
    539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3) 20 뤼야 15/07/08 8874 0
    536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2) 24 뤼야 15/07/07 7670 0
    529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 38 뤼야 15/07/07 8920 0
    513 요리/음식저는 음식을 가리지 않는 편입니다. 한국음식 중에선... 14 이젠늙었어 15/07/05 919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