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7/20 15:05:32
Name   벤젠 C6H6
Subject   (+정보 추가) 문과/이과의 구분과 2018 문/이과 통합


(Isaac Newton의 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

문과/이과 둘 중 하나라고 딱 정할 수 없는 영역들이 있어요.

1. 언어학과 :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인간이 언어를 어떻게 이해하고 또 산출하는지 그 신경 메커니즘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생물학적 지식도 있어야 하고, 또 논리적으로 언어와 그 언어의 구조/의미를 분석해야 할 때도 있으므로 논리학 및 기타 등등을 알아야 하고, .. 그런데 또 때때로는 국문과 등등과 공유하는 영역도 조금 있고 그들과 협력해서 연구를 해야 하는 경우도 많은지라 흠

2. 심리학과 : 심리학은 인간과 동물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그래서 이과적인 접근도 쓰이는데 또 이 학문이 또 문과적인 접근도 역시 무시할 수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심리학에는 하위분과가 여럿 있는데 그 중 어떤 과인지에 따라 이과에 더 가까운 과도 있고, 문과에 더 가까운 과도 있다고 들었어요.

그 외에도 통계학과, 경제학과, .. 등등 문과/이과 중에 딱 어느 쪽이라고 단정지어 말하기 힘든 영역이 꽤 많습니다.

저는 솔직히 수학에 대해서.. 수학이 그 논리체계의 구성이 약간 문과틱한 영역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건 너무 과격한 주장인가요..

2018 고등학교 1학년부터 문/이과 통합한다
http://www.insight.co.kr/newsRead.php?ArtNo=106200

2018년도 고등학교가 문/이과가 통합된다고 하는데, 여기에 대한 정보를 아무리 찾아도 위 기사 정도 이상으로는 그 디테일이 잘 나오지 않는군요. 아무튼 이 역시 문/이과로 딱 나누는 것에 反하는 움직임이 아닌가 싶습니다.

정말 여기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지만, 혹시 이 글의 리플로 좋은 의견 제시 및 정보 수집 및 토론의 장을 열 수 있지 않을까(= =;;) 해서 글을 써봅니다.

-----
(+ 2018 고교 문/이과 통합에 대해 정보 추가.)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boardSeq=62381&lev=0&searchType=null&statusYN=C&page=3&s=moe&m=030201&opType=N

위 링크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 응답 자료.hwp라는 파일에 2018 고교 문/이과 통합 관련한 내용이 상세히 나와있습니다. 그 중 몇몇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들만 요약 제시하면

- 단편지식보다 핵심개념과 원리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개편
- 학생의 발달 단계와 국제적 기준을 고려한 학습량의 감축 및 적정화
- 토의·토론, 실험·실습 등등 학생들의 직접 참여를 중시
- 과정 중심의 평가

- 기초적인 소양 및 역량의 함양을 위해 공통 과목 이수, 학생의 다양한 진로를 고려해 선택 과목 이수
- 공통 과목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으로 구성됨
- 선택 과목은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음. 일반 선택은 고교 단계에서의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과목, 진로 선택은 융합학습/진로안내학습/실생활체험학습 등 자신의 진로에 맞추어 심화된 학습임.

- 필요한 해당 교과(군)의 최소이수단위가 있음
- 일반 선택의 기본 이수단위는 5단위이며, 2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이 가능
- 진로 선택의 기본 이수단위는 5단위이며, 3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을 허용
ex> 국어 교과의 필수이수단위는 10단위이다. 우선 공통 과목인 '국어'는 8단위로 이를 무조건 이수해야 하고, 그 나머지 2단위를 개인의 진로나 적성에 따라서 추가로 일반 선택 혹은 진로 선택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게 된다.

- 문학 교육을 이론이 아닌 감성과 소통 중심의 학습으로 전환
- 소프트웨어(SW) 교육을 강화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18학년도 1학년부터 적용되며, 이에 따른 수능은 2021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적용됨.
- 개정된 교육과정에 맞추어서 개편되는 수능의 세부적인 사항은 2017년에 확정 발표



0


    벤젠 C6H6
    오해를 막기 위해서 : 과학이라고 꼭 이과의 영역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자연과학이야 이과의 영역이지만..
    유리소년
    요즘 연구할때 과학적/통계학적 방법론 안쓰는 학문이 있기는 할까요? 문학 정도?
    과학적 방법론을 쓰는지 안쓰는지 여부로 문과/이과 나누는건 고등학교 레벨까지만 정합적인 기준이지요
    벤젠 C6H6
    그러게요. 과학적/통계학적 방법론을 안 쓰는 영역이 거의 없을텐데 문/이과 구분이 의미가 있을까 싶어요.

    그리고 똑같은 이과라도 자연과학과 공학은 완전 그 분위기도 다르고.. 똑같은 문과라도 문사철과 사회과학쪽과 전혀 다른 것 같은데..
    일리지
    문과 이과를 나누는 기준에 대해 논의해보자는 글인건가요?
    벤젠 C6H6
    1. 문/이과를 나누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
    2. 앞으로 있을 문이과 통폐합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의견 교환

    등등 여러가지를 대충 묶어서 논의하자는(..) 굉장히 성의없는 글입니다. 성의있게 쓰고 싶었는데 자료가 없어서..
    일리지
    제가 문과인데도 독해력이 떨어져서 여쭤봤습니다..ㅠ
    벤젠 C6H6
    제가 글을 못 쓴 거죠..ㅠㅠ
    Beer Inside
    문이과 통폐합이라고 하지만, 아마도 향우 고등학교 교육은 기본교육,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심화교육, 가고 싶은 대학에서 원하는 과목을 미리 수업받는 선수학습 등으로 나뉠 것 같습니다.

    공학이나 물리학과를 가고 싶다면 고등학교에서 수학심화교육 상위권 대학은 미적분학, 선형대수학은 선수과목으로 정하는 방식이 될 것 같습니다.
    벤젠 C6H6
    문이과 통폐합의 방향이 그렇게 되나요? 어째 아무리 찾아봐도 정보가 없어서요 = =;;
    Beer Inside
    지금 교육의 방향이 그렇게 되어 가고 있지요.

    지금 학교의 교실이 많이 남아서 갈수록 이동식 수업이 늘어나고 수준별 교육이 늘어나게 될 겁니다.

    문이과 통폐합, 수능이 아니 수시 위주의 교육으로 간다면....

    좋은 대학은 의대나 생화학쪽은 생물, 화학을 심화교육 받은 사람으로 지원 자격을 제한할 수 있겠고, 공대나 물리 수학쪽은 수학, 물리학 심화교육을 받은 사람으로 지원자격을 제한할 수 있겠죠.

    그리고 대학갈 생각이 없거나 능력이 되지 않는 학생들은 기본 교육과정만 마치는 것으로 하고...
    벤젠 C6H6
    학교에서 1반의 학생수가 적어지고 교실들이 많이 남는 것이 수준별 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은 같았어요.

    학과가 문/이과로 딱 구분할 수 없는만큼, 이런 방향이 옳은 것도 같고요..
    레지엔
    교육과정 개편 관련자료가 있습니다.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은 아마 2016년쯤에 나와있지 싶은데, 예전에 본 기억으로는 일반 파트, 심화 파트로 각 과목을 나누고 심화 과목을 시수에 맞춰서 선택하는 형태로 개편하는 계획일겁니다.
    벤젠 C6H6
    뉴스라든지 이런 데에만 돌아다녀봤는데, 교육부에 들어가면 있을까요?
    레지엔
    그러겠죠?
    벤젠 C6H6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boardSeq=62381&lev=0&searchType=null&statusYN=C&page=3&s=moe&m=030201&opType=N

    여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 응답 자료.hwp
    가 있네요.

    쭈욱 봤는데, 여기에 써 있는 항목만으로는 괜찮아 보이는군요. 제가 예전부터 생각했던 좋은 교육의 방향이긴 한데, 음..
    레지엔
    문이과 구분 자체가 시대의 특성을 반영해서 그런 것이죠. 말씀하신대로 수학은 엄밀하게는 이과도 아니고 문과도 아니고, 수학적 방법론이 적극적으로 채용된 다른 학문(통계학, 회계학, 경제학... 어째 다 재화를 건드리는 기분인데)도 '수학 싫어서' 문과갔던 애들 피보게 하는 전공이죠. 의학의 경우도 이게 이과로 분류되는 것은 기본 원리가 자연과학에 기반을 두기 때문이지, 의료 현장에 밀접하고 커리큘럼에서 절대다수의 시간을 차지하는 임상의학은 문과도 이과도 아닙니다. 더군다나 사회과학계열 학문의 '과학화'가 진행된 것도 이제 세기를 논... 더 보기
    문이과 구분 자체가 시대의 특성을 반영해서 그런 것이죠. 말씀하신대로 수학은 엄밀하게는 이과도 아니고 문과도 아니고, 수학적 방법론이 적극적으로 채용된 다른 학문(통계학, 회계학, 경제학... 어째 다 재화를 건드리는 기분인데)도 '수학 싫어서' 문과갔던 애들 피보게 하는 전공이죠. 의학의 경우도 이게 이과로 분류되는 것은 기본 원리가 자연과학에 기반을 두기 때문이지, 의료 현장에 밀접하고 커리큘럼에서 절대다수의 시간을 차지하는 임상의학은 문과도 이과도 아닙니다. 더군다나 사회과학계열 학문의 '과학화'가 진행된 것도 이제 세기를 논할 수준이라 고전적인 문이과 분리는 상당히 시대착오적인 부분이 많죠.
    문제는 한국은 선택과목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어려운 교육환경에 있고, 그 점에서 그나마 문이과 분리제도가 기능을 하고 있던 상황이라 문이과 분리제도의 폐지가 오히려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내신/학적부 중시의 평가제도는 역으로 선택과목제가 학생 변별력을 극도로 망가뜨리도록 만들 수도 있죠.
    벤젠 C6H6
    수학은 그냥 '언어'에 가깝지 않나요.
    한국어는 모국어, 영어는 제1외국어, 수학은 자연의 언어..

    저는 통계학, 회계학, 경제학.. 등등이 문과인지 이과인지 구분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고, 의학도 같은 이과로 분류되지만 그게 다른 이과인 학과와 함께 묶이는 것도 굉장히 이질적인데..

    수학과 과학이 안 쓰이는 학문이 몇이나 되나 싶기도 하고요.


    선택과목제를 도입하기 어려운 이유와 예상되는 악영향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지금의 고교 현실도 모르고(졸업한지 몇 년이 되었는데..ㅠㅠ), 2018 문이과 통합에 대한 자료를 못 찾겠어요 = =;;
    레지엔
    수학은 외국어지만, 여타 인간 세계의 외국어와 습득 과정도 이해 과정도 필요한 재능도 다르니까요. 수학이 언어라는 건 프로그래밍 언어와 결국 같은 맥락인데, 언어의 정의와 조건을 만족하기에 언어라고 부르는 것이지 교육과정에서 언어처럼 가르치면 된다는 걸 의미하지 않습니다.
    선택과목제를 도입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건 너무 방대해서 요약이 안되는데... 기본적으로 한국 교육의 기조와 소비자들의 심리는 '저 잘사는 집 애도 우리 애도 같은 교육을 받고 같은 결과를 내야 한다'라는 점에 있다는데에서 출발합니다. 선택과목제는 이 부분을 거스르고, 실질적으로도 집안에서 학습 피드백 등의 백업이 용이한 애들만이 그 수혜를 제대로 받고 나머지는 '제대로 배우지도 못하고' 사회로 내몰리는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벤젠 C6H6
    수학교육에 대한 접근 방법은 인간의 언어의 교육에 대한 그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차원이긴 하죠..

    한국 교육의 기조와 소비자들의 심리가 이제 많이 변하지 않았나요. 다른 애와 다른 교육을 받기 위해서 유학도 가고, 특목고도 보내고 그런 것 같던데..

    선택과목제를 하면 가정 내에서의 학습 피드백의 비중이 더 커지는 건가요?
    레지엔
    변한 건 없습니다. 내 애가 이득볼 상황이면 방조하고 싶지만 피해는 절대로 보고 싶지 않다라는 건 인간의 본성이라서요. 저 기조는 현실적으로 교육 방임을 하면 경제적 격차가 학업 격차로 직결되고 이게 한국 사회에서 문제가 될 것이다라는 원칙에서 출발하고...
    선택과목제를 하면 학부모의 역할이 좀 더 중요해집니다. 어떤 과목을 고르는게 유리할지, 각 과목에 대해서 최적 학습법은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이런 부분에서 학교는 사교육을 절대로 따라갈 수 없거든요.
    벤젠 C6H6
    선택할 것이 많아질 수록 그 선택에 필요한 자료들이 많아지고, 그러면 결국 그 자료들을 모으고 또 최적화된 판단을 내리는 데에 도움을 줄 학부모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것 같아요.

    그러고보니 공교육이 왠지 일을 벌려놓기만 하고 수습을 못 할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글의 의도를 잘 모르겠지만, 소위 '문과' 학과 들어가서 소논문 하나만 써보셔도 위에 말씀하신 "과학적" 방법론 안 쓰는 과를 찾기 어려우실 겁니다.
    소맥술사
    22222222 정치학 사회학도 다 구조방정식 쓰는 판국이라...
    벤젠 C6H6
    논문 안 쓴 사람인데도 압니다.
    따라서 "과학적 연구" 라는 수식어는 문이과를 구분하는 데 크게 중요하지 않고, 말씀하신 학문들 또한 다른 학문들보다 이과적 특성을 띄고 있다고 강조될 이유가 없다는 말씀입니다.
    벤젠 C6H6
    뭔가 글을 잘못 쓴 것 같군요 ㅠㅠ 흐음..
    단과대 중에 사회과학대는 다 인문학적인 주제를 '과학적'으로 다루지요.
    벤젠 C6H6
    네. 본문에서 표현을 잘못 한 것 같습니다. 자연과학이라든지 생물학이라든지 이렇게 구체적으로 용어를 지칭해서 글을 썼어야 했는데.. ㅠㅠ
    문/이과 구분은 고교 교육과정의 편의상 분리시킨 것이지 각 단과대의 성격의 차이가 생기는 지점과는 거리가 멀죠. 사실 각 단과대의 분리도 학적 대상에 따른 분리일 뿐이고 분과 내에서의 연구 방법론은 지들이 알아서 좋다고 생각하는 걸 가져다 쓰는 것이지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요. 결국 문/이과 프레임으로 학문을 나누는 건 행정적 편의에 의한 구분이 실제 학계의 양상을 대변한다고 보는 이상한 편향을 낳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솔직히 고교수준에서 문/이과 선택의 고유한 효과가 학자로서 한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더 보기
    문/이과 구분은 고교 교육과정의 편의상 분리시킨 것이지 각 단과대의 성격의 차이가 생기는 지점과는 거리가 멀죠. 사실 각 단과대의 분리도 학적 대상에 따른 분리일 뿐이고 분과 내에서의 연구 방법론은 지들이 알아서 좋다고 생각하는 걸 가져다 쓰는 것이지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요. 결국 문/이과 프레임으로 학문을 나누는 건 행정적 편의에 의한 구분이 실제 학계의 양상을 대변한다고 보는 이상한 편향을 낳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솔직히 고교수준에서 문/이과 선택의 고유한 효과가 학자로서 한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작다고 보고 있습니다. 배우는 내용 자체가 문과든 이과든 그다지 대단찮은 것들이라; 오히려 해당 선택을 하게 된 각 개인들의 내재된 성향차이와 진학하게된 학부의 성격이 훨씬 강력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지극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문/이과 출신이라는 레이블은 개개인의 학습자로서의 특성과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할 확률은 높지만 인과관계를 설정하기엔 그다지 좋은 지표가 아니라는 것이죠.
    벤젠 C6H6
    [오히려 해당 선택을 하게 된 각 개인들의 내재된 성향차이와 진학하게된 학부의 성격이 훨씬 강력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지극히 높다]는 말씀에 공감이 가요. 인과관계를 그렇게 설정하는 게 맞을 것 같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97 IT/컴퓨터최초의 웹브라우저 Mosaic 이야기 22 블랙자몽 16/03/30 5110 4
    2141 정치이태원 맥도날드 살인사건 범인 징역 20년 선고 7 블랙자몽 16/01/29 5354 0
    625 정치'농약 사이다' 피의자 수상한 행적…영장에서 낱낱이 드러나 6 블랙자몽 15/07/21 6040 0
    526 경제그리스 국민투표 반대 결정, 뱅크런 가속화 15 블랙자몽 15/07/06 8455 0
    1704 방송/연예2015년 오리콘선정 일본 여자 연예인 TOP 10 7 블랙이글 15/12/04 7860 0
    1536 문화/예술모 웹툰의 디테일과 배경 수준 10 블랙이글 15/11/12 14715 0
    1508 방송/연예아이유 사태에 대한 관련 트윗들 12 블랙이글 15/11/09 7708 0
    1470 꿀팁/강좌파이어폭스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활성화하기 2 블랙이글 15/11/05 10449 0
    1439 기타뷰티풀 군바리의 주제 11 블랙이글 15/11/03 17888 0
    1435 꿀팁/강좌파이어폭스에서 각종 게시판에 한글 글쓰기 할때 에러 해결법 11 블랙이글 15/11/03 10892 4
    1377 기타질럿 못뽑는 플토vs저글링 못뽑는 저그 9 블랙이글 15/10/30 9467 0
    1343 기타기수열외... 현실은 픽션보다 더 끔찍하다. 67 블랙이글 15/10/26 12605 0
    1324 문화/예술한국의 덕후들을 위한 서브컬쳐 성지들 22 블랙이글 15/10/23 27713 4
    636 정치경찰 "녹색번호판 마티즈 재연 실험... CCTV선 흰색으로 12 블랙이글 15/07/23 8028 0
    565 음악디시, 루리웹 애갤 선정 애니음악 베스트 50 7 블랙이글 15/07/11 10881 0
    510 정치연평해전 박동혁 병장 부모님 다큐 7 블랙이글 15/07/04 10950 0
    492 정치여당 시트콤 (부제 콩가루 집안) 27 블랙이글 15/07/02 7173 0
    490 기타네네치킨 페이스북 일베 논란 48 블랙이글 15/07/01 11248 0
    441 기타강레오 "평범한 김치찌개 왜 TV에서..." 백종원도 저격? 20 블랙이글 15/06/26 8418 0
    175 기타새누리당사 무료 배포 잡지 28 블랙이글 15/06/02 9562 0
    783 기타삼국전투기의 캐릭터 도용 문제에 대해서... 5 블랙이글 15/08/12 6892 0
    235 기타적금 만기된 사연 15 블랙밀크티 15/06/06 8752 0
    182 기타3년차 회사원의 고민과 걱정 12 블랙밀크티 15/06/02 8653 0
    5108 경제한중 통상마찰은 '소통'의 문제 1 블라스트 17/03/08 3672 0
    5096 영화신고지라 개봉에 맞추어 2 블라스트 17/03/07 362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