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5/30 08:19:03 |
Name | DEICIDE |
Subject | 살아오며 가장 부끄러운 일에 대하여 |
안녕하세요. 저에 대해 아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모르는 분들도 있을것이기에 홍차넷에 가입인사겸 제 잘못을 돌아보는 글로 자기소개를 할까 합니다. 저는 pgr에서 아이디 중복가입으로 이중이 짓을 하다가 발각되어 도망치듯 사이트를 떠난 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에게 pgr은 참 소중한 곳이었고 그곳에서 많은 것을 얻고 또 주고싶은 곳이었는데, 제가 그 모든것을 스스로 불구덩이에 밀어넣어 버렸죠. 제 인생에서 가장 부끄러운 일입니다. 하나의 인터넷 사이트이지만, 저의 정체성과 인격이 깊이 담겨있던 곳이었고, 제 추함의 밑바닥까지 확인할 수 있었던 일이었습니다. 이중이짓에 대해서 더 말씀을 드려야겠네요. PGR에 가입한건 정말 오래되었지만, 이중이짓을 시작하고 발각되어 탈퇴까지는 불과 한두달 남짓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닉네임을 졸렬로 지은것도 제 졸렬한 인격을 스스로 알기 때문이었을까요. 그렇게 키배를 즐기는 성향은 아니었지만, 언제부터인가 가시돋힌 말에 대해 가시돋힌 말로 반박하고 싶었고, 그러기에는 오랜시간 함께해왔던 알량한 제 이미지를 지키고 싶었습니다. 그게 제가 이중이짓을 한 밑바닥 이유였죠. 가면을 바꿔가며 활동하는건 사실 재미있었습니다. 아마 본닉으로 댓글을 달고 세컨으로 지지댓글을 다는 추한짓도 했던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또 너무 티는 내지 말아야지 하는 교활함도 있었죠. 그리고 오랜시간의 경험에 비추어 규정을 줄타기하며 가시돋친 말을 세컨닉으로 쏟아냈죠. 그러다보니 새 닉네임으로는 벌점도 꽤 받았어요. 하지만 그게 오래가지는 못할거라는걸 알았어야 했죠. 발각되는 순간은 제 온몸에서 식은땀이 쏟아져내렸고 저는 더 생각할 틈도 없이 황급히 탈퇴단추를 눌렀죠. 처음 생각한건 현실부정이었습니다. 이런 사이트 따위 탈퇴하면 그만이지 뭐. 신경쓰지마. 하지만 이미 제 스스로 제 인격의 추한 몰골을 확인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었습니다. 저는 정말 몹시도 괴로웠고, 잠못들고 부끄러움에 몸서리치는 일이 많았습니다. 내가 그 번지르르한 가면을 쓰고있었지만 이정도밖에 안되는 인간이구나 해서요. 공교롭게도 그 때, 그 죄스런 마음을 누구에게라도 사과하고 싶어, 이미 탈퇴해서 pgr에 글은 쓸 수 없고, 운영진 한 분에게 죄송하다는 사과메일을 드렸던게 Toby님이었네요. 별 말 없이 제 앞날에 좋은일 있기를 기원해주셨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나마, 그 한사람에게라도 한 사과가 제게는 조금이나마 양심의 가책을 덜수 있었던 일이었습이다. Pgr에 언제 한번은 사과해야겠다. 무서운 조롱이 쏟아질수도 있겠지만 매듭은 지어야겠다는 생각을 가진채 시간이 꽤 흘렀습니다. 사실 솔직히 고백하면 최근 다시 pgr을 가입해서 조용히 활동하고 있긴 합니다. 그 향수를 못잊고, 결국 또다른 가면을 쓰고 말이죠. 그래서 홍차넷이 생긴것도 알 수 있었던거죠. 하지만, 이 곳이 생긴것을 안 이상 조만간 탈퇴할 생각입니다. 더 이상 속이는 짓은 못할 짓이겠더라고요. 홍차넷에 가입하며 이 글을 쓰는 심정은 복잡하기도 하고 오묘하기도 합니다. 많은 분들이 pgr에 계시던 분들이므로 사과하고 싶고, 그럼에도 여기는 pgr이 아니므로 비겁해보이기도 하네요. 부족한 저에게는 그나마 고백과 술회를 할수있는 적당한 장소인 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당시에 pgr에서 물의를 빚었던 일에 대해, 그곳에 계셨던 분들에게 사과드립니다. 제가 이 닉네임을 달고있는한 그 추한일은 꼬리표처럼 따라다닐 것 같습니다. 그러나 새로 시작하는 이 곳에서, 저도 조금은 더 진솔한 얼굴로 정직하게 제 자신을 마주하고 싶어 이러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홍차넷의 번영을 기원하며, 다들 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 14
이 게시판에 등록된 DEICIDE님의 최근 게시물
|
\'졸렬\' 닉네임과 자주 부딛쳤던 한 사람이자 DEICIDE님의 소설을 재밌게 읽었던 한 사람으로서 그 날의 충격은 지금도 기억이 납니다. 당시엔 실망이 컸고 비웃음도 나왔습니다만 어쩌면 저와 DEICIDE님의 차이는 해서는 안될 일에 대한 욕망을 실행에 옮겼느냐의 여부일 뿐이라는 생각 역시 들어 저 자신을 돌아보게 되기도 했었습니다.
모든 것이 발각되고 떠나버렸던 사람의 입장에서, 굳이 다시 돌아와 과거를 고백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었을까 생각하면 이 글에 담긴 글쓰기버튼의 무게가 느껴집니다. \'그들이 오다\'가 ... 더 보기
모든 것이 발각되고 떠나버렸던 사람의 입장에서, 굳이 다시 돌아와 과거를 고백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었을까 생각하면 이 글에 담긴 글쓰기버튼의 무게가 느껴집니다. \'그들이 오다\'가 ... 더 보기
\'졸렬\' 닉네임과 자주 부딛쳤던 한 사람이자 DEICIDE님의 소설을 재밌게 읽었던 한 사람으로서 그 날의 충격은 지금도 기억이 납니다. 당시엔 실망이 컸고 비웃음도 나왔습니다만 어쩌면 저와 DEICIDE님의 차이는 해서는 안될 일에 대한 욕망을 실행에 옮겼느냐의 여부일 뿐이라는 생각 역시 들어 저 자신을 돌아보게 되기도 했었습니다.
모든 것이 발각되고 떠나버렸던 사람의 입장에서, 굳이 다시 돌아와 과거를 고백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었을까 생각하면 이 글에 담긴 글쓰기버튼의 무게가 느껴집니다. \'그들이 오다\'가 쓰인 것도 어느새 10년이 지났네요. 그 때의 닉네임을 계속 사용하시는 것은 과거에 있었던 일을 잊지 않기 위함인 것으로, 그리고 굳이 잊히려 하지 않기 위함인 것으로 약간의 관심법을 곁들여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보게 되어 반갑습니다.
모든 것이 발각되고 떠나버렸던 사람의 입장에서, 굳이 다시 돌아와 과거를 고백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었을까 생각하면 이 글에 담긴 글쓰기버튼의 무게가 느껴집니다. \'그들이 오다\'가 쓰인 것도 어느새 10년이 지났네요. 그 때의 닉네임을 계속 사용하시는 것은 과거에 있었던 일을 잊지 않기 위함인 것으로, 그리고 굳이 잊히려 하지 않기 위함인 것으로 약간의 관심법을 곁들여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보게 되어 반갑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