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8/17 04:09:24 |
Name | 구밀복검 |
File #1 | 978_93_5102_490_3.jpg (39.1 KB), Download : 10 |
Subject | 전갈과 개구리 |
이솝 우화 중에 '전갈과 개구리'라는 우화가 있죠. 전갈이 강을 건너기 위해 개구리에게 승차를 부탁합니다. 개구리는 '얌마 너 독침으로 나 찌를 거 잖아 나 안함'이라고 거부하죠. 그러자 전갈은 '이 시키 빡대가리네 야 강 건너는 도중에 내가 널 찌르면 너도 죽고 나도 죽는데 내가 그런 짓을 왜함 좀 태워주셈 우야노 예까지 왔는데'라고 설득합니다. 그 말이 타당하다고 여긴 개구리는 '알겠심더 마 함 해 보입시더'하며 전갈을 등에 태우고 강을 건너기 시작하죠. 그런데 강 중간 즈음에 도달하자 예기치 않게 전갈이 개구리를 독침으로 쏘아버립니다. 개구리는 죽어가면서 '미친 놈아 여기서 날 찌르면 어캄'이라고 따지는데, 전갈의 대답이 걸작이죠. "I couldn’t help it Mr. Frog. It’s my [character]." 저는 이 이야기가 극작에 있어서 캐릭터의 본질을 지적하는 모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캐릭터, 즉 본능과 인격과 고유성, '원래부터 그런 면'이 없다면, 극의 전개는 모두 사전에 결정됩니다. 각 개인에게 외부 사건과 배경과 타인의 개입을 필터링할 내재적인 자아가 없으니, 자신에게 투입되는대로 산출하고 자극하는대로 반응할 것이고, 그러면 객관적 세계의 작용이 각자의 개성적인 반응에 따라 '굴절'되는 일이 없겠지요. 발단부터 결말까지, 기승부터 전결까지 모든 사건들이 논리정연하게 일자진행이 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자연히 선택과 결단은 사라지고 합리적 소거와 선별만이 남고요. 그리하여 오로지 필연이 지배할 뿐입니다. 모든 사건들이 '프로그래밍'된 대로 진행되겠죠. 마치 실험실에서 완벽하게 통제되는 물리화학적 현상마냥 결과가 원인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도출되는 것이죠. 따라서 극이 시작될 때 이미 극이 끝난 것과 다름이 없는 것이고, 서사는 부재하게 됩니다. 이런 세계에서는 1억 마리의 전갈이 1억 마리의 개구리의 등을 타고 강을 건널 것이고, 익사하는 이는 아무도 없을 겁니다. 논리적으로는 그래야 마땅하니까요. 그러니 어떤 이야깃거리도 있을 수가 없지요. 뒤집어 말하면, 논리적으로 해명불가능한 '캐릭터'가 우리 모두에게 존재하기에, 합리적인 인과의 연쇄인 결정론적 세계가 뒤흔들리고 그러면서 서사가 비로소 전개되는 것이죠. 이 점에서 캐릭터가 극에서 가지는 의미는 핀볼에서 '레버'나 '범퍼' 같은 장치들이 수행하는 기능과 비슷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런 장치들이 없다면 볼은 똑같은 궤도로 쏘아 올려져서 똑같은 궤도로 떨어질 것이고 똑같은 타임에 게임은 끝나겠죠. 하지만 우리 스스로도 레버를 걷어올리는 타이밍과 강도를 정확히 통제할 수 없기에, 우리의 손가락은 '원래부터 돼먹지 않았기에', 볼은 어디로 튈지 모르고 그것이 게임 양상의 무한함으로 이어지지요. 6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밀복검님의 최근 게시물
|
지하생활자의 수기 생각나네요 ㅋ
다만 이 분별에 찬 질서정연한 세계에 파멸과 환상의 분자를 혼합시키고 싶다는 단 한 가지 이유 때문에. 터무니없는 공상과 비천하기 짝이 없는 욕망을 잃지 않으려고, 단지 인간이 인간일 뿐 음표에 따라 연주되는 피아노의 건반이 아니라는 걸 스스로 확인하고 싶다는 이유 때문에. 설사 인간이 정말로 피아노의 건반에 지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것이 자연과학적으로 수학적으로 증명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인간은 뭔가 이상야릇한 짓을 저지를 것이다. 온갖 파괴와 혼돈과 고통을 궁리해 내서라도 온세계에 저주... 더 보기
다만 이 분별에 찬 질서정연한 세계에 파멸과 환상의 분자를 혼합시키고 싶다는 단 한 가지 이유 때문에. 터무니없는 공상과 비천하기 짝이 없는 욕망을 잃지 않으려고, 단지 인간이 인간일 뿐 음표에 따라 연주되는 피아노의 건반이 아니라는 걸 스스로 확인하고 싶다는 이유 때문에. 설사 인간이 정말로 피아노의 건반에 지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것이 자연과학적으로 수학적으로 증명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인간은 뭔가 이상야릇한 짓을 저지를 것이다. 온갖 파괴와 혼돈과 고통을 궁리해 내서라도 온세계에 저주... 더 보기
지하생활자의 수기 생각나네요 ㅋ
다만 이 분별에 찬 질서정연한 세계에 파멸과 환상의 분자를 혼합시키고 싶다는 단 한 가지 이유 때문에. 터무니없는 공상과 비천하기 짝이 없는 욕망을 잃지 않으려고, 단지 인간이 인간일 뿐 음표에 따라 연주되는 피아노의 건반이 아니라는 걸 스스로 확인하고 싶다는 이유 때문에. 설사 인간이 정말로 피아노의 건반에 지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것이 자연과학적으로 수학적으로 증명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인간은 뭔가 이상야릇한 짓을 저지를 것이다. 온갖 파괴와 혼돈과 고통을 궁리해 내서라도 온세계에 저주를 뿌리며 자기는 피아노의 건반이 아니라고 확신하며 자아를 주장할 것이다.... 나는 그렇게 믿는다.. 나는 그걸 보증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설사 자기가 괴로움을 당하는 한이 있더라도 자신이 인간임을 끊임없이 증명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일이란 실제에 있어 그것 한 가지 뿐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 분별에 찬 질서정연한 세계에 파멸과 환상의 분자를 혼합시키고 싶다는 단 한 가지 이유 때문에. 터무니없는 공상과 비천하기 짝이 없는 욕망을 잃지 않으려고, 단지 인간이 인간일 뿐 음표에 따라 연주되는 피아노의 건반이 아니라는 걸 스스로 확인하고 싶다는 이유 때문에. 설사 인간이 정말로 피아노의 건반에 지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것이 자연과학적으로 수학적으로 증명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인간은 뭔가 이상야릇한 짓을 저지를 것이다. 온갖 파괴와 혼돈과 고통을 궁리해 내서라도 온세계에 저주를 뿌리며 자기는 피아노의 건반이 아니라고 확신하며 자아를 주장할 것이다.... 나는 그렇게 믿는다.. 나는 그걸 보증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설사 자기가 괴로움을 당하는 한이 있더라도 자신이 인간임을 끊임없이 증명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일이란 실제에 있어 그것 한 가지 뿐이기 때문이다..
'자유의지'와는 궤가 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자유의지는 결국 합리주의/이성주의적 관념이라고 할 수 있고, 인간 이성은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본질적으로 자유롭고 독립된 것이므로 개개인이 각자 객관적/주체적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성립되는 이야기인데, 알료사님이 인용하신 <지하생활자의 수기>도 그렇듯 도스토예프스키는 논리와 이성을 불신하고 스스로 컨트롤할 수 없는 본성과 정념의 중대성을 역설했으니까요. 도스토예프스키에게 있어 과학과 논리와 이성은 쓰레기 유러피언들의 입발린 레토릭이었을 뿐으로 세상의 본질을 해명할 수 없는 것이었고, 인간은 본문의 전갈 같은 존재였죠. 보수주의자들의 대부분이 이 비슷한 전제를 받아들이고. 사실 '옥석을 고를 수 있는 이성에 근거한 자유의지'란 것은 결코 자유로 이어지지 않죠. 항상 '석'이 아닌 '옥'만 고를 테니까요.
1번이 유물론적 수정주의라 할 수 있는데, 2번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만약 자유의지에서 이성/자아/선택/주체 등을 빼고 이야기한다면 그걸 자유의지라고 할 수 있느냐-라는 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고 딱히 반박하기도 마땅찮으니까요.
뭐...요는 도스토예프스키는 인간 존재의 자유와 우연성에 대해 논한 것은 맞지만, 그 근거는 이성주의적 전통에서 언급하는 자유의지가 아닌, [인간 스스로 통제 불가능한] 내재적 본성에서 찾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습니다. 쉽게 말해, 보통 사람들이 자유의지를 가정할 땐 '세계는 혹은 나 자신은 내가 지적으로 통제할 수 있으므로 난 자유로운 존재다'라는 소망사항을 말하고 싶은 건데, 도스토예프스키는 '난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으므로 자유로운 존재다'라는 견해를 가졌으니 정반대인 셈이 되겠죠.
뭐...요는 도스토예프스키는 인간 존재의 자유와 우연성에 대해 논한 것은 맞지만, 그 근거는 이성주의적 전통에서 언급하는 자유의지가 아닌, [인간 스스로 통제 불가능한] 내재적 본성에서 찾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습니다. 쉽게 말해, 보통 사람들이 자유의지를 가정할 땐 '세계는 혹은 나 자신은 내가 지적으로 통제할 수 있으므로 난 자유로운 존재다'라는 소망사항을 말하고 싶은 건데, 도스토예프스키는 '난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으므로 자유로운 존재다'라는 견해를 가졌으니 정반대인 셈이 되겠죠.
네 뭐 인지과학적으로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죠. 2008년에 리벳 실험이 재현되면서 더 신뢰가 올라갔고..
근데 그건 어디까지나 과학적인 관점에서 스콜라철학자들이 제1원인 소급 추론하듯 궁극에 궁극까지 거슬러 올라가 래디컬하게 환원했을 때 그렇다는 이야기고, 일상에서 개별 사례나 행동이나 인격의 작동원리를 일일히 검증하고 분석할 수는 없으니까요. 예컨대 뉴런의 구조, 신경 전달 반응, 유전자 구성 등등으로 503의 행적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겁니다. 개별 행위는 아예 따지기가 어렵고, 설혹 따지고 올라간다 한들 결국은 '5... 더 보기
근데 그건 어디까지나 과학적인 관점에서 스콜라철학자들이 제1원인 소급 추론하듯 궁극에 궁극까지 거슬러 올라가 래디컬하게 환원했을 때 그렇다는 이야기고, 일상에서 개별 사례나 행동이나 인격의 작동원리를 일일히 검증하고 분석할 수는 없으니까요. 예컨대 뉴런의 구조, 신경 전달 반응, 유전자 구성 등등으로 503의 행적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겁니다. 개별 행위는 아예 따지기가 어렵고, 설혹 따지고 올라간다 한들 결국은 '5... 더 보기
네 뭐 인지과학적으로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죠. 2008년에 리벳 실험이 재현되면서 더 신뢰가 올라갔고..
근데 그건 어디까지나 과학적인 관점에서 스콜라철학자들이 제1원인 소급 추론하듯 궁극에 궁극까지 거슬러 올라가 래디컬하게 환원했을 때 그렇다는 이야기고, 일상에서 개별 사례나 행동이나 인격의 작동원리를 일일히 검증하고 분석할 수는 없으니까요. 예컨대 뉴런의 구조, 신경 전달 반응, 유전자 구성 등등으로 503의 행적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겁니다. 개별 행위는 아예 따지기가 어렵고, 설혹 따지고 올라간다 한들 결국은 '503은 그렇게 프로그래밍 된 것이고 지금까지의 모든 일은 결정론적인 일임'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데, 애초에 이쯤 되면 정치/윤리적 행위자로 503을 상정할 수가 없게 되겠죠. 무죄판결잼 ㅋㅋ 그나마 이건 현실의 대상들이고,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서사상의 인물'이 되었을 때는 더욱이 유효성을 잃을 테지요. 결국은 문학적인 의미에서 '금마는 원래 그래'라고 말할 수밖에 없는 지점이 있단 것이고..해서 모든 현상은 객관적으로는 모두 가역적인 것으로 필연이지만, 의식과 관념과 픽션의 차원에서는 인물의 본성이 환원불가능성을 획득하여 객관세계와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이어나가기 마련이고, 그게 우리에게 심미감을 주는 것이라 봅니다. 안톤 쉬거는 물리적으로는 트럭에 받혀 중상을 입는 유기물 덩어리에 불과하지만, 관객 앞에 '절대'로서 존재하지요.
근데 그건 어디까지나 과학적인 관점에서 스콜라철학자들이 제1원인 소급 추론하듯 궁극에 궁극까지 거슬러 올라가 래디컬하게 환원했을 때 그렇다는 이야기고, 일상에서 개별 사례나 행동이나 인격의 작동원리를 일일히 검증하고 분석할 수는 없으니까요. 예컨대 뉴런의 구조, 신경 전달 반응, 유전자 구성 등등으로 503의 행적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겁니다. 개별 행위는 아예 따지기가 어렵고, 설혹 따지고 올라간다 한들 결국은 '503은 그렇게 프로그래밍 된 것이고 지금까지의 모든 일은 결정론적인 일임'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데, 애초에 이쯤 되면 정치/윤리적 행위자로 503을 상정할 수가 없게 되겠죠. 무죄판결잼 ㅋㅋ 그나마 이건 현실의 대상들이고,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서사상의 인물'이 되었을 때는 더욱이 유효성을 잃을 테지요. 결국은 문학적인 의미에서 '금마는 원래 그래'라고 말할 수밖에 없는 지점이 있단 것이고..해서 모든 현상은 객관적으로는 모두 가역적인 것으로 필연이지만, 의식과 관념과 픽션의 차원에서는 인물의 본성이 환원불가능성을 획득하여 객관세계와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이어나가기 마련이고, 그게 우리에게 심미감을 주는 것이라 봅니다. 안톤 쉬거는 물리적으로는 트럭에 받혀 중상을 입는 유기물 덩어리에 불과하지만, 관객 앞에 '절대'로서 존재하지요.
저는 간단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가령 인지과학자가 <503이 자유의지를 가지고 범죄를 저질렀다는건 착각이다. 그 자유의지까지도 프로그래밍된 것이다>라고 말했을 때, 어쨌든 그 인지과학자도 자유의지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그것이 착각이라고 말한건데, 그냥 다른게 자유의지가 아니라 그 <착각인 자유의지>가 자유의지인거죠. 만약 그게 아니라면 자유의지라는 언어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버리니.. 503은 정해진대로 행동했을 뿐이라고? 응 우리는 너 처벌하는걸로 정해져있어 그대로 행하는것뿐야 하면 그만이죠.
장... 더 보기
장... 더 보기
저는 간단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가령 인지과학자가 <503이 자유의지를 가지고 범죄를 저질렀다는건 착각이다. 그 자유의지까지도 프로그래밍된 것이다>라고 말했을 때, 어쨌든 그 인지과학자도 자유의지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그것이 착각이라고 말한건데, 그냥 다른게 자유의지가 아니라 그 <착각인 자유의지>가 자유의지인거죠. 만약 그게 아니라면 자유의지라는 언어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버리니.. 503은 정해진대로 행동했을 뿐이라고? 응 우리는 너 처벌하는걸로 정해져있어 그대로 행하는것뿐야 하면 그만이죠.
장발장이 가난해서 빵을 훔친것에 사회의 책임도 있고 장발장의 환경에서는 어쩔 수 없이 빵을 훔치게끔 결정지어져 있다고 해도, 그걸 처벌하는 사회 또한 마찬가지로 그때까지 그 사회를 그런 식으로 구성하게 될수밖에 없었던 결정론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범죄자의 자유의지를 부정해도 그걸 처벌하는데는 아무 문제도 없어요. 처벌하는 시스템도 다 그렇게 처벌하도록 되어 있을 뿐이니.. 장발장 참 안됐다.. 응 징역 19년.
장발장이 가난해서 빵을 훔친것에 사회의 책임도 있고 장발장의 환경에서는 어쩔 수 없이 빵을 훔치게끔 결정지어져 있다고 해도, 그걸 처벌하는 사회 또한 마찬가지로 그때까지 그 사회를 그런 식으로 구성하게 될수밖에 없었던 결정론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범죄자의 자유의지를 부정해도 그걸 처벌하는데는 아무 문제도 없어요. 처벌하는 시스템도 다 그렇게 처벌하도록 되어 있을 뿐이니.. 장발장 참 안됐다.. 응 징역 19년.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