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7/29 10:18:51
Name   난커피가더좋아
Subject   롯데, 드라마보다 더한 현실
엊그제 증권가를 비롯한 경제계 전반에서 가장 화제가 됐던 뉴스는 롯데가 '왕자의 난' 사태입니다.

제가 구독하는 친한 애널리스트의 분석인데, 말 그대로 3줄요약까지 돼 있네요. 함 훑어보시면 재미있을 겁니다.

http://managyst.com/220434154909

요새 항상 드는 생각은 우리가 사극에서 보던 수 많은 '권력투쟁'의 양상은 사실 민주주의를 도입한 정치권 보다는 독특한 왕조시스템을 경영원리이자 지배구조로 삼고 있는 한국의 재벌에 딱 들어맞는다는 것입니다.

상왕과 함께 '명분'을 만들어 거의 집권한 차남을 치고자 하지만, 차남 역시 '예법'(여기에서는 법)과 자신만의 명분을 내세워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과 함께 이를 막아내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는 트렌디 드라마에서 비운의 주인공이 아버지 회사를 되찾는 클리셰에서 무한 반복되지요.

삼성물산때에도 그랬지만, 이번 롯데가 왕자의 난 사건을 보면서 역시나 씁쓸한 건, 그 어디에도 주주자본주의의 원칙과 자유시장경제의 합리적 룰은 보이지 않는다는 겁니다.

위에 링크를 건 애널리스트 역시 아직 '끝날때 까진 끝난게 아니다'라는 입장을 견지하네요. 물론 차남에게 많이 기울긴 했지만요. 지켜볼 일입니다.

덧붙여, 책을 하나 추천할까 합니다.

부에노 드 메스키타라는 미국 정치학 최고 석학 중 한 명인데, 이 양반은 단순히 의회, 행정부, 선거와 국가제도 분석, 혹은 국제정치질서 등의 분석을 넘어 '기업에서의 권력관계 분석'을 '정치학의 프레임'으로 하는 양반입니다.

몇 년전 국내에도 '독재자의 핸드북'이라는 이름의 책을 내기도 했지요.

실제로 그가 갖고 있는 국제정치 프레임에 따라 투자자문을 하기 위해, M&A과정에서의 주주간 권력충돌 문제에 대한 자문을 얻기 위해 그를 찾아가는 기업인이 많고 그는 한 두 시간 컨설팅을 해주고 수천만원의 돈을 받는다고 하네요.(캐부럽)

저도 업무상 필요해서 보기도 하고 이메일로 인터뷰를 한 적도 있는데, 이 양반 좀 말이 강하고 후덜덜하지만 혜안은 있어보였습니다. 괜히 석학 소리 듣는 건 아니더군요.

이상 씁쓸한 마음에 롯데가 왕자의 난 소식을 전하다가 뜬금없이 책 소개로 끝나는 글을 마칩니다.

  



0


    마르코폴로
    뜬금없지만 롯데랑 일해 본 지인이 했던 말이 기억나네요. \'구멍가게가 극단적으로 커지면 저런 형태의 기업이된다.\'
    난커피가더좋아
    롯데는 기업문화 괴상망측한거야 워낙 유명하죠. 직원들한테 짜다고 소문도 자자하고요. 제2롯데월드는 오너리스크의 또 다른 전형이고요. 그런데 이 기업이 워낙에 거대한 소비재 기업이다 보니까 불매운동도 불가능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죠. 삼성은 불매운동 가능한데(대체재가 많아서), 롯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흐흐
    솔지은
    두 형제가 가진 지분이 비슷해서 앞으로 어떻게 흘러가려나요.
    난커피가더좋아
    재벌 걱정과 연예인 걱정이 세상에서 가장 쓸데없는 짓이라지만, 감시는 필요하죠. 그리고 요런건 관전 꿀잼! 크크
    Beer Inside
    형제의 지분보다는 외가의 지분이 어떤지 더 궁금해지더군요.
    난커피가더좋아
    재미있는 포인트네요. 안 그래도 링크 건 저 애널양반과 금요일에 점심 먹기로 했는데, 혹시나 재미난 얘기 나오면 글 올리겠습니다.
    Beer Inside
    형제들은 신분이 다 노출되었지만, 일본인 아내쪽의 신분은 노출된 것이 거의 없거든요.

    일본기업들이 과거 다이묘시절처럼 씨족들이 지분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삼성도 언론은 이씨들만 주목하지만, 홍씨들의 지분도 상당하듯이 롯데도 그럴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양웬리
    개인적 소감입니다만
    내용과는 번외로 제가보기엔 애널리스트가 좀 별로 같네요.
    그리스 관련과 최근글위주로 보기로 했습니다만
    쉽고 재밌게 개그칠려고 쓰시긴 하는데 내용은 별로 없는....
    난커피가더좋아
    아 흐흐 독자의 소중한 의견을 그 양반께 잘 전달토록 하겠습니다. 안 그래도 요새 좋은 데 스카웃돼 가더니 게을러진거 같아서 한 마디 하려던 참이었거든요...흐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74 경제Has the world reached its credit limit? 11 MANAGYST 15/10/05 8170 2
    1145 경제'기업발 경제위기'론 11 난커피가더좋아 15/10/01 8898 0
    1133 경제한국형 시장경제체제 6 MANAGYST 15/09/30 11521 1
    1128 경제23년만의 새 은행 허가, 전쟁의 시작 14 난커피가더좋아 15/09/30 7610 0
    1100 경제연준의 주인은 누구일까? (주의: 정답없음) 3 MANAGYST 15/09/25 9181 2
    1094 경제연준은 작년에 돈을 얼마나 벌었을까? 10 MANAGYST 15/09/24 7811 5
    1073 경제디젤 게이트에 대한 폭스바겐의 공식 성명이 나왔습니다. 15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09/23 7856 0
    1066 경제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가 발생했습니다. 21 Beer Inside 15/09/22 7661 0
    1056 경제집은 시장리스크, 전세는 신용리스크 19 MANAGYST 15/09/22 7631 5
    1023 경제9월 FOMC회의 Review 9 MANAGYST 15/09/18 6729 0
    1017 경제버냉키 형님이 들려주는 연준 이야기 8 MANAGYST 15/09/17 7338 1
    963 경제국내 수출부진에 대한 소고 10 MANAGYST 15/09/10 4561 2
    936 경제점점 더 중요해지는 돈 버는 능력 7 MANAGYST 15/09/07 7675 0
    908 경제큐이괴담 - QE를 또! 해야 한다는 이유가 또! 나오는 이유 19 MANAGYST 15/09/04 5699 3
    710 경제롯데의 분쟁.. 현재 상황 13 Leeka 15/08/03 5625 0
    696 경제중국 증시 붕괴에 대한 폴 크루그먼의 기고문 7 기아트윈스 15/08/01 5282 0
    675 경제롯데, 드라마보다 더한 현실 9 난커피가더좋아 15/07/29 5736 0
    631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최종편) 17 난커피가더좋아 15/07/22 7431 0
    626 경제여러분의 국민연금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11 케토톱 15/07/21 6503 0
    608 경제"재벌의 승리", "기업왕조의 강화" 34 난커피가더좋아 15/07/17 7890 0
    602 경제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안 통과 외 10 kpark 15/07/17 6736 0
    600 경제경제인 사면 검토..... 18 솔지은 15/07/16 6838 0
    599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3편) 5 난커피가더좋아 15/07/16 8348 0
    591 경제국내 유료 영상시장의 판도는? 18 Toby 15/07/15 8299 0
    581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2편) 11 난커피가더좋아 15/07/13 842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