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9/30 11:10:00
Name   난커피가더좋아
Subject   [분노주의]당신이 이 땅의 현실에 무지한 것 아닌가.
오늘자 동아일보 1면에는 아주 흥미로운 기획기사가 실렸습니다. (상편)이라는 걸 보니 시리즈로 한 두회 더 나갈 모양입니다.

http://news.donga.com/Main/3/all/20150930/73906557/1

클릭해서 보시면, 아래에 같은 기획 내 다른 꼭지의 기사들도 쭉 링크돼 있으니 한 번 보시면 됩니다. 새로울 것 없는 얘기지만, '만성피로학회'와 협조해 나름 열심히 취재한 기사로 보입니다.

그런데....같은 신문 마지막면에 실린 논설위원의 칼럼이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아니 분노를 일으켰다는 게 맞겠지요.

http://news.donga.com/Main/3/all/20150930/73906102/1#replyLayer

바로 이 칼럼입니다.

[헬조선 저주의 어두운 그늘]이라는 제목의 칼럼인데요, 예상하다시피 "우리 정도면 행복한 거임. 불만 갖지 말고 긍정적으로 살아라. 노오오력도 하면서"라는 내용을 참 못썼습니다.

그래서 약간의 분노를 담아 평어체로 반박하고자 합니다.
-------------------------------------
인터넷에서 '헬조선'이라는 단어가 유행하기 시작한 건 2년이 채 안됐다. 아이러니하게도 당신이 사랑할 법한 '우익청년'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확산됐다.
어떤 단어가 사회 전체에 폭발적인 공감을 일으켰을 땐, 그걸 '선전 선동'이라고 보지 말고 뭔가 본질을 건드렸다고 보는게 옳다. 좌우를 막론하고, 이념과 소득수준, 교육수준 그 어떤 차이를 넘어서 20-30세대에 특정단어가 유행하고 그 논리가 공감을 얻는다면 사회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게 맞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35342

보수경제지에서 쓴 20대들의 이민열풍에 관한 기사다. 물론 기사라는 게 과장이 있고 일부케이스를 확대해석하는 측면이 강한 건 인정한다. 하지만 굳이 위와 같은 극단적 사례를 들지 않더라도 30대 후반을 지나고 있는 필자가 보기에도 주변에 '이민'이나 '탈출'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은 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뭔가 불안감과 회의감이 팽배한 건 사실이다.

당신의 글에서 인용된 '국가별 삶의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권위있는 국제통계'에 한국이 15위에 랭크돼 있다는 것은 좋은일이나, 평균으로 환산돼 나오는 국민소득과 한국의 유일하게 자랑할만한 복지 '의료보험체계'와 교육열이 만들어 내는 효과가 거의 대부분인 지표를 들고와서 '우리가 이렇게 좋은 나라다'라고 우기는 건 좋은 설득방법이 아니다.

당신은 소제목에서 '바깥 세상에 대한 無知 ', '우물 안 개구리식 인식'이 헬조선이라는 저주를 퍼뜨리고 있다고 말한다. 특정 세력의 악의적 낙인찍기나 선동이 아니냐는 주장에는 실소를 금할 수 없다. 그 단어, 당신들의 편이라 굳게 믿는 '우익청년'들이 가장 좋아하는 단어다.

당신 머릿속의 '빨갱이/정통보수' 이분법에서는 '우리 정통보수가 그럴리 없다'는 생각이 가득했겠지만, 앞서도 말했듯 이 단어가 만들어낸 공감력은 좌우 이념갈등 따위를 넘어선지 오래라는 얘기다. 그러면서 당신은 같은 신문에 예전에 실린 박정자 상명대 명예교수는 칼럼을 인용한다. 내전과 빈곤의 고통을 피해 유럽을 향해 필사적 탈출을 하는 중동과 아프리카인들의 고통을 다룬 칼럼에서 박 교수가 [“헬이란 이런 데에 쓰는 말이다. 우리 젊은이들이 한국을 비하하며 즐겨 쓴다는 헬조선은 결국 바깥 세상에 대한 무지(無知)의 소산이나 다름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라면서 당신은 ["굳이 한반도에서 헬조선에 어울리는 곳을 찾으라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표방하면서도 민주주의도, 인민도, 공화국도 없는 ‘빈곤, 공포, 죽음의 땅’ 북한일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우리도 알고 있다. 시리아의 지옥이 어떤 것인지, 북한의 실상이 어떤 것인지 말이다. 그토록 당신들 애국보수 어르신들이 지키고 발전시켜와서 자랑스러워 미치겠는 나라가 굳이 저런 말도 안되는 '김씨 왕조'와 온갖 종교갈등과 국제분쟁의 대리전으로 치달은 시리아 내전 상황과 비교해서는 행복한 나라라고 자위해야 하는 수준이라니 씁쓸하지만 말이다.

그런데, 당신들은 '헬조선'의 맥락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헬조선이라고 헬한테 미안하다'라는 말 아는가? '헬은 나쁜놈이 벌이라도 받는데, 여긴 아니다'라는 뜻이다. 굳이 사면복권의 우선대상자이신 대기업 회장님들과 유전무죄무전유죄의 자조섞인 원칙 따위를 가져올 필요도 없다. 뭔가 부정의하고 불공정 하다는 게 문제다.

그리고 이제 헬조선의 본질을 설명하겠다. 헬조선이란 말이 나오는 이유는 '미래에 대한 전망'과 관련돼 있다. 부모세대보다 잘 살 자신이 없고, 내 자식세대는 나보다 더 나은 삶을 살게 할 자신이 없기에 결혼도 못하겠는 현실, 당신의 신문사가 오늘 아침에 1면에 실은 그 기획기사 속의 30대가 직면하는 현실은 너무도 피곤하고 가혹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용접이라도 배워 북유럽/북미로 가겠다는 사람들이 나오는 거다. 거긴 최소한 굶어죽을 위협은 없으니까. 여기처럼 무한경쟁으로 나와 내 자식을 몰아세우지 않아도 될 거 같으니 말이다. 여기에서 엘리트 취급 받다 거기가면 하류층이 될 것을 아는 이른바 SKY출신 화이트칼라들까지 말이다.

젊은이들은 당신들보다 훨씬 외부세계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몰라서 불행하다고 하는 게 아니다. 실제로 불행하다고 느끼고 있고, 불안해 하고 있다. 다들 선진국 해외 연수경험들이 있어서 그들 나라에서 최소한 보장되는 삶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고, 그 나라에서 그나마 구현되는 정의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는 의미다.

그 다음 문장에서는 솔직히 어이가 없어진다.

[취업난에 힘들어하긴 하지만 정치적 민주화 이후 일자리 찾기가 더 어려워진 현실의 본질적 원인을 물으면서 자신의 길을 모색하는 청춘도 많다. 구미 선진국은 물론 공식적으로는 사회주의의 깃발을 내리지 않은 중국보다 시장과 기업, 경쟁과 개방에 더 적대적인 한국의 전반적인 풍토가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는 주범이라는 인식도 확산되고 있다.]

민주화가 취업난을 만들어냈다는 무시무시한 논리를 숨기고 있다. 민주화와 경제성장은 별다른 관계가 없다. 냉전해체 시기 이후 민주화를 맞았고, 군사독재 시절 정경유착의 고리가 만들어낸 그 족쇄로 인해 우리는 경제위기를 맞았다. 이건 학문적으로 검증된 팩트다. 마치 민주화 세력의 무능이 경제적 어려움을 말한 것처럼 몰아가지 마라. 그건 틀렸다.

반기업 정서가 경제를 망쳤다? 누군가가 이를 선동했다? 이 역시 말이 안된다. 반기업 정서를 만든건 기업이지 어떤 선동가가 아니다. 사회적 기업연구소와 동아시아연구원이 발간한 CSR모니터(2013)에 따르면, 한국민들의 대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36%였다. 86%가 대기업을 신뢰한다고 했던 인도네시아, 80% 언저리에 있는 케냐나 가나, 70%수준인 중국과 나이지리아의 절반밖에 안되는 수치다. 캐나다 호주, 독일 등 선진국 역시 60~70%에 이르는 대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나타난다.

전국민들 사이에 이정도로 팽배하다면, 여기에는 당신이 '애국보수'라 믿는 사람들도 있을진데, 이러한 민심은 오직 우매한 여론이고 선동의 결과란 말인가. 롯데가의 꼴사나운 다툼이나, 모 방송사 다큐에 나온 재벌들의 행태가 만들어내는 반기업 정서 역시 우매한 여론인것인가.
나쁜 기사라도 한 줄 써주면 그닥 나쁠게 없는 정치인 비판에는 '민심은 천심'을 얘기하는 당신들이 유독 기업에 대한 비난 여론은 '우매한 대중이 선동당한 결과'라고 믿는 건 무엇때문인가? 그들이 광고주이기 때문인가?

마지막으로 당신은 [‘행복한 삶을 당연히 누려야 하는데 사회나 국가 때문에 그러지 못한다’는 일부 지식인의 사이비 힐링론(論)에 넘어가는 것은 금물]이라고 일갈하며 [일본의 에도 막부를 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남겼다는 ‘사람의 일생은 무거운 짐을 지고 가는 먼 길과 같다’는 말이 인생의 본질에 더 가깝다. 요즘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대기업과 공기업 직원, 공무원과 교사 같은 일자리를 무한정 제공할 수 있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는 점도 냉엄한 현실이다.] 라고 말한다.

심지어 그 다음 문장에서는 [지구상에는 하루 2달러 이하로 살아가는 저소득층이 전 세계 인구의 70%인 40억 명에 이른다. 자신을 우리 사회의 비주류였다고 당당하게 밝히는 남정욱 숭실대 겸임교수는 ‘차라리 죽지 그래’라는 도발적 제목의 책에서 “현재의 당신이 아무리 최악이라도 그들보다는 최소한 70배는 낫다”면서 “절대 핑계대지 말고 절대 좌절하지 말라”고 강조한다. 물론 정부와 정치권, 기업이 절망하는 백수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할 책무는 가볍지 않다. 그러나 적어도 제3세계 국민이 들으면 ‘배부른 소리’라고 코웃음을 칠 황당무계한 헬조선 선동에 휘둘릴 일은 아니다.]라고 글을 쓰고 있다.

앞서도 말했듯, 진단부터 틀렸고 이땅의 현실에 대한 이해부터 잘못됐다. 일본 에도막부를 연 도쿠가와 이에야스까지 끌고 오는 이유는 모르겠다. 나는 그냥 아주 단순한 하나를 끌고 오겠다.

우리나라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애초에 자유민주사회의 '사회계약'의 계약서가 헌법이다. 우리는 국가와 그렇게 계약하고 세금을 냈다. '갑론을박'의 건전한 토론은 '국론분열'의 이름으로 막은 뒤에 '갑을논박'속에 이 사회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상태로 변하고 있다면, 그래서 '헬조선'이라는 단어까지 유행하고 있다면 그 심각성을 되돌아보는 게 언론의 역할일 것이다.

최소한 '노오력이 부족하다'는 그대들의 '꼰대질'이 이 나라를 '헬조선'으로 만드는 데 10%이상은 기여했다. 그럼 기득권의 책상앞에 앉아 준엄히 꾸짖기 전에 반성부터 할 일 아닌가.  



5


    저 분들 새마을운동 때도 \'이 정도면 일제시대보단 낫지\'하고 반대하셨겠죠?
    난커피가더좋아
    흐흐흐 뭐죠 이 송곳같은 일침은?
    새의선물
    저분께는 일단 헬 구경이라도 좀 시켜드려야겠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fyw-dfXRhks
    난커피가더좋아
    크하하...이런이런
    Beer Inside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10657.html

    박노자씨의 비판이 더 아프지요.
    난커피가더좋아
    정작 경계인, 외부인(?)은 이렇듯 비교적 정확하게 보고 있는데 말입니다.
    Beer Inside
    해외거주 한국인(?)입니다.
    난커피가더좋아
    흐흐 그게 더 정확하겠네요.
    천하대장군
    천번을 흔들리면 멀미나고
    아프면 병원을 가야되는데..

    어효.. 속터져라
    난커피가더좋아
    어효 속터져라(2)
    뒷짐진강아지
    ???? : 노예들이 노오력이 부족카구만! 노예 주제에 감히 탈조센을 꿈꾸느냐!
    난커피가더좋아
    왠지 제가 잘못한 듯한 ㅠㅠ
    세계구조
    다다음달에 탈조센을 하긴 하는데 거기가 한국의 미래인 나라라서 그게 그거일 것 같네요. 깔깔.
    Feelhmy
    혹시 일본이세요?(...)
    세계구조
    네, 깔깔.
    난커피가더좋아
    만약 일본이라면...요샌 그들의 발권력을 바탕으로한 통화팽창으로 경제사정 전반은 좋아진 거 같더라고요
    세계구조
    뉴스에 따르면 취업률이 94퍼센트더군요. 아베노믹스니 뭐니 다른건 몰라도 하튼 경제는 좋아졌다고 하네요.
    마르코폴로
    스팀팩 느낌이 물씬 풍겨서 불안합니다. 흐흐흐
    세계구조
    스팀팩 맞죠, 하하. 돈을 그렇게 풀었는데.
    삼공파일
    헬조선론이 조중동에 올라올 줄이야. 무슨 담론도 아니고 결국 OECD 지표랑 국수주의 경제 발전론이랑 짬뽕되다가 끝날 얘긴데요. 민주당에서 괜히 \"요즘 젊은이들은 \'헬조선\'이라고 합니다. (...)\" 이런거나 안했으면 좋겠네요.
    난커피가더좋아
    민주당은 그러고도 남을..아.아닙니다...흐
    얼그레이
    사람답게 살기가 어렵네요.
    난커피가더좋아
    허허...저분들에 따르면, 시리아에 비하면 천국입니다(?)
    얼그레이
    답답..
    그렇다고 나간다고 해서 보장되는 것도 없죠.
    나가서 보장받는 삶이라는게 적어도 공평한 기회라는게, 차별받아도 나가서 사는게 더 낫다는게 참..
    어효.. 속터져라(3)
    Neandertal
    두 명의 격투기 선수가 시합을 하는데 한 선수가 계속 로우킥을 차는데 상대편 선수가 방어도 안하고 반격도 안 한다면 \"이거 개꿀이네~!...^^\" 이러면서 계속 로우킥을 차겠죠...
    하지만 젊은이들의 반격의 카드가 뭐가 있을까요?...투표?...
    상당히 답답한 상황이네요...--;;;
    난커피가더좋아
    탈출? 그러나 탈출은 모두가 쓸수 있는 스킬이 아니니....상당히 답답한 상황이 맞는듯 합니다.
    王天君
    되게 천박한 칼럼입니다. 일단 지적하신대로 민주화와 경제성장저하를 연결시키는 것이 그렇고, 개인의 철학적인 인생론을 사회적 정치적 생존의 문제로 치환하려는 시도는 얄팍하기까지 해요. 복지 문제를 논하고 있는데 색즉시공 공즉시색 같은 대꾸를 하는 셈이죠. 거기다가 불행의 상대평가를 통해 없는 행복을 최면시키려는 시도도 치사스럽네요. 내전 없고 굶어 죽지 않으니까 내가 허덕이는 것도 사치라 이건지...그렇게 치면 금수저들과 나보다 행복해보이는 사람들에게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무슨 무소유 같은 소리 하고 자빠졌네요.
    난커피가더좋아
    천박하고 얄팍하지만, 저기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많죠. 저 칼럼에 눌려진 좋아요 수를 보세요..ㅠㅠ 뭐 어쩌겠습니까...
    damianhwang
    인생이라는 상품의 품질이 현재 누리고 있는 것의 외형적 모습이 전부가 아닐텐데..
    이걸 서비스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기대치와 대비하여 달라지는게 너무나 당연한 것이란걸
    기성세대들, 노인네들도 살면서 매번 느끼니까..그 진상짓들을 하고 사는거면서 ;-)
    나만 해먹으면 되지, 나머지는 아몰랑..딱 그거에서 하나도 벗어나지 않는 담론이죠.
    난커피가더좋아
    \'아몰랑\'...적절하군요!
    이런 컬럼 보면 지지난주인가 탈북자 친구가 쓴 헬조선 이야기가 왜 뽑혔는지 알만 하죠. 결국 한국형 사토리세대로 넘어갈 수 밖에 없지 않나.. 마 그리 생각합니다. 물론 일본과 차이가 많긴 하죠.. 남을 의식한다면 이렇게 살기 만만치 않을테니.. 바이트도 생활하기 턱없을테고
    난커피가더좋아
    일본이 한국의 미래라고 하는 건 일본에 대한 실례라고 생각할 때가 많습니다.
    Beer Inside
    일본은 모아놓은 돈이라도 있지...

    우리는 해외로 빼돌린 돈 밖에...
    절름발이이리
    저성장에 접어든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젊은이들이 대부분 공유하는 정서일거라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고성장하는 개발 도상국에서 사는게 더 행복한지도 의문이고.. 어느새 세상이 이렇게 되었네요.
    난커피가더좋아
    혁...혁...아 아닙니다..흐흐흐. 그래도 \'고신뢰 사회\'와 복지 베이스가 있으면 이거보다 좀 낫겠죠 아무래도.
    절름발이이리
    낫겠죠. 하지만 그 동네 사람들에게 \"저기 한국같은 나라를 봐, 너희 정도면 충분히 살만한거야\"라고 말하는게 먹힐런지는..
    블랙비글
    1. [헬은 나쁜놈이 벌이라도 받는데, 여긴 아니다] -> 뭔가 잘못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원래 전세계적으로 헬은 그러라고 만들어진 개념이고, 현실 세계보다 그 측면에서 항상 나을 수밖에 없죠. 비록 현실이 불합리하고 개선의 여지가 없더라도 사후에 신계서 심판해주실 꺼라는 믿음같은 거인데, 현대 한국에만 적용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2. [그래서 용접이라도 배워 북유럽/북미로 가겠다는 사람들이 나오는 거다. 거긴 최소한 굶어죽을 위협은 없으니까.]... 더 보기
    1. [헬은 나쁜놈이 벌이라도 받는데, 여긴 아니다] -> 뭔가 잘못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원래 전세계적으로 헬은 그러라고 만들어진 개념이고, 현실 세계보다 그 측면에서 항상 나을 수밖에 없죠. 비록 현실이 불합리하고 개선의 여지가 없더라도 사후에 신계서 심판해주실 꺼라는 믿음같은 거인데, 현대 한국에만 적용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2. [그래서 용접이라도 배워 북유럽/북미로 가겠다는 사람들이 나오는 거다. 거긴 최소한 굶어죽을 위협은 없으니까.] ->한국도 굶어죽는 사람은 없는거 같습니다만.. 과장이 심하시네요. 그리고 애초에 북유럽/북미랑 생활수준을 비교한다는 자체가 그만큼 한국이 발전했다는 뜻인거 같네요. 예전에는 북유럽/북미 안가고 싶었을까요?

    3. [부모세대보다 잘 살 자신이 없고, 내 자식세대는 나보다 더 나은 삶을 살게 할 자신이 없기에 결혼도 못하겠는 현실] -> 저기... 선진국에서는 부모세대보다 못하다는 느낌 훨씬 심한데요? 미국은 70년대부터 지금까지 median household income이 거의 변하지 않은거 알고 계신가요? 이 논리로라면 선진국보다 한국이 낫겠네요.

    비록 그 격차가 줄어들었다고 하더라도 선진국에 비해 한국의 생활수준이 나앗던 적은 없습니다. 그런측면에서 이민을 가고 싶고, 또한 그게 가능하다면 말만 하지말고 꼭 가라고 얘기 하고 싶네요. 다만 헬조선 헬조선 하는게 정당하고 하는 논리는 굉장히 빈약해 보이고, 기득권의 꼰대질하고 똑같아 보입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yangjyess
    댓글추천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14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179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358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8 dolmusa 25/04/25 508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386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454 9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294 5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67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59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68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55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55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31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1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05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76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81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12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85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3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89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0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4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07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2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