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12/20 07:19:14
Name   벤젠 C6H6
Subject   특집 IMF 20년 다시 켜진 경고등
어제 밤에 했던 KBS 특집 프로그램입니다. '특집 IMF 20년 다시 켜진 경고등'.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84937&ref=A

위 링크에 들어가시면 다시보기를 할 수 있습니다. 감상해주시면 고맙습니다. :)

제 기억을 되짚어서 요약하자면

1. 몇 년 안 지나서 다시 한번 IMF처럼 큰 경제 위기가 올 수 있다. 20년 전 IMF 사태 때는 위기가 갑자기 왔다면, 이번에는 서서히 올 것이다. 이에 대비해야 한다.
2. 경제는 당장의 가시적인 성장률 등등의 수치적인 문제가 아니라 하나의 생태계의 문제이며, 경제가 건강하려면 이 경제 생태계를 계속 재생성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3. IMF 때 실업이 된 사람들은 개인적으로 아무 죄가 없다. 경제, 사회 구조적인 문제가 이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를 제대로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정치이다.
4. 과도한 수출 중심 경제를 선택하게끔 된 우리나라. 이제는 내수 경제도 조금은 활성화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세계 경기의 호황/불황 여부에 너무 민감하게 되고, 일자리 창출이 잘 되지 않는다.

IMF 사태가 제가 아무것도 모르는 아주 어릴 때의 일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 충격이 기억나는 것은.. 그때부터 '경제구조'에 대해 어렴풋하게나마 의식하게 되었을 거에요. IMF 사태의 원인을 교과서에서 '국민들의 잦은 해외여행, 과소비 등등 때문이다'라고 할때 기가 찼던 것으로 봐서 '어른들의 거짓말'의 존재에 대해서도 의식하게 되었는지도..



2


    위기가 오더라도 IMF 시절과는 그 원인이 다르지 않을까 합니다. 그 때는 유동성 위기에 따른 외환보유고 고갈이 문제였는데 지금은 어쨌든 나라도 달러 쌓아놓고 기업들도 현금 쌓아놨으니...
    위기의 양상이나 원인은 서브프라임이나 유로존 위기 같은 쪽이 더 비슷할 것 같습니다. 이건 기업들이 돈 몇 푼 쥐고 있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서...
    벤젠 C6H6
    네, IMF 사태와는 그 원인이 다른 만큼 해결책도 다르겠죠. 경제 생태계 자체를 바꾸지 않으면 결국 이 대한민국 경제 시스템은 서서히 망하고 말 거라고 하네요..
    대한민국 경제는 망하지 않는데 가계만 망하는 시나리오도 상상을 해봅니다.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죠. 이미 그렇게 진행되고 있다고 개인적으로 판단합니다. 다만 대한민국의 경제 구조상의 문제가 단기적 쇼크의 형태로 오지 않고 뜨거운 솥 안에서 서서히 삶아가는 개구리 같아서, 사실 대한민국 가계가 망하고 있는 중인지 스스로도 자각하기 힘들 거라는..
    2
    대만이 그렇더라구요
    국가는 엄청나게 부유한데 국민은 헬지옥
    고마워요
    벤젠 C6H6
    시간내주셔서 감상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44 7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2 + 골든햄스 25/04/29 62 7
    15412 음악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57 + 토비 25/04/29 911 30
    15411 오프모임(급벙)칡이 광주에 내려온다 4.30 19 25/04/29 460 7
    15410 도서/문학쳇가씨 답정너 대담 백치 알료사 25/04/28 265 1
    15409 요리/음식옛 중국집에 관한 환상? 13 당근매니아 25/04/28 687 8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1 에메트셀크 25/04/27 344 5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343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543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2 dolmusa 25/04/25 760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509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91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43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524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98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810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913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96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70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65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37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816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516 9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73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409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