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11/01 10:55:17
Name   Danial Plainview
Subject   몇 년간의 연합사 관련 뉴스를 보며 느끼는 생각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2&aid=0001210761

이 기사를 보면, 마치 한국 정부의 최근 대북 드라이브에도 불구하고 한미공조를 강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는 생각보다 긴 히스토리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참여정부의 가장 큰 실책을 꼽으라면 전작권 전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신분 때부터 자주국방을 주장하며(http://sonnet.egloos.com/2709719 참고) 전작권 환수를 주장했고, 그 결과 외교안보라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전작권 전환을 확정시켰죠. 이 당시 전작권 환수를 주장하는 측은 다음과 같은 논리를 전개했는데

-NATO같은 집단안보체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시작전권을 단독으로 행사할 수 없다면 진정한 독립국이라고 할 수 없다'라는 식의 워딩이나
-한미연합사는 한국군과 주한미군을 연결해주는 기구일 뿐 결국 MCM이나 SCM 산하에 있는 것인데 한미연합사령관이 미군이라는 이유로 꼭 전시작전권이 미군에게 속해 있는 것처럼 말하던 것이었죠.

한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이 2012년까지 확정이 되었지만 국방부는 항상 이걸 롤백시키고 싶어했습니다. 결국 연합사가 갖고 있던 전작권을 한국군 단독으로 행사한다는 것은 연합사가 해체됨을 의미하게 되는데, 한국군은 전환 시기까지 연합사의 공백을 메꿀 자신이 없었던 것이죠. 이런 이해관계는 미군도 공유하는 것이어서, 중국의 부상과 함께 오바마 행정부 역시 동북아시아 역내에 연합사를 계속 두고 싶어하게 됩니다. 결국 양쪽의 이해관계 일치로 인해 이명박 행정부 들어서 2015년까지 연기. 박근혜 행정부 시기인 2014년 SCM때는 '특정 조건이 갖춰지기 전까지' 연기하게 됩니다. 이는 조건을 모호하게 서술함으로써 '사실상 무기한 연기'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410240440748329

한편 '자주국방을 위해서 한국군이 전작권을 단독행사'한다는 "대의명분"은 무시할 수 없으면서 '연합사의 존재'로 인한 "실리"는 둘 다 갖고 싶은 우리는 눈 가리고 아웅을 하게 되는데 그게 위에 있는 韓 주도 연합사죠. 어차피 연합사는 SCM-MCM이라는 상위기구 아래에 존재하기 때문에 연합사 사령관이 누구냐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방식은 '연합사령관이 미군이니까 전작권은 미군에게 있는 게 아니냐'라는 오해를 연합사 사령관에 한국군을 임명함으로써 불식시키고 계속해서 현 체제를 유지하려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런 이야기들이 처음에 나오기 시작한 건 2012년인데 아래 블로그 포스팅은 아직 정보가 혼선이 있을 때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죠.

http://nestofpnix.egloos.com/4713198
http://bluegazer.egloos.com/2872389

그 뒤 1년쯤 뒤엔 이런 기사들이 나오게 됩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603001010

그리고 오늘이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0439155&isYeonhapFlash=Y&rc=N

결국 이것이 말해주는 교훈은...

선출된 행정부의 수장이 어떻게 생각하든 밑의 관료조직들은 쉽게 바뀌지 않고, 수장이 관심을 보일 때면 뭔가 하는 척 하다가 다시 관심이 지나가면 계속해서 자신들이 원래 하던 방향으로 돌아가며, 큰 사고가 터지지 않는 이상 늘 하던 대로 한다는 것. 

존버는 관료제는 승리한다...

따라서 이런 관료제를 상대로 대중 정치인이 조직의 근본적인 속성을 바꾸려고 싸우는 것은 대체로 패배로 끝나며, 원하는 방향으로 이러한 조직을 이끌기 위해서는 조직을 바꾸려고 시도하는 것보다는 조직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해 이뤄내는 것이 대체로 쉽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습니다.





11


    답은 전제군주정....아 아닙니다
    Danial Plainview
    저는 이것을 나름 관료제의 순기능이라고 봅니다 ㅎㅎ
    2
    제로스
    동감합니다. 사실 대중정치인이 관료제를 상대로 조직의 근본적인 속성을 바꾸려고 싸워 승리한다면
    그 결과는 파괴적일 것이지 좋을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되지 않거든요.
    Danial Plainview수정됨
    제일 극단적인 사례로 조반유리造反有理가 있지 않겠습니까. ㅎㅎ
    AGuyWithGlasses
    자주국방이라는 전제 자체가 외교 현실을 모르고 지르는 헛소리라... 그러려니 했습니다.
    3
    맥주만땅
    저도 동감합니다.

    자주국방하려면 항모 3개는 운영해야하려나.....
    항모보다는 다수의 군사위성과 4.5세대 혹은 그 이후 전투기 500대 이상에 지금 기동전단 x 3 정도면...
    Danial Plainview
    저는 현재의 군 복무기간 단축도 맘에 안 드는데 이건 관료제가 다시 뭉개기도 어렵고 해서 ...
    AGuyWithGlasses
    성향상 그 '의도'가 마음에 안드신 거 같은 ㅋㅋㅋ... 저도 그렇습니다.
    해당 문제는 사실 인구문제랑 같이 걸려있어서 문제 초점 자체가 이젠 넘어간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Danial Plainview
    저는 인구도 앞으로 주는데 군 복무도 줄이는 건 불난 데다가 기름을 붓는 거라고 생각해서요 ㅋㅋㅋ
    이 정도면 나름 해피엔딩이네요
    국회의사당 뚜껑 열리면서 태권브이 정도는 나에줘야 해피엔딩이 될거 같군요.
    의회가 약하고 무능하면 전문성 높은 실무자 집단의 힘으로 버텨야죠. 이미 수십 년 간 그렇게 해왔고, 타국들도 사실 대동소이하고. 과두정스러움에 대한 시민적 불만은 '대선'이라는 프로듀스001과 이후 5년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빙산의 일각 영역에 한정된 '참여'를 유도하여 무마하면 되는 거고. 대통령 혼자 얼굴 마담으로 자리잡고 원맨쇼하며 민주적인 척 생색을 내면서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은 모르도록 넘기는 게 전사회적 체질 개선보다 효율적이기도 하고, 결과의 민주주의가 과정의 민주주의보다 경시될 게 아니기도 하고. 그야 이런 합리화에 너무 중독되면 건즈 앤 로지즈 08년 앨범 내는 거(물론 그 동네도 내재적으로는 일리가 있고 대체 불가능한 정치체제입니다만)니 적당한 균형은 필요하지요.
    Danial Plainview
    08년 건즈 앤 로지스는 잘 모르겠지만 하시고자 하는 말씀은 잘 알겠습니다 ㅋㅋㅋ

    사실 현대 민주주의는 사람들의 생각과 많이 다르게 관료제와 선출권력이 서로 나뉘어 힘을 갖고 있고(제일 극단적으로 사법부) 각자는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죠. 비슷하게 저는 87년에 노태우가 당선됨으로써 테크노크라트들이 급속도로 교체되지 않을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안정적으로 행정부가 이양됐다고도 생각합니다. 현재 의회는 주어진 힘에 비해 힘을 거의 못 쓰고 있고(여야 모두) 오히려 예전에는 뒤에 있던 사법부가 돌출되는 모양새긴 하네요.
    구밀복검
    그때 나온 앨범명이 Chinese democracy였죠ㅋ
    비슷하게 노태우-김영삼-김대중까지의 점진적 정권 이양은 당시에는 난행이었지만 시일이 지난 지금의 시점에서 배진적으로 보자면 결과적으로는 적절했다 생각하네요. 다들 시대의 필요에 그럭저럭 부응한 뒤 산화했다 봅니다. 3당 합당도 마냥 나쁘게만은 안 보네요.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라는 표현 자체가 이미 오류 혹은 선동입니다.
    1
    Danial Plainview
    그렇죠. 정확히는 전환/한국군 단독행사/연합사로부터의 이양이 맞죠. 위에 환수라고 표현한 부분은 전부 참여정부의 주장을 옮긴 것입니다.
    1
    April_fool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Danial Plainview
    환수라는 표현은 애초에 우리 것이 아닌데 가져온다는 뜻으로서 마치 현재 전시작전권이 미군에게 있고 그걸 한국군이 찾아온다는 느낌이죠. 실제로는 현재 전시작전통제권은 한미연합사에 있습니다. 그걸 한국군이 단독행사하겠다는 것이므로 전환이나 단독행사가 맞는 얘기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44 스포츠181029 오늘의 NBA(스테판 커리 35득점 3점슛 7개) 김치찌개 18/10/30 3525 1
    8445 사회죽음도 못 바꾼 판결 키즈 18/10/31 3876 2
    8446 IT/컴퓨터아이패드 프로 새모델이 공개되었습니다. 18 Leeka 18/10/31 5124 1
    8447 사회Case Study : 포드 핀토(Ford Pinto)에 관련한 세 가지 이야기 21 Danial Plainview 18/10/31 7021 11
    8448 스포츠[NFL] 어떤 팀을 빨까요? 18 트리플헤더 18/10/31 6794 3
    8449 도서/문학(리뷰±잡설) 골든아워 그리고 시스템 4 카미트리아 18/10/31 4293 5
    8450 스포츠181030 오늘의 NBA(르브론 제임스 29득점 10리바운드 8어시스트) 김치찌개 18/10/31 3850 1
    8451 정치몇 년간의 연합사 관련 뉴스를 보며 느끼는 생각 19 Danial Plainview 18/11/01 5567 11
    8452 스포츠181031 오늘의 NBA(러셀 웨스트브룩 32득점 9어시스트) 김치찌개 18/11/01 4417 1
    8453 스포츠181101 오늘의 NBA(데릭 로즈 50득점 커리어 하이) 김치찌개 18/11/02 3853 2
    8454 스포츠챔피언스리그는 항상 최고의 리그였었나? 3 손금불산입 18/11/02 4210 0
    8455 게임[LOL] 11월 3일 토요일 오늘의 일정 3 발그레 아이네꼬 18/11/02 3762 1
    8456 스포츠[오피셜] 다저스 류현진에게 퀄리파잉 오퍼 제시 4 김치찌개 18/11/03 3944 1
    8457 기타[특집] 김용 소설을 원작으로 한 게임들 5 구밀복검 18/11/03 4025 0
    8458 일상/생각추억팔이 1탄 - 개인적 제사 명절 맛난 음식 원탑!!! 10 tannenbaum 18/11/04 4502 5
    8459 게임레드 데드 리뎀션 2 리뷰 3 저퀴 18/11/04 4253 7
    8460 스포츠181102 오늘의 NBA(러셀 웨스트브룩 29득점 10리바운드 8어시스트) 김치찌개 18/11/04 3298 0
    8461 사회양심적 병역 거부 무죄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 21 Danial Plainview 18/11/04 5500 7
    8463 음악핼리, 76년 뒤의 당신에게 6 바나나코우 18/11/04 4739 4
    8464 스포츠181103 오늘의 NBA(케빈 듀란트 33득점 13리바운드 3어시스트) 김치찌개 18/11/04 3022 0
    8465 기타2018 WCS 글로벌 파이널 결승전 우승 "세랄" 김치찌개 18/11/04 4199 0
    8466 꿀팁/강좌홍차넷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20 Cascade 18/11/04 5938 21
    8467 스포츠181104 오늘의 NBA(르브론 제임스 28득점 7어시스트 5리바운드) 2 김치찌개 18/11/05 3679 0
    8468 경제누나들이 울었대 7 mmOmm 18/11/05 5874 2
    8471 스포츠2018 MLB 골든글러브 수상자.jpg 2 김치찌개 18/11/06 458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