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4/21 20:35:49수정됨
Name   메존일각
File #1   ydvil.jpg (238.2 KB), Download : 21
Subject   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 본 글에는 어떤 형태의 비하 의도도 담지 않았음을 밝힙니다.
* 제가 직접 관련 연구를 진행한 것은 아니므로 사실관계에 있어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신분제도는 있을까요 없을까요? 현대에 돈이나 권력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신분제도 말고, 조선시대까지의 양반, 중인, 양인, 천인 등의 신분제도 말입니다. 저는 모 김씨 가문의 33대손이던가 그런데요. 그렇게 교육받았기 때문에 그런가보다 할 뿐이지, 실제로도 양반이었는지 아니면 족보 세탁을 한 것인지는 모릅니다. 관심도 없고요.

신분제도는 주지하시는 바처럼 현재는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신분제도는 1894년 갑오개혁 때 공식적으로 혁파됐고, 그나마도 온나라가 뒤집힌 6.25 전쟁 이후 대부분 사라졌지요. 하지만 희미하게나마 남아 있는 곳들이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곳으로 경주 양동마을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곳은 여강 이씨와 외가인 경주 손씨가 양대 문벌을 이루며 수백 년간 집성촌으로 발전한 곳입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관광지라 많이들 가보셨을 테고, 가보신 분들은 기와집과 초가집이 어우러진 마을의 고즈넉한 분위기가 마음에 드셨을 테죠. 한데 이 마을의 몇몇 기와집 외에 아직도 많은 초가집들은 옛날 양인들이나 양반집 외거노비들이 살던 가랍집이었습니다.

예전 관련 논문을 읽어본 바로는 신분제도가 1970년대까지 상당히 공고히 남아 있었다고 합니다. 시대가 변했지만 이곳은 여전히 조선시대였던 거죠. 때문에 그 옛날 신분이 낮았던 집의 젊은 사람들은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던 시기 상당수 마을을 떠났습니다. 그렇지 않더라도 집이 헐리거나 거주자가 바뀐 경우가 많고요. 초가집에 살던 사람들이 마을을 '아예' 떠남으로써 신분제도가 어느 정도 희석된 거죠.

저도 오랫동안 이렇게만 알고 있었습니다만, 2~3년 전 관련 연구를 진행하신 선생님의 말씀을 들어보니 신분제도는 아직도 남아 있다고 합니다. 대놓고 드러내지 않을 뿐이지 여전히 양반 자손들은 양인이나 천인 출신 자손들과 말조차 섞지 않는다는 말씀에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양동마을 초입에는 기와로 지붕이 덮힌 초등학교가 있는데요. 몇 년 전 방문할 땐 신기하기만 할 뿐이었지만 말씀을 듣고 보니 학교에서 교육받는 아이들 간 미묘한 차별이 있지 않을까 궁금해지기도 했습니다.

아시다시피 경주 양동마을은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 전까지 양동마을은 중요민속자료로써 보존되고 있었지만 세계유산에까지 등재가 됨으로써 마을 전체가 아주 엄격하게 보호받게 되었습니다. 등재된 세계유산은 별도의 세계유산 관리조직을 신설하고, 매년 정기보고서를 작성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하는 등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아주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고서는 유산을 변경하는 행위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현재 남아있는 가옥들은 그 상태 그대로 보존되어야 합니다. 이미 새롭게 들어온 집의 주인들이야 종갓집 사람들과 만나도 별로 신경쓰지 않을 수도 있으나(모르긴 해도 마을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려면 꼭 그렇지는 않을 겁니다), 고향을 떠날 수 없어서 여전히 집을 지키며 살아오신 분들은 21세기가 되어도 마을을 아예 떠나지 않는 이상 불편한 신분제 하에서 살 수밖에 없겠죠. 

원 취지는 문화유산이 됨으로써 보호를 받는다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박제가 된 셈입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5-05 13:01)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94 일상/생각정독도서관 사진 촬영 사전 답사의 기억 공유 19 메존일각 23/04/12 3064 14
    1264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7 메존일각 23/01/04 3022 16
    1219 기타24fps/30fps, 60fps. 영상 프레임 레이트에 대한 잡설. 11 메존일각 22/06/29 5990 6
    964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4780 18
    959 일상/생각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에 대한 반성, 무식함에 대한 고백 18 메존일각 20/05/16 5680 49
    913 역사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15 메존일각 20/01/23 5192 12
    87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5736 19
    872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하- 10 메존일각 19/10/03 5749 17
    871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상- 메존일각 19/10/03 5520 19
    868 일상/생각최근 홍차넷의 분위기를 보며 50 메존일각 19/09/27 10653 69
    861 역사신안선에서 거북선, 그리고 원균까지. 12 메존일각 19/09/18 5670 16
    860 역사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22 메존일각 19/09/17 6422 14
    854 역사"향복문(嚮福門) 이름을 바꿔라!" 고려 무신정권기의 웃픈 에피소드 메존일각 19/09/01 5392 13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028 7
    839 역사일반인이 이해하는 이순신의 거북선 형태 2 메존일각 19/07/30 6012 12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7002 31
    813 일상/생각결혼식의 추억 20 메존일각 19/06/02 5260 22
    758 문화/예술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간단 정리 13 메존일각 19/01/16 6154 8
    728 일상/생각추억의 혼인 서약서 12 메존일각 18/11/14 5526 10
    797 역사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10 메존일각 19/04/21 5412 11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5987 11
    1309 일상/생각사진에도 기다림이 필요하다. 6 메존일각 23/07/06 1797 13
    761 문학서평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김영하 3 메아리 19/01/13 5684 11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163 24
    592 철학/종교푸코의 자기 배려와 철학상담(1) 3 메아리 18/02/11 6222 1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