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20/01/23 02:21:31수정됨 |
Name | 메존일각 |
Subject | 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
* 자기 전에 가볍게 쓰는 글입니다. ![]() 사진은 조선왕릉 앞에서 제사를 지내는 건물, [정자각]입니다. 경치 좋은 곳에 설치된 停子閣이 아니고 T자형 평면을 가진 丁字閣입니다. 지붕 위의 허연 마감이 눈에 띄는데 이것은 [양성바름]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궁궐의 정전이나 침전, 정문, 도성문, 일부 관영건축에서 보이고 건축물의 권위를 상징합니다. 경복궁 등 궁궐에서 한 번쯤 보셨을 것 같습니다. 한데 내림마루 위를 보면 이상한 토우 같은 것이 보입니다. 특수기와로 [잡상(雜像)]이라고 하는 것으로 종류는 총 10가지입니다. 기록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놓이는 순서가 대체로 정해져 있습니다. 그 뒤로 용머리를 한 용두 또는 독수리 모양의 취두 등이 놓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패스하겠습니다. 아무튼 내림마루나 추녀마루의 길이에 따라 잡상 수가 달라지는데 최소 3개 정도는 놓이게 됩니다. 확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맨 앞 '녀석'은 뭘로 보이시나요? 17세기 초에 지어진 <어우야담>에는 '대당사부(大唐師父)'라고 나와 있습니다. 네, 그 유명한 <서유기>의 삼장법사 현장이죠. 그러면 그 다음 녀석들 이름도 대강 짐작이 되시겠네요.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입니다. 손행자(孫行者), 저팔계(猪八戒), 사화상(獅晝像)라고 표기되어 있어요. 정자각에는 없지만 그 다음에는 차례대로 마화상, 삼살보살, 이구룡, 천산갑, 이귀박, 나토두(귀찮으니 한자는 패스)가 있습니다. 20세기 초 기록인 <상와도>에는 그림도 나와 있습니다. 개수는 <어우야담>과 같은데 이름이 조금 다릅니다. ![]() 출처: <한국건축용어사전> 그런데 말이죠. 맨 앞 '분'이 정말로 삼장법사로 보이십니까? 몽골식 삿갓을 쓰고 갑옷을 입은 모습을 보면 영락없는 군인 아닙니까? 그리고 철저한 숭유국가 조선에서 불교 인물을 권위 건축물 위에 올려두었다는 게 믿기 어렵잖아요. 17세기 중반에 간행된 <창덕궁수리도감의궤>에 보면 잡상의 이름이 제법 다릅니다. 손행자, 손행자매, 준견, 준구, 마룡, 산화승, 악구 등으로 나와 있어요. 손오공만 그대로네요. 손오공의 성격을 생각해 보면 갑옷을 두른 모습이 그럴 듯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다시 두 번째 사진으로 넘어가서, 정자각의 세 번째 코를 보면 아무래도 개보다는 돼지를 묘사한 게 맞는 것 같잖아요. 알쏭달쏭합니다. 사실 이 잡상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입니다. 잡상 개개의 의미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은 물론이고, 고려 이전에는 잡상이 놓였다는 명확한 사료나 유물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조선시대부터 놓인 것만 확실하게 알려져 있습니다. 왜 <서유기>의 등장인물 이름이 붙었는지도 모릅니다. 국내에 <서유기>가 유입된 것은 여말선초 무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불교적 색채에 괴력난신이 판치는 <서유기>는 공식적으로 배척됐을 것이나, 사대부를 비롯 일반 백성에까지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고 이것이 잡상의 명명에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화마를 제압한다는 의미에서 벽사의 내용이 들어있는 <서유기>가 연결되고, 자연스레 소설의 등장인물 이름이 잡상 하나하나에 붙었을 수도 있겠죠. P.s.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의 잡상 개수가 다른 것은 다른 정자각이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것은 건릉(정조), 두 번째 것은 융릉(사도세자, 장조 추존)의 것입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2-04 18:0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이 게시판에 등록된 메존일각님의 최근 게시물
|
저팔계... 동파육 마이쪙... 아, 이게 아니지. 1) 숭유억불이라 하더라도 이전의 상징적 체계에서 급격한 단절은 불가능하고, 새롭게 스스로를 자리매김하려는 상징적 체계는 이전 체계를 포섭하는 가운데 변화를 꾀한다? (식자층에서 일종의 존속변형을 꾀했다), 2) 유학자들은 새로운 상징체계를 견고하게 만들었고, 잡상 또한 그 반영이었으나, 민중에 구전되던 서유기 서사가 잡상의 의미를 나중에 으앙 먹어버렸다? (초창기 의도했던 상징체계가 집합적 구전 과정에서 변형되었다) 3)조선이 철저한 숭유국가였는가? 역으로 불교 인물이 권위 건축물을 수호하는 것으로 바라보면 어떨까?
등등 이런저런 생각이 떠오르네용
등등 이런저런 생각이 떠오르네용
저도 공부를 더 해야 하는데...
중국에는 선인주수(仙人走獸)라고 하는 잡상이 있습니다. 봉황을 탄 신선이 맨 앞에 있고 뒤로 용, 봉황, 사자, 해마, 천마 등짐승들이 쭉 늘어선 것입니다. 사진은 신선을 제외하고 짐승 개수가 9개인 걸 보니 아마도 자금성 건청궁의 잡상을 찍은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태화전에 짐승 개수가 10개라 격이 가장 높은 건물로 평가받습니다.
잡상 자체는 중국으로부터 건너온 게 맞을 겁니다. 14세기 말 이후 일본이 중국이나 한국과 교류가 거의 없었던 일본에서 잡상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 것도 그... 더 보기
중국에는 선인주수(仙人走獸)라고 하는 잡상이 있습니다. 봉황을 탄 신선이 맨 앞에 있고 뒤로 용, 봉황, 사자, 해마, 천마 등짐승들이 쭉 늘어선 것입니다. 사진은 신선을 제외하고 짐승 개수가 9개인 걸 보니 아마도 자금성 건청궁의 잡상을 찍은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태화전에 짐승 개수가 10개라 격이 가장 높은 건물로 평가받습니다.
잡상 자체는 중국으로부터 건너온 게 맞을 겁니다. 14세기 말 이후 일본이 중국이나 한국과 교류가 거의 없었던 일본에서 잡상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 것도 그... 더 보기
저도 공부를 더 해야 하는데...
중국에는 선인주수(仙人走獸)라고 하는 잡상이 있습니다. 봉황을 탄 신선이 맨 앞에 있고 뒤로 용, 봉황, 사자, 해마, 천마 등짐승들이 쭉 늘어선 것입니다. 사진은 신선을 제외하고 짐승 개수가 9개인 걸 보니 아마도 자금성 건청궁의 잡상을 찍은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태화전에 짐승 개수가 10개라 격이 가장 높은 건물로 평가받습니다.
잡상 자체는 중국으로부터 건너온 게 맞을 겁니다. 14세기 말 이후 일본이 중국이나 한국과 교류가 거의 없었던 일본에서 잡상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 것도 그 단서 중 하나입니다. 한국에 잡상이 전래된 시기는 송대부터라는 설도 있고 고려 말 원대부터라는 설도 있습니다.
궁궐 건축에서 잡상 사용이 유행한 것은 임란 이후였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잡상이 형태면에서 명청대의 것들과 차이가 많이 나니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했다고 보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중국에는 선인주수(仙人走獸)라고 하는 잡상이 있습니다. 봉황을 탄 신선이 맨 앞에 있고 뒤로 용, 봉황, 사자, 해마, 천마 등짐승들이 쭉 늘어선 것입니다. 사진은 신선을 제외하고 짐승 개수가 9개인 걸 보니 아마도 자금성 건청궁의 잡상을 찍은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태화전에 짐승 개수가 10개라 격이 가장 높은 건물로 평가받습니다.
잡상 자체는 중국으로부터 건너온 게 맞을 겁니다. 14세기 말 이후 일본이 중국이나 한국과 교류가 거의 없었던 일본에서 잡상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 것도 그 단서 중 하나입니다. 한국에 잡상이 전래된 시기는 송대부터라는 설도 있고 고려 말 원대부터라는 설도 있습니다.
궁궐 건축에서 잡상 사용이 유행한 것은 임란 이후였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잡상이 형태면에서 명청대의 것들과 차이가 많이 나니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했다고 보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으 뭔가 연구하면 재미난게 나올것같아요 ㅎㅅㅎ
근데 원래 사오정을 저렇게도 표기하나요?
사화상이 沙和尙이 아니라 獅晝像이라는 점이 조금 걸리는데... (주수상 사자 자리고)
창덕궁의궤 내용이 제일 신뢰도가 높으니 추측해 보자면, 원래는 손행자만 있고 나머지는 야담에서 조금씩 늘리고 바꿔준 게 아닐까요 ㅎㅅㅎ
만약 그렇다면 손오공이 등장한 건 불교보다는 도교 전승에 가깝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손행자매라는 수수께끼의 인물도 그렇고...
처음에는 도교의 벽사신으로서 손행자를 넣었는데, 그게 서유기 내용을 연상시키면서 다른... 더 보기
근데 원래 사오정을 저렇게도 표기하나요?
사화상이 沙和尙이 아니라 獅晝像이라는 점이 조금 걸리는데... (주수상 사자 자리고)
창덕궁의궤 내용이 제일 신뢰도가 높으니 추측해 보자면, 원래는 손행자만 있고 나머지는 야담에서 조금씩 늘리고 바꿔준 게 아닐까요 ㅎㅅㅎ
만약 그렇다면 손오공이 등장한 건 불교보다는 도교 전승에 가깝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손행자매라는 수수께끼의 인물도 그렇고...
처음에는 도교의 벽사신으로서 손행자를 넣었는데, 그게 서유기 내용을 연상시키면서 다른... 더 보기
으 뭔가 연구하면 재미난게 나올것같아요 ㅎㅅㅎ
근데 원래 사오정을 저렇게도 표기하나요?
사화상이 沙和尙이 아니라 獅晝像이라는 점이 조금 걸리는데... (주수상 사자 자리고)
창덕궁의궤 내용이 제일 신뢰도가 높으니 추측해 보자면, 원래는 손행자만 있고 나머지는 야담에서 조금씩 늘리고 바꿔준 게 아닐까요 ㅎㅅㅎ
만약 그렇다면 손오공이 등장한 건 불교보다는 도교 전승에 가깝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손행자매라는 수수께끼의 인물도 그렇고...
처음에는 도교의 벽사신으로서 손행자를 넣었는데, 그게 서유기 내용을 연상시키면서 다른 잡상들의 성격도 바꿔 버렸다던가 그런 식으로? 삼장법사를 두고 어딜 감히 원숭이가 앞서느냐고 보는 사람들끼리 순서를 바꿨다던가?
근데 원래 사오정을 저렇게도 표기하나요?
사화상이 沙和尙이 아니라 獅晝像이라는 점이 조금 걸리는데... (주수상 사자 자리고)
창덕궁의궤 내용이 제일 신뢰도가 높으니 추측해 보자면, 원래는 손행자만 있고 나머지는 야담에서 조금씩 늘리고 바꿔준 게 아닐까요 ㅎㅅㅎ
만약 그렇다면 손오공이 등장한 건 불교보다는 도교 전승에 가깝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손행자매라는 수수께끼의 인물도 그렇고...
처음에는 도교의 벽사신으로서 손행자를 넣었는데, 그게 서유기 내용을 연상시키면서 다른 잡상들의 성격도 바꿔 버렸다던가 그런 식으로? 삼장법사를 두고 어딜 감히 원숭이가 앞서느냐고 보는 사람들끼리 순서를 바꿨다던가?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