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9/17 18:15:34수정됨
Name   메존일각
Subject   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 탐라에 거북선에 관한 질의가 있어 제가 예전에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조사하였던 내용을 일부 써봅니다.
보고서는 아니므로 몇 가지만 대략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제가 딱히 전문가도 아니고 새로울 것은 없는 자료지만, 다른 곳으로 퍼가는 행위는 금합니다.


[0. 판옥선]

- 명종 연간에 남도포 만호(정4품) 정걸에 의해 완성된 배입니다.
- 당시 기본 군선이었기 때문에 그냥 '전선(戰船)'으로 불렸습니다.
- 갑판 위에 상갑판을 짜올린 다층식 군선으로 당시 획기적인 구조였습니다.



- 상기의 그림은 <각선도본(各船圖本)>에 나오는 판옥선도입니다. <각선도본>은 1800년경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의 판옥선 형태는 모두 이 그림을 바탕으로 합니다. 하지만 이 그림 역시 최초의 판옥선으로부터 250년 정도 흐른 후의 것이므로 최초의 형태와 같은지는 그 누구도 장담하지 못합니다.

- 주요 부재 용어를 설명한 그림입니다.



[1. 현존하는 거북선 그림]

- 거북선은 판옥선 위에 개판과 용머리를 달아 개조한 돌격선입니다.
- 임란 때 이순신에 의해 사용된 거북선은 기존 거북선을 개량한 것으로 보입니다.
- 개량한 거북선을 창제귀선(創製龜船) 또는 별제귀선(別制龜船)이라 부릅니다.

- <이충무공전서>에 실린 두 장의 거북선 그림입니다. 



- 관련된 이야기는 다음 링크에서. https://redtea.kr/?b=3&n=9488



- 덕수이씨 종가에 전하고 있는 거북선도입니다. 이순신의 후손이자 삼도수군통제사까지 지냈던 이언상이 그린 그림이라고 전해집니다.(홍순구 교수) 무시할 수는 당연히 없지만 화법으로 봤을 때 1700년대 중반~1800년대 정도의 그림으로 추정되므로 창제귀선과 어느 정도 유사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 좌측. 안동 출신의 이덕홍이 상소문에 올린 귀갑선도입니다. 임란 당시의 그림이라 귀한 자료로써 참고됩니다만, 이순신의 거북선과의 연관성은 미지수입니다.

- 우측. 정조 연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삼도수군조련전진도(朝鮮三道水軍操練戰陣圖)> 병풍도입니다. 경상좌우 전라좌우 충청수영의 수군들이 모여 매년 봄가을 훈련을 하였는데, 보통 삼도수군통제영이 있던 통영 부근에서 훈련을 하였고 임금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강에서 훈련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위계에 따라 배의 크기가 다른데 구체적으로 묘화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현존하는 옛 거북선 그림을 대체로 이 정도입니다. 


[2. 거북선의 특징]

- 각종 사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거북선의 특징입니다.



ⓛ 거북선 크기: 전술한 바처럼 판옥선(板屋船) 크기와 같습니다.

저판장 15.2m (50자), 상장장 20.6m (68자), 전선장 25.5m (84.1자),
선두광 4m (13.1자), 선요광 6.8m (22.6자), 선미광 3.4m (11.2자)
저판두광 2.8m (9.3자), 저판요광 3.4m (11.2자), 저판미광 2.5m (8.2자)
- 출처: 이원식(2007) “1592년 龜船의 主要 置數 推定에 關한 硏究” (박논)

② 용두: 뱃머리에 용두(龍頭)를 두고 아가리를 통해 현자총통 발사. 또 사각(射角) 조정 가능
③ 철첨: 거북 등처럼 만든 귀배판(龜背板)에 철첨(鐵尖:쇠송곳)을 꽂음.
④ 화포 수: 포혈(砲穴)은 좌우 각 현(舷)에 6개, 용두에 1개, 선미(船尾)에 1개로 모두 14문.
⑤ 화포 종류: 천·지·현·황자포 등 각종 총통 장비. 실전에서 대전(大箭: 큰화살) 많이 발사.

이상입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9-30 10:05)
* 관리사유 :



14
  • 선추천 후정독
  • 질의하면 바로 답이 나오는 홍차넷..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94 일상/생각정독도서관 사진 촬영 사전 답사의 기억 공유 19 메존일각 23/04/12 3064 14
1264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7 메존일각 23/01/04 3022 16
1219 기타24fps/30fps, 60fps. 영상 프레임 레이트에 대한 잡설. 11 메존일각 22/06/29 5990 6
964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4780 18
959 일상/생각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에 대한 반성, 무식함에 대한 고백 18 메존일각 20/05/16 5680 49
913 역사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15 메존일각 20/01/23 5193 12
87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5737 19
872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하- 10 메존일각 19/10/03 5749 17
871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상- 메존일각 19/10/03 5521 19
868 일상/생각최근 홍차넷의 분위기를 보며 50 메존일각 19/09/27 10653 69
861 역사신안선에서 거북선, 그리고 원균까지. 12 메존일각 19/09/18 5671 16
860 역사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22 메존일각 19/09/17 6422 14
854 역사"향복문(嚮福門) 이름을 바꿔라!" 고려 무신정권기의 웃픈 에피소드 메존일각 19/09/01 5392 13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029 7
839 역사일반인이 이해하는 이순신의 거북선 형태 2 메존일각 19/07/30 6013 12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7002 31
813 일상/생각결혼식의 추억 20 메존일각 19/06/02 5261 22
758 문화/예술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간단 정리 13 메존일각 19/01/16 6154 8
728 일상/생각추억의 혼인 서약서 12 메존일각 18/11/14 5526 10
797 역사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10 메존일각 19/04/21 5413 11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5987 11
1309 일상/생각사진에도 기다림이 필요하다. 6 메존일각 23/07/06 1797 13
761 문학서평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김영하 3 메아리 19/01/13 5685 11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164 24
592 철학/종교푸코의 자기 배려와 철학상담(1) 3 메아리 18/02/11 6222 1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