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10/16 22:05:25수정됨
Name   메존일각
File #1   1200px_나주향교_대성전_04.jpg (386.9 KB), Download : 38
Subject   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나주향교 대성전 전경> 출처: 위키피디아

* 타임라인에 쓰려다 보니 내용이 약간 길어져서 자게로 옮깁니다.

조선시대에 향교가 서원에 비해 기피되는 교육기관으로 인식되었다는 얘기는 여기저기서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 들어보시거나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이 글에서 그 배경을 가볍게 언급해 볼까 합니다.

향교는 고려와 조선에 걸쳐있던, 지금의 국립 고등학교 수준의 중등교육기관이었습니다.

조선이 개창하며 유교적 소양을 가진 관리들이 많이 필요해졌습니다. 그래서 이성계는 즉위 원년에 고을마다 반드시 하나씩 향교를 두도록 명합니다.(一邑一校)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국 329개 고을 모두에 향교가 건립된 것으로 나옵니다. 또한, 각 도의 감사에게는 향교 교육을 감독할 의무가 있었고, 향교 교육의 성과를 고을 수령의 치적에 반영하였습니다.

향교는 기본적으로 과거를 준비하기 위한 곳이었습니다. 각 향교에는 교관인 교도가 필요했는데요. 중앙에서는 큰 고을인 주(州)·부(府)에 종6품 교수를, 작은 고을인 군(郡)·현(縣)에는 종9품 훈도를 파견하였습니다.

이제 향교가 점차 위세를 잃는 과정은 간략히 두 가지 정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교도의 질적 저하입니다.

교도를 파견할 향교 수가 너무 많았습니다. 교도 중 교수는 주로 과거 급제자들에서 임명되었는데, 조선시대 과거는 3년에 한 번 치러졌고 대과 급제자 정원은 33명이었습니다. 하지만 향교의 수는 전국에 300개가 넘었고 교수가 파견될 주(州)·부(府) 고을만도 조선 전기 기준 70개가 넘었습니다.

또한, 과거 급제자들은 가급적 중앙 관료로써 출세하고 싶었기 때문에 향촌 파견이 썩 달갑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교관 확보가 여의치 않았고, 조정에서는 경범죄를 지은 관리들을 면책하는 대신 교도로 임명하는 수법도 사용하였습니다. 더 치명적인 것으로 방학 동안에는 녹봉이 지급되지 않았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때문에 교도는 세종대에 벌써 소과에 급제한 생원과 진사 중 뽑기도 하였고, 관찰사가 지방유생 중 학식있는 자들을 학장으로 선발하기도 하였습니다. 참고로 이들은 정식 품계가 없으므로 봉록도 나가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교육의 질이 보장되기를 바라는 것은 어불성설이었겠죠.

두 번째로는 계유정난입니다.

명분 없이 등극한 세조의 영향 탓에 낙향하는 관리들이 늘어, 학문보다 출세 지향적인 과거만을 위한 향교는 인기가 뚝 떨어졌습니다. 성균관과 향교는 정원을 채우지 못했고, 연산군 대에는 성균관을 연회장소로 사용할 정도로 격이 떨어졌습니다.

조정에서도 이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관찰사에게 수시로 향교를 감독하게 하였고 수령의 인사고과에 향교 교육의 성과를 반영케 하였지만, 나날이 교관 경시 풍조는 나날이 심해졌습니다.

결국 향교는 15세기 후반에 들어서며 교육 기능은 쇠퇴하고 문묘에 제사지내고 사회 교화를 담당하는 곳으로 역할이 바뀌게 됩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아예 교관 파견이 중단되고 그 지방에서 자체적으로 교임을 뽑아 운영과 교육을 맡게 할 정도였습니다.

사정이 이러다 보니 16세기 중엽 들어, 명망있는 스승에게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사설 교육기관 서원이 들어서자, 그 위세는 급격히 커지게 됩니다. 학자 연구에 따라 다르지만 전성기 서원의 수는 600여 개에서 900여 개로 향교의 2~3배였을 정도니 더 말할 필요가 없겠죠. 서원이 붕당의 후방기지 역할을 했음도 물론이고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10-29 14:0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9
  • 좋은 글에는 추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94 일상/생각정독도서관 사진 촬영 사전 답사의 기억 공유 19 메존일각 23/04/12 3064 14
1264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7 메존일각 23/01/04 3022 16
1219 기타24fps/30fps, 60fps. 영상 프레임 레이트에 대한 잡설. 11 메존일각 22/06/29 5990 6
964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4780 18
959 일상/생각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에 대한 반성, 무식함에 대한 고백 18 메존일각 20/05/16 5680 49
913 역사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15 메존일각 20/01/23 5192 12
87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5735 19
872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하- 10 메존일각 19/10/03 5749 17
871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상- 메존일각 19/10/03 5520 19
868 일상/생각최근 홍차넷의 분위기를 보며 50 메존일각 19/09/27 10652 69
861 역사신안선에서 거북선, 그리고 원균까지. 12 메존일각 19/09/18 5670 16
860 역사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22 메존일각 19/09/17 6422 14
854 역사"향복문(嚮福門) 이름을 바꿔라!" 고려 무신정권기의 웃픈 에피소드 메존일각 19/09/01 5392 13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028 7
839 역사일반인이 이해하는 이순신의 거북선 형태 2 메존일각 19/07/30 6012 12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7001 31
813 일상/생각결혼식의 추억 20 메존일각 19/06/02 5260 22
758 문화/예술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간단 정리 13 메존일각 19/01/16 6153 8
728 일상/생각추억의 혼인 서약서 12 메존일각 18/11/14 5526 10
797 역사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10 메존일각 19/04/21 5412 11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5986 11
1309 일상/생각사진에도 기다림이 필요하다. 6 메존일각 23/07/06 1797 13
761 문학서평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김영하 3 메아리 19/01/13 5684 11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163 24
592 철학/종교푸코의 자기 배려와 철학상담(1) 3 메아리 18/02/11 6222 1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