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1/23 02:21:31수정됨
Name   메존일각
Subject   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 자기 전에 가볍게 쓰는 글입니다. 



사진은 조선왕릉 앞에서 제사를 지내는 건물, [정자각]입니다. 경치 좋은 곳에 설치된 停子閣이 아니고 T자형 평면을 가진 丁字閣입니다.

지붕 위의 허연 마감이 눈에 띄는데 이것은 [양성바름]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궁궐의 정전이나 침전, 정문, 도성문, 일부 관영건축에서 보이고 건축물의 권위를 상징합니다. 경복궁 등 궁궐에서 한 번쯤 보셨을 것 같습니다.

한데 내림마루 위를 보면 이상한 토우 같은 것이 보입니다. 특수기와로 [잡상(雜像)]이라고 하는 것으로 종류는 총 10가지입니다. 기록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놓이는 순서가 대체로 정해져 있습니다. 그 뒤로 용머리를 한 용두 또는 독수리 모양의 취두 등이 놓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패스하겠습니다. 아무튼 내림마루나 추녀마루의 길이에 따라 잡상 수가 달라지는데 최소 3개 정도는 놓이게 됩니다.

확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맨 앞 '녀석'은 뭘로 보이시나요?
17세기 초에 지어진 <어우야담>에는 '대당사부(大唐師父)'라고 나와 있습니다. 네, 그 유명한 <서유기>의 삼장법사 현장이죠.

그러면 그 다음 녀석들 이름도 대강 짐작이 되시겠네요.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입니다. 손행자(孫行者), 저팔계(猪八戒), 사화상(獅晝像)라고 표기되어 있어요. 정자각에는 없지만 그 다음에는 차례대로 마화상, 삼살보살, 이구룡, 천산갑, 이귀박, 나토두(귀찮으니 한자는 패스)가 있습니다.

20세기 초 기록인 <상와도>에는 그림도 나와 있습니다. 개수는 <어우야담>과 같은데 이름이 조금 다릅니다.


출처: <한국건축용어사전>

그런데 말이죠. 맨 앞 '분'이 정말로 삼장법사로 보이십니까? 몽골식 삿갓을 쓰고 갑옷을 입은 모습을 보면 영락없는 군인 아닙니까? 그리고 철저한 숭유국가 조선에서 불교 인물을 권위 건축물 위에 올려두었다는 게 믿기 어렵잖아요.

17세기 중반에 간행된 <창덕궁수리도감의궤>에 보면 잡상의 이름이 제법 다릅니다. 손행자, 손행자매, 준견, 준구, 마룡, 산화승, 악구 등으로 나와 있어요. 손오공만 그대로네요. 손오공의 성격을 생각해 보면 갑옷을 두른 모습이 그럴 듯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다시 두 번째 사진으로 넘어가서, 정자각의 세 번째 코를 보면 아무래도 개보다는 돼지를 묘사한 게 맞는 것 같잖아요. 알쏭달쏭합니다.

사실 이 잡상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입니다. 잡상 개개의 의미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은 물론이고, 고려 이전에는 잡상이 놓였다는 명확한 사료나 유물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조선시대부터 놓인 것만 확실하게 알려져 있습니다.

왜 <서유기>의 등장인물 이름이 붙었는지도 모릅니다. 국내에 <서유기>가 유입된 것은 여말선초 무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불교적 색채에 괴력난신이 판치는 <서유기>는 공식적으로 배척됐을 것이나, 사대부를 비롯 일반 백성에까지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고 이것이 잡상의 명명에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화마를 제압한다는 의미에서 벽사의 내용이 들어있는 <서유기>가 연결되고, 자연스레 소설의 등장인물 이름이 잡상 하나하나에 붙었을 수도 있겠죠.

P.s.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의 잡상 개수가 다른 것은 다른 정자각이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것은 건릉(정조), 두 번째 것은 융릉(사도세자, 장조 추존)의 것입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2-04 18:0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94 일상/생각정독도서관 사진 촬영 사전 답사의 기억 공유 19 메존일각 23/04/12 3064 14
    1264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7 메존일각 23/01/04 3022 16
    1219 기타24fps/30fps, 60fps. 영상 프레임 레이트에 대한 잡설. 11 메존일각 22/06/29 5990 6
    964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4780 18
    959 일상/생각위안부 피해자 할머님들에 대한 반성, 무식함에 대한 고백 18 메존일각 20/05/16 5680 49
    913 역사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15 메존일각 20/01/23 5192 12
    87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5737 19
    872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하- 10 메존일각 19/10/03 5749 17
    871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상- 메존일각 19/10/03 5521 19
    868 일상/생각최근 홍차넷의 분위기를 보며 50 메존일각 19/09/27 10653 69
    861 역사신안선에서 거북선, 그리고 원균까지. 12 메존일각 19/09/18 5670 16
    860 역사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22 메존일각 19/09/17 6422 14
    854 역사"향복문(嚮福門) 이름을 바꿔라!" 고려 무신정권기의 웃픈 에피소드 메존일각 19/09/01 5392 13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029 7
    839 역사일반인이 이해하는 이순신의 거북선 형태 2 메존일각 19/07/30 6013 12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7002 31
    813 일상/생각결혼식의 추억 20 메존일각 19/06/02 5261 22
    758 문화/예술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의 간단 정리 13 메존일각 19/01/16 6154 8
    728 일상/생각추억의 혼인 서약서 12 메존일각 18/11/14 5526 10
    797 역사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10 메존일각 19/04/21 5413 11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5987 11
    1309 일상/생각사진에도 기다림이 필요하다. 6 메존일각 23/07/06 1797 13
    761 문학서평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김영하 3 메아리 19/01/13 5685 11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164 24
    592 철학/종교푸코의 자기 배려와 철학상담(1) 3 메아리 18/02/11 6222 1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