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23/03/18 23:05:45
Name   [익명]
Subject   교통 관련해서 공공분야에 종사중입니다.
자세하게 얘기하면 다 뽀록날테니...

홍차넷에서도 가끔 이사람 지인인가 싶은 사람이 보일 때가 있어서 조심스럽네요 ㅎㅎㅎ

혹시 공공분야나 교통쪽에 대해 궁금한게 있으신가요?



0


언제나초보
교통관련 서버나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용역 업체들의 서비스에 만족하시는 편이신가요?
[글쓴이]
두 가지 측면에서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절대적으로는 불만족스러운 경우가 더 많은데요, 공공분야의 지출수준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천사의미소
앞으로 전기차가 대세가 된다면, 충전소 확충계획이 어떻게 될까요???
[글쓴이]
전기차가 대세가 될 경우에는 전력공급이 가능한가만 빼면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계획상으론 지금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지금 전기차 충전망 확충 계획의 가장 큰 걸림돌은 주민들 중 대다수가 이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겁니다. (보통)내 차는 전기차가 아니고 그거 들어오면 나는 주차를 못하고, 보통 전기차 충전소는 비어있는 경우가 더 많아서요. 하지만 전기차 차주들은 불편한 상태지요.
에디아빠
UAM 가망 있어보이십니까
[글쓴이]
지금 당장의 기술수준으론 택도 없고, 지금의 규제수준으로는 더욱 안됩니다. 특히 서울은 UAM의 핵심 항로와 거점이 될 곳에 "비행금지구역"이 떡하니 들어와 버려서...뭐 하나라도 아주 큰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공공이 왜 UAM에 이렇게 신경쓰는지 잘 이해는 못하겠습니다 ㅎㅎ UAM은 고급 중 고급 서비스라 사기업이 추진하고 공공은 규제사항만 고려하면 그만이라고 봅니다.
카르스
한국 대중교통의 제일 큰 문제가 뭐라고 보십니까.
[글쓴이]
스코프에 따라 다를텐데요 .
운영단계에서는 시민들의 지불의향액수와 실제 소요비용 사이에 괴리가 점점 커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지불의향엔 재정투입 역시 포함됩니다.
계획단계에서는, 특히 철도의 경우 노선의 지역적 최적과 전역 최적 간에 반드시 발생하는 심각한 괴리를 중재할 만한 파워풀한 기관이 없다는 것이 있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오송역 사태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단 것이지요. 사실 저는 오송역이 정말 잘못 만들어졌다고 생각하지만, 오송 군민들은 이해합니다. 그것을 막지 못한 것은 온전히 국가의 책임이지요.
2
카르스
역시 요금과 핌피가 문제군요.

스코프를 언급하셨는데
도시철도, 광역철도, 전국단위철도로 스코프를 나누면 각각 어떤 문제들이 있나요? 요금과 핌피 외에.
[글쓴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도시철도는 요금과 지자체별 지속가능성이 가장 큰 이슈고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광역철도는 아직 우리나라에 광역철도의 정의에 해당하는 노선이 없다고 봅니다. GTX가 개통되어야 이슈가 발생할 것 같습니다. 법적으로 정의된 광역철도라면 짧은 역간거리로 인한 느린 속도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전국단위 철도는 말씀하신 핌피현상도 큰 문제이고, 무궁화호 이하의 완행노선들의 지속가능성 역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1
항공 교통 물류 연구용역의 비용과 품질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시나요?
[글쓴이]
일반적으로 교통분야와 물류분야는 교집합은 있지만 분리되어 있습니다. 저도 물류를 배우긴 했지만 현황에 대해서는 어둡기 때문에 함부로 말씀드리기가 어렵군요.
공공쪽에서 항공연구는 코티쪽에서 거의 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연구성과물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Mandarin
자동차 속도를 제한하는 법을 만들지 않고
과속카메라로 단속하는 이유가 있나요?
[글쓴이]
각 도로별, 차종별로 자동차 속도제한이 다르고 최대속도에 관한 법령 역시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계적으로 속도를 막아야 할 이유는 없죠.
예를들어 고속도로 최고속도가 120킬로라서 이것으로 기계적 제한을 둔다 한들, 대부분의 도로는 한계가 이것보다 아래인데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Mandarin
실제로 화물차는 속도제한 장치가 붙어있잖아요. 해외 일부국가에서는 승합차도 속도제한 장치가 붙어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정답이 있는 사안은 아니라 관련 종사자의 의견이 궁금하였읍니다.
[글쓴이]
화물차는 일반차하고 별개로 보셔야 합니다 ㅎㅎ
브레이크 고장 확률이나, 사고 났을때의 피해라든가 충분히 기계적 제한일 걸 만한 이유가 있지요.
제 개인적 견해로는 승용차에는 걸 이유가 없어보입니다.
Mandarin
승용차도 속도에 비례해서 사고확률과 피해정도가 커지잖아요.
저는 자동차 산업과 연계해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어쨋든 답변 감사드립니다!
Cascade
왜 항공박물관은 멋지게 새로 지었는데 철도박물관은 개판5분전으로 방치하는 걸까요
1
[글쓴이]
뭐 다 돈 문제지요...매년 막대한 적자를 보는 코레일 입장에서 거기에 신경쓸 겨를이 잘 없을겁니다.
항공박물관은 국토부 기관이기도 하니 좀더 나을겁니다. 하지많지은지 얼마 안된 시설물이니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가 없습니다?
1
Cascade
제가 언젠가 바꾸고 말겁니다(?)
1
아이스 커피수정됨
택시들의 운전 습관은 왜이렇게 과격할까요? 만일 택시 요금을 일본·영국 등의 수준으로 인상한다면 서비스가 개선될 수 있을까요?
[글쓴이]
택시기사들의 운전습관이 과격한 이유는 굉장히 여러가지가 있지만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1. 택시운전자의 고령화로 인해 운전자의 반응속도가 떨어집니다. 이론적으로, 이 경우에 높은 감가속을 요하게 됩니다.
2. 시간요금에 비해 거리요금이 높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장거리를 뛰는 것이 택시기사에겐 이익입니다.

일본이나 영국 수준으로 택시요금을 인상한다면 택시업계는 고사하지 않을까요? 우리나라 교통체계는 매우 낮은 요금을 특징으로 합니다. 실제 카카오 벤티나 이전 타다와 같은 고급 모빌리티 서비스도 그정도 요금으로 제공되지 않았죠.
1
아이스 커피
세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다른 질문인데, 수도권에서 차고지증명제를 시행하는 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글쓴이]
정책적으로는 매우 필요한 제도지만 현실적으로 정말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차고지증명제가 필요하다는 것은 최소 학술적으로는 합의가 되어있다고 봅니다만...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죠.
1
*alchemist*
교통공학 전공자시려나요.. ㅋ 그러면 가까운(?) 분야이기늠 한데 말이죵 ㅎㅎ
[글쓴이]
(모르는척)
언행을 좀더 조심해야겠군요 ㅎㅎㅎ
*alchemist*
ㅎㅎ 저는 도시공학 학부 전공자에 교통공학은 학부…에서도 지식이 얕은데다 인제는 부동산쪽 일해서 그마저도 다까먹고 몇몇 개념만 기억하고 있는터라 ㅋㅋㅋ 저랑 겹치시기는 어려울 거 같기는 합니다 ㅋ;
[글쓴이]
다행입니다 ㅎㅎㅎ
국토부는 왜 인천공항 몰빵에 집착하는 걸까요?
정말 한진그룹 눈치보기 때문인가요?
(수도권 우선주의 아닌 것은 알고 있읍니다. 김포도 홀대받고 있으니...)
[글쓴이]
국토부가 인천공항 몰빵에 집착하나요? 사실 저는 그것조차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인천국제공항은 공항개발계획상 중추공항이라는 상급 위계에 있습니다. 다른 공항보다 더 많은 사회적 자원이 투입되는건 매우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실제로 윗선에서 그런 움직임이 있는지 모르겠으나, 사실 공공분야 종사자들은 보통 사기업 눈치를 본다는 말 자체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ㅎㅎ
단순히 돈을 많이 쓴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다른 국제공항의 성장을 억제 내지는 방해하려는 경향 때문입니다. 국내선이나 단거리 국제선은 놔둬도 장거리 노선 못만들게 하고 슬롯도 안주고 확장도 미온적이고... 특히 김해는 피해를 제일 많이 받았으니까요
[글쓴이]
그렇습니까? 제가 국토부에서 "못하게"했다는 얘기는 지금 처음 듣네요.
혹시 관련 레퍼런스가 있다면 제가 답변드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제가 전문가거나 업계 종사자가 아니고 이 문제는 전후사정이 외부에 상세하게 실리거나 하는 게 아니라서 문서화된 레퍼를 소유하고 있지는 않읍니다. 자료를 다 들고 있었다면 사정을 다 알 터이니 이런 질문을 드리지도 않았겠지요… 그렇다고 누군가가 설명하는 글을 레퍼랍시고 드릴 수는 없기도 하구요
Hoxy 제 이야기가 사실과 다르다고 보신다면 그냥 그렇다고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아니 그 이전에 국토부나 그 산하기관에서 일하시는 거면 이 주제는 제가 사과드리고 그냥 질문을 철회하겠읍니다…)
[글쓴이]
철회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ㅎㅎ 곤란하다거나 한것도 아니구요, 그냥 제가 잘 모르는? 들어본 적 없는? 얘기라 궁금해서 여쭤본 것입니다.
넵 잘 알겠읍니다...
천하대장군(전문가)
유로6 규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글쓴이]
유로6과 같은 배출가스 규제는 교통공학자들에겐 일종의 "받아들여야 할 사항"이지 규제 자체의 합리성을 논하긴 어려운 내용입니다. 그래서 세부적인 내용을 잘 알지 못합니다.
천하대장군(전문가)
지금 개선되는 50/30도 그렇지만
몇년전에는 클린디젤이라더니
이제는 dpf기술이 올라와서 정작 배출도 적은데
규제만 늘어나고 황당합니다.
더 황당한건 1년 가동시간이 1-2주 미만인 농기계도 유로6 기준에 해당되어
성능은 저하되고 가격만 올라갔습니다
어이가 없습니다
[글쓴이]
반사!
트램 깔아주세욬ㅋㅋㅋㅋㅋ 트램 많이 생길까요 ?
[글쓴이]
트램은 엄청나게 명쾌한 장단점이 있지요.
일단 지금 이미 도심지가 성립되어 있는 곳에는 들어가는게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왜냐면 "도로가 한 차선 줄어든다"는 점 때문에 주민들 반대가 어마어마해요. 그래서 정책결정이 좀 힘듭니다.
하지만 새로 신도시를 짓는다거나, 차없는 도심 같은 정책을 수행할 때는 상당히 많은 장점을 가졌죠.
우리나라에 미국 비슷하게 교외수요가 발생하면 트램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도심 베드타운 위주의 수요 하에서는 많이 깔리기가 좀 어렵습니다.
1
카르스
https://www.theglobaleconomy.com/rankings/railroad_quality/
WEF 기준으로 한국 철도인프라 질이 일본, 홍콩, 스위스 다음으로 좋아서 4위에 랭크되었는데
정말 이 정도 급이라고 보시나요?
[글쓴이]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오히려 좀 저평가가 아닐까 싶은게 상기한 국가들은 철도인프라가 굉장히 잘 되어있지만 그만큼 비싸기도 합니다.
이 가격에 이정도 철도를 공급하는 국가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4
주니파
언제쯤 AI 가 CCTV 를 통해 교통 흐름을 받아서 신호를 통제하여 최적의 교통 상황을 만드는 시스템이 구성이 될까요?
서울 정도의 인구 밀도를 가진 도시는 이게 필수라고 생각해서... 이제는 기술적으로도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 같은데요.
제가 대학원 시절 비슷한 프로젝트와 관련 주제의 논문을 본게 벌써 10년도 넘었는데 아직 실현되고 있다는 소식은 못 들었습니다.
해외 일부 신도시들에는 적용이 되고 있다는걸 얼마전에 얼핏 들었던것 같습니다.
[글쓴이]
관련 전공자이신거 같아서 조금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AI가 포함되진 않았지만 실시간 교통운영 개념 자체는 나온지 10년 정도 됐습니다. ATDM(Active Transportation and Demand Management)이라고 해서 미국 연방고속도로관리국에서 나온 백서도 있고 하니 관심이 있으시면 찾아보시면 좋습니다.(https://ops.fhwa.dot.gov/atdm/index.htm)
일단 기술적으로 저는 아직 갈길이 멀다고 봅니다. 이유는... 더 보기
관련 전공자이신거 같아서 조금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AI가 포함되진 않았지만 실시간 교통운영 개념 자체는 나온지 10년 정도 됐습니다. ATDM(Active Transportation and Demand Management)이라고 해서 미국 연방고속도로관리국에서 나온 백서도 있고 하니 관심이 있으시면 찾아보시면 좋습니다.(https://ops.fhwa.dot.gov/atdm/index.htm)
일단 기술적으로 저는 아직 갈길이 멀다고 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복수 신호에 대한 신호최적화는 NP-완전이 거의 확실한 문제라서 제한시간 안에 해를 찾기가 극도로 어렵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AI등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데, 일단 사회적으로 "신호가 떡이 됐을때 어디부터 풀어줘야 하나"를 합의하는 것 - 목적함수를 정의하는 것부터가 문제가 됩니다.
ex) 영동대로의 정체를 풀기 위해 테헤란로나 남부순환로의 용량을 줄인다면 그것이 용인이 될까요?
2. CCTV를 통한 교통량의 수집이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물론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은 눈부시게 발전했으니 아주 불가능한건 아닙니다만, 현행 CCTV가 이것을 고려해서 설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프라 투자가 필요합니다.
3. 특히 서울같은 대도시권의 경우 2천개에 육박하는 신호교차로가 있습니다. 이것을 모두 한꺼번에 최적화하는 것은 굉장히 넓은 해공간을 자랑합니다. 단순하게 교차로 천개라고 하고, 각 교차로의 선택 시나리오를 4개만 잡아도 해공간이 4^1000입니다. 이정도가 되면 당연히 강화학습으로 처리가 안됩니다.

AI를 이용해 모두 최적화하자...이것은 저는 앞으로도 안될것이라고 보고, 일부 중요 신호등을 통제하자는 것 정도는 머지 않은 미래에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니파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AI 분야 연구를 하고 있지만 해당 도메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지 못했는데 관련 문제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결국 도로의 흐름이란게 알고리즘 복잡도도 문제지만 기본적으로 폐쇄망이 아니라 외부로 부터 유입이 전제가 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문제의 난이도가 높은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목적함수의 설정도 큰 문제네요. 단순 전체의 교통 흐름 속도나 T+1 타임의 도로 복잡도를 최적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서울 전체 교통 흐름을 위해 멀쩡히 순항하던 내가 있는 도로가 손해를 ... 더 보기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AI 분야 연구를 하고 있지만 해당 도메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지 못했는데 관련 문제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결국 도로의 흐름이란게 알고리즘 복잡도도 문제지만 기본적으로 폐쇄망이 아니라 외부로 부터 유입이 전제가 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문제의 난이도가 높은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목적함수의 설정도 큰 문제네요. 단순 전체의 교통 흐름 속도나 T+1 타임의 도로 복잡도를 최적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서울 전체 교통 흐름을 위해 멀쩡히 순항하던 내가 있는 도로가 손해를 보는 상황을 납득 할것인가의 문제도 있고 목적함수를 최적화하기를 위한 데이터를 모으는 것도 쉽지 않은 영역이네요. 외부 유입의 변화에 따른 평가 함수를 만드는 것도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사실 이전부터 관련한 내용을 알고는 있었는데 막연히 생성형AI가 나온 이시점 쯤이면 해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어떤 분야든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Mariage Frères
혹시 mini motorways 해보신적 있으신가요..?ㅋㅋ

https://youtu.be/1F74-CMFRPA
[미니 모터웨이] 도로교통공사는 신이고, 나는 X신이다 (Mini Motorways)
[글쓴이]
제가 이거 답변을 안 달았었군요;; 늦게 답변드려 죄송합니다.
이거 많이 해봤고 아무래도 비전공자보단 좀 수월했지 싶습니다 ㅎㅎㅎㅎ
1
Echo-Friendly
ㅎㅎ 아닙니다 죄송은요!
역시 신이셨군요…!!
저는(이하 생략)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97 초코아이스크림 먹고있읍니다 24 [익명] 23/05/06 2243 0
2096 외국 친구와 연애중입니다 13 [익명] 23/05/02 2446 0
2095 30대 마지막해를 보내고 있습니다 또륵 32 로비라울러 23/04/25 2917 1
2094 어제 결혼 했습니다. 61 자몽에이슬 23/04/10 4183 10
2093 놀아주세요 52 나단 23/04/03 2491 0
2091 힘들고 정신없어서 리프레쉬겸 ama함 열어봅니다. 37 whenyouinRome... 23/03/29 2566 0
2089 취미생활(클라이밍, 베이킹, 게임, 육아) AMA 받읍니다. 31 쉬군 23/03/23 2217 0
2088 우리회사를 소개합니다. 11 [익명] 23/03/20 2665 0
2087 교통 관련해서 공공분야에 종사중입니다. 50 [익명] 23/03/18 2418 0
2086 미국 주립대학 조교수입니다. 34 Four Roses 23/03/16 3837 1
2085 실리콘 밸리 데이터 직종 2년차입니다 24 다시갑시다 23/03/14 2705 1
2083 개신교 신학생입니다. 66 [익명] 23/03/05 3161 0
2082 공공기관 전산직에 근무 중인 비전공자입니다 9 [익명] 23/03/04 3051 0
2080 30대 의대생입니다. 32 땡땡 23/02/22 5232 0
2079 비건생활 4년차입니다 31 오쇼 라즈니쉬 23/02/21 2673 0
2078 주기적으로 찾아온 다이어트 질문받는글 37 똘빼 23/02/19 2652 1
2076 아버지 재산 총 50억인 집 딸입니다. 37 studentforever 23/02/02 4328 0
2075 스팀덱 받았습니다 23 인생은서른부터 23/02/01 2512 0
2074 2022년 열심히 버텼습니다. (니트라이프 이벤트 AMA) 10 BitSae 23/01/27 2364 3
2073 설날 캐리비언베이-에버랜드 1박2일 일정으로 놀다왔습니다. 12 메타휴먼 23/01/22 2356 0
2072 한약국집 막내아들입니다. 24 아거 23/01/13 2787 0
2071 만 29살 중견기업 신입사원입니다. 15 [익명] 23/01/13 2729 0
2070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 54 [익명] 23/01/11 2969 0
2069 맥주책 공동집필에 참여했읍니다. 77 [익명] 23/01/09 2793 0
2068 의과대학 전임교원 합격했습니다 42 [익명] 23/01/04 286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