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1/04 00:31:04수정됨 |
Name | Leeka |
File #1 | 스크린샷_2021_01_04_오전_12.24.51.png (85.6 KB), Download : 22 |
File #2 | 스크린샷_2021_01_04_오전_12.26.52.png (215.3 KB), Download : 19 |
Subject | 서울 아파트값, 다주택자가 적어질수록 더 많이 올랐다. |
http://www.khi.re.kr/notice/notice3.php?boardid=pds&mode=view&idx=147&sk=&sw=&offset= 주택산업연구원에서 직접 발표한 연구 보고서 내용입니다. 상세 내용은 위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 그러나 서울의 경우는 수급(-0.58), 경제성장율(0.28), 주담대증가율(0.13), 금리변화(-0.01) 로 수급요인의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주택비율의 영향요인은 (-0.71)로 역상관성이 매우 크게 나타나 다주택비율이 낮아질수록 아파트값 상승폭은 매우 커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주택보유 억제가 집값 안정에 절대적이라는 투기억제론자들의 주장과는 전혀 반대의 결과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동구권 사회주의 국가들이 구소련방시대에 1가구 1주택소유정책을 유지하다가 독립후 차츰 시장경제로 개방되면서 도시화와 경제성장기에 주택시장에 유통가능물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매매가와 임차료가 급상승했던 현상에 대한 설명력을 가지며, 계약자유와 잦은 경기변동으로 불안정적인 주택수급 특성을 갖는 시장경제체제에서 1가구 1주택 정책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물론 지방의 경우에는 다주택자가 적어지면 집값이 내려가긴 했습니다만 '서울 아파트'를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주택산업연구원 자료에서는 '다주택자가 1순위 - 수급이 2순위 - 경재성장률이 3순위' 로 조사되었습니다. 다주택이 줄어들수록 '전세/월세'가 오르면서 '매매'가를 밀어올리는 현상 + 매매수요의 증가 (이돈주고 임차하느니 사고 만다) & 1주택자의 경우에는 '정말 호가 그냥 올려놓고. 안팔리면 걍 살지 뭐' 해버리면서.. 다주택자는 이자, 세금, 다른곳에 대한 투자. 등등으로 인해 '오히려 장기 보유를 안하고 순환'을 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1주택자는 '원하는 가격이 아니면 그냥 안팔고 존버' 해버리기 때문에... 시장에 공급이라는 측면에선... 물론 서울 기준이고 지방의 경우엔 '다주택자들이 작업하면서 가격을 뻥뻥' 올리는게 포인트다보니. 다주택자가 늘어날 때 집값이 오르는게 맞다고 지표로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이 해석이 '결과론적인 해석이다' 라고 볼 수도 있고.. 다양한 시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암울해지는건 '다주택자가 계속 줄었다는거죠'.. 다주택자가 집을 팔면 서울에 들어갈 수 있지만 1주택자는 이 사람이 지방으로 내려가지 않는한. 결국 서울 1집이 서울 1집으로 바뀌는거라. 신규 공급은 없는거라서.. 다주택자가 엄청나게 줄었다는건. 공급이 줄고 있다는 다른 신호기도 하니까요.. 참고로 주택산업연구원의 경우 '국토교통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와 함께하는 기관입니다.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