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4/09 16:29:39
Name   아침커피
Link #1   https://crmn.tistory.com/129
Subject   너의 살았어야 했던 고향은
"XX야, XX는 어디 사람이야?"
"옹꽁아암. (홍콩사람.)"
"아니야, XX는 한국 사람이야."
"나는 옹꽁 아는데? (나는 홍콩 사는데?)"

순간 뭐라 대답해야 할 지 말문이 막혔다가 "아빠도 한국 사람이고 엄마도 한국 사람이니까 XX도 한국 사람이지." 로 대화를 마무리했다. 다행히 애가 더 묻지는 않았다. 교포 2세들이 정체성 혼란을 겪는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아직 유치원도 안 가는 아이가 이럴 줄이야. 그래도 일 년에 서너 달은 한국에 보내 놨었는데. 집에서도 일부러 한국말을 썼는데. 그런데 홍콩 영주권도 없으면서 자기가 홍콩 사람이라니. 나는 겪어본 적 없는 저 정체성 혼란에 어떻게 대응해줘야 할 지 머릿속이 하얬다.

아니, 아니지. 나도 정체성 혼란을 겪은 적이 있구나.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다 북한 분이셨다. 할아버지는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돌아가셨지만 나는 어릴 때 할아버지 친구분들을 자주 뵈었다. 실향민들은 대부분 친척이 적다. 친척이 북한에 남아 있으니까. 그래서 실향민들끼리는, 특히 동향 사람들끼리는 정말 가깝게 지낸다. 할아버지 친구분들도 그래서 나를 좋아하셨던 것 같다. 내가 어린이였을 때 하루는 할아버지 친구분들이 나에게 물으셨다.

"너는 고향이 어디야?"
"경기도 XX시요."
"예끼! 평안북도 XX군이라고 해야지!"

괜히 혼난 나는 기분이 안 좋았다. 나는 태어나서 경기도에서 산 기억밖에 없는데 왜 나를 평안북도 사람이라고 하시는건지. 그런 나를 붙잡고 할아버지 친구분들은 연습을 시키셨다.

"자, 너 고향이 어디라고?"
"평안북도 XX군이요."

이해는 안 갔지만 나는 원하시는 대답을 해 드렸고 할아버지 친구분들은 만족해하셨다.

우리집 애도 이런 상황일 거다. 자기는 놀이터에서 친구들하고 놀 때 한국말을 한 마디도 안 하는데, TV에서도 한국말이 안 나오는데, 밖에 나가면 다 한자와 알파벳으로 된 간판뿐인데 왜 엄마아빠는 나를 한국사람이라고 할까. 그렇게 궁금해하다가 엄마아빠가 하도 너는 한국사람이라고 하니 그냥 그렇다고 해 두자 한 것은 아닐까. 몇십 년 전 내가 그냥 평안북도 사람 하기로 했던 것 처럼.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향이 한 곳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고향이 두 곳이다. 그 사람들에게는 나의 살던 고향이 있고 조부모 혹은 부모가 말해주는 너의 살았어야 했던 고향이 또 있다. 이 사실을 깨닫고 나니 왜 평안북도 역시 내 고향이 될 수 있는지 이제야 이해가 간다. 하지만 아직 어린이인 우리 애에게 이 것을 이해시킬 자신은 지금은 없다. 너도 고민하다 보면 어느 순간 깨닫게 되겠지.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그 과정도 재미있을거야.



12


    그저그런
    반갑습네다. 조도 피안도 출신입네다.
    1
    아침커피
    반갑습네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2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31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03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0 + dolmusa 25/04/25 575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33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489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06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76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0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78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69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2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37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4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4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84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86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25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1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6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0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3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8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1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4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