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8/10 17:17:35수정됨
Name   은머리
Subject   흑인 정체성정치의 피로함과 미국의 맑시스트
https://www.nytimes.com/2020/06/19/us/politics/bernie-sanders-protests.html?fbclid=IwAR21klRwe7PWa41gKsnmsQP-TS8Azy6cHv9EizBfFZSZajPrY6Oyv1Kj7BA

이건 2020년 6월 19일 뉴욕타임즈 기사입니다. 버니 샌더스의 지난 대선캠페인 얘기예요. 그는 줄기차게 보편적인 의료보험제와 부자증세를 주장해 왔지요. 물론 경찰폭력도 강력하게 규탄을 했습니다. 버니의 아젠다들에는 흑인커뮤니티의 두드러진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정책들이 많아요. 보편적 의료보험제는 흑인의 유아 사망률, 임산부 사망률을 개선하고 마리화나 합법화와 현금보석 금지도 흑인남성의 대량 수감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죠. 그치만 버니가 흑인차별을 규탄하는 데 있어서는 다른 프로그레시브한 정치인들만큼 적극적이지 않았다고 기사는 전해요. 그는 딱히 흑인들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메세지보다는 경제불평등을 해소하겠다는, 보편적인 해결의지를 더 강하게 피력했죠.

이 기사에 아래 소요님의 [상호교차성 전쟁]글에 등장하는, 이 개념의 고안자 킴벌리 크렌쇼가 나와요. 크렌쇼는 민주당의원들보다 오히려 대기업들이 흑인차별에 대한 문제의식이 뛰어나다며 민주당을 비판하죠. 아마존이나 페이스북같은 거대 테크 기업들은 BLM 운동단체에 엄청난 기부를 했고 다른 많은 기업들도 문화전쟁에서 철저하게 소수자편이니까요.

아마 제가 이 기사를 2020년에 읽었더라면 그렇겠다 이해를 했을 겁니다. 지금은 피로감이 상당히 쌓였어요.

미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이슈는 의료보험과 총기문제입니다. 지금 미국에서 의료보험 문제가 제기되는 건 잦지도 않고 언급이 되는 방식도 높은 흑인 유아사망률은 인종차별 때문이다, 흑인 임산부의 조산율도 인종차별 때문이다로부터 시작해 해결책은 보편적인 의료보험이라고 해요. 고학력 흑인남성이 백인보다 평균수명이 짧은 것도 인종차별 때문이랍니다. 왜일까 들여다봐도 식습관이나 문화에 근거한 설명은 하나도 없고 정량화된 데이타도 없고 그냥 직장생활하면서 당하는 인종차별경험이 비약적으로 단명의 요인으로 제시돼요. 동의하는 내용도 있는데 기사의 바탕이 된 저런 논문을 작성한 사람들은 논문 쓰는 법도 모르나 싶고 그렇습니다. 학자금빚도 미국에서 큰 사회문제 중 하나인데 흑인들의 빚규모가 유독 큰 건 인종차별 때문이라고 안 하는군요. 그냥 힘드니까 빚을 탕감해줘야 한대요.

경찰폭력도 흑인차별이슈로 부각되어 심심풀이 땅콩으로 등장하는데 미국 폴리싱의 문제는 사회에 너무 많은 총이 바로 핵심이에요. 그런데 총기규제가 해결책으로 조명이 잘 안 되고 있어요. 흑인 괴롭히는 백인경찰서사로 문화싸움하느라 바쁘거든요.

Black Lives Matter 운동가들 다수는 보통 스스로를 네오 맑시스트라고 합니다. 계급싸움에 인종을 삽입해 사회를 해석하죠.

마르크스주의 하면 공산주의만 떠올리며 학을 떼는 사람들이 다수인 미국에서 자본가를 상대로 노동자의 권리를 쟁취하는 데 진지하게 천착하는 맑시스트 언론사 중 Jacobin이 있어요. 자코뱅과 BLM은 그리 친해 보이지 않아요. 자코뱅이 계급주의 타파라는 보편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반면 BLM은 흑인인권이 주요 아젠다인 정체성정치를 추구하거든요.  

크렌쇼는 인종불평등이슈에 엄청 협조적인 대기업들이 오히려 민주당의원들보다 낫다고 했지만 자코뱅식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렇게 대기업 상찬하면 최저임금을 올려주냐 노동환경을 개선시켜주냐 이런 마음이죠. 민중을 위해 싸워야할 급한 아젠다들이 많은데 정체성정치가 주의를 뺏어가서 상당히 못마땅해 합니다. 아마존은 BLM 단체에 천만불을 기부했지만 BLM 리더는 민주당 정치인들 정치후원하고 어디서 돈이 생겼는지 개인적으로는 3백만불 들여 집을 네 채나 구매해 백인동네에서 살아요. 내부적으로 같은 흑인들한테 소송 당하고 있으면서 끝까지 회계공개를 않고 있죠.

그 운동가들의 의심스러운 행위가 흑인들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라 리버럴 언론에서 일체 조명이 안 되었어요. 사실 그들이 받았다고 인정한 금액만도 1조원이 넘는데 흑인커뮤니티 지원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건 상당히 문제적이죠. 엘에이에서 흑인소상공인들이 많이 모여있는 볼드윈 힐스 크렌쇼(Baldwin Hills Crenshaw) 대형 쇼핑몰을 젠트리피케이션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해 흑인시민단체와 주민들이 1.15억달러를 모아 최고의 경매가로 비딩을 했지만 백인 소유주가 다른 건설사에 팔아버린 일이 있었어요. 1조원 넘게 자금을 모은 BLM 운동단체가 철저하게 그들편인 리버럴 언론사와 자금력을 이용했으면 결코 빼앗겼을 리가 없지요.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정체성정치를 비판하는 방식은 참신한 데가 있습니다.

https://youtu.be/aBIJK-uxmIQ
Against Workplace Antiracism Training


스미스 대학이란 데가 있어요. 2018년 흑인학생이 인종차별을 제기하며 학교에 소송을 겁니다. 보조 교사로 일을 하다가 캠퍼스 어디에 앉아 점심을 먹는데 학교관리인이 경찰을 부른 거예요. 학생은 이걸 공론화합니다.

학교는 공식사과를 하고 관리인은 직무정지시키고 인종차별을 시정하기 위해 뭔가를 신설합니다.

교내 경찰에 대한 관리강화
평등 및 다양성 전문가영입
흑인학생들을 위한 기숙사 공간 마련
백인 그룹스터디를 통한 백인우월주의 타파, 반인종차별 지향
모든 피고용인은 반인종차별 교육을 의무수료해야 함.

그런데 뉴욕타임즈가 보도하길, 독립조사기관에 의하면 스미스 대학의 그 사건이 인종차별사건이라고 판단할 수 없었다고요. 학생은 여름동안 문을 닫고 있던 기숙사 라운지에서 밥을 먹고 있었어요. 60대의 관리인이 그걸 봤고 캠퍼스 치안담당관에게 보고를 합니다. 왜냐면 모든 직원들은 접근제한 지역에서 낯선 사람을 보면 보고를 하는 것이 의무거든요. 캠퍼스 경찰이 현장에 가 보니 낯익은 학생이었고 식사하는데 방해해서 미안하다며 서로 친근하게 얘기를 끝냈죠.

그러나 결국 학생은 자기 생각에 경찰을 부른 사람인 것 같다고 짐작되는 백인직원 두명의 신상과 이멜을 공개,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비난을 합니다. 실제 그 일과 상관이 없었던 두 백인직원은 SNS, 우편, 이멜을 통해 괴롭힘을 당하다가 한 명은 그만두고 다른 한 명은 팬데믹기간동안 레이오프를 당한 뒤 직장 구하기가 매우 힘들어졌다고요.

이 직원들은 미국에서 중위값 아래에 속하는 연봉 4만달러의 노동자였어요. 수업료 비싼 이 사립대학은 사건의 진위와는 상관없이 값싼 노동자 몇몇을 희생타 삼은 것이고 반인종차별 교육도 모든 직원들을 대상으로 했다지만 고액의 연봉을 받는 종신 교수들은 예외였어요. 뉴욕타임즈에 의하면 직원들은 반인종차별 교육이 불편했고 심리적으로 침해당하는 느낌에 냉소적인 기분만 들게 했다고 합니다.

영상에는 백인직원 한 명이 등장해 교육받던 상황을 설명하는데요. 원래 직장에서 종교얘기하는 것도 싫어하는데 정체성 이런 거 가지고 마치 심리치료하듯 얘기나누는 거 불편하다고 상사에게 얘기했더니 그러면 수업 중에 불편하다고 의견을 말하라고 합니다. 수업에 참여하니 강사왈, 자신의 인종정체성에 대해 유년시절, 청소년시절, 대학시절의 맥락에서 설명하라고 합니다. 직원은 인종정체성은 물론 자신의 모든 사생활을 직원과 나누라고 강요하니까 기분이 더 상했죠. 다들 인종정체성에 근거한 개인경험담을 늘어 놓는데 자기 차례가 오자 주제가 불편해서 패스하겠다고 합니다. 몇 시간이 지나 강사가 말하길, 백인이 불편함을 내비치는 건 (찔려서 회피하는) '백인의 심약함'이고 파워플레이라고 합니다.

설명이 길어졌는데 자코뱅의 입장이 흥미로운 건 이 현상을 기업이나 자본가가 대중에 반인종차별에 강력대응하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노동자들에게 정신적으로 부담을 주는 교육을 강요한다고 비판하는 점이에요. 노동자 편에 서는 마르크스주의자들 답죠. 유툽 진행자는 개인적으로 고용인이 피고용인들에게 반인종차별 교육을 강요하는 건 어떤 형태건 반대한다고 해요. 모든 직원들에게 로빈 디앤젤로의 [White fragility]를 읽을 것을 강요하는 건 옳지 않다, 직원의 정체성에 대해 심문해선 안 되고 미국의 인종문제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을 공유하도록 강요하는 것도 옳지 않다 보죠. 피고용인의 삶과 특권에 대해 설교하는 태도도 옳지 않다고 보고요. 먹고 살기 바빠 죽겠는데 말이죠.

한국에서 성인지감수성 교육을 하기도 하는데 저는 그걸 긍정적으로 봐요. 그런데 미국의 반인종차별 교육은 되게 집요하고 편집증적이고 사람을 참 피곤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여튼, 자코뱅이 마르크즈주의자 입장에서 비판하는 흑인정체성 정치는 지적으로 자극이 되고 재미있었어요.









17
  • 미국 바깥에선 듣기 힘든 정보라 강추합니다!


주식하는 제로스
집요하고 편집적이고 사람을 참 피곤하게 하지요..
4
재밌네요..
정체성으로 다른 사람들을 휘두를 명분을 가진 사람은 또 하나의 권력이 되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행위들을 할 수도 있겠네요. Who watches the watchmen? 이럴 때 쓰는 거 맞나?
4
lonely INTJ
사회가 그리 단순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무엇이든지 이분법적으로 사회를 판단하고자 하는 이데올로기는
굉장히 편협하고 도덕적 우월성을 이용하여 오히려 역차별 사례를 양산해내죠.
물론 사람의 뇌 구조상 확증편향과 무엇이든 단순화하여 처리하고자하는 욕심이 이러한 이데올로기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겠지만요.
3
샨르우르파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샌더스식 보편적 경제정책이 만일 실효성 있다면 (전 좀 회의적이지만)
어지간한 상호교차성 담론보다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안이라 봅니다.
흑인, 히스패닉 등 사회적 약자는 경제학적으로 열위에 있기 쉬운데, 복지가 제대로 작동하면 이들이 혜택을 보지요.

경제로 환원 안되는 약자성은 별도의 정책이 필요하지만, 적어도 문제 해결은 못한 채로 사람들 피곤하게만 하는 담론보단 많이 낫죠.
1
덤더비두
중간에 155억달러 -> 1.55억달러 같습니다.
1
맞아요 115밀리언 달러=1.15억달러. 제가 아라비아숫자도 틀리게 쓴 모양이에요. 고맙습니다!
방사능홍차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1/08/09/WFMKR2DW6NC6VHUSSEGMBJQARI/

탈북자 박연미씨가 미국서 흑인 도둑에게 지갑 등을 강탈 당했음에도(해당 흑인은 지갑 턴 것으로 돈쓰다 추후 잡힘) 불구하고 주위 백인들 등 사람들은 박연미씨를 인종차별주의자로 몰았다는 사실이고 미국 대학 내에서 저런 분위기가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깨알 같이 미국대학 분위기가 북한 같다는 비판은
덤이네요.

조선일보라 약간은 비판적 관점으로 읽었는데, 쓰신 글을 보니 일리 없는 기사는 아니었네요
은머리
콜럼비아 대학도 다른 엘리트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올바름이 많이 지나치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지나치다 보니까 예전에 조던 피터슨이 리버럴 언론에 의해 집단포화를 맞을 때 그를 두고 dark intellectual web의 화신이라 했었는데 뭔가 되게 구리게 들리지만 지금은 그가 이념적 센터리스트로 전향한 사람들에 의해 대우받고 있어요.

인종차별담론이 뜨거워지면서 찰스 머리(Charles Murray)같은 우생학자도 보수나 래셔널리스트 지식인들에게서 자주 부름을 받고 있죠. 리버럴 언론이 일종의 좌파프로파간다 같은 역할을 했다 보니 백래시가 오히려 보수담론을 많이 키워줬어요.
이런 상황은 미국의 인종차별 이슈에만 해당되는게 아니죠. 사회적 약자로 인한 문제는 세계 어디에나 있고 국내에도 특히 피해자 프레임을 이용하여 이득을 취하는 개인이나 단체는 차고 넘치니까요. 피곤해도 어쩔 수 없는 현실 세상의 일부네요.
1
정체성 정치 하면 성소수자들, 여성들, 흑인들 등 다양산 정체성을 띠는 일군의 운동으로 드러날 수 있는데요. 요즘 미국분위기는 페미니즘이 치열하기에는 양성평등이 상당히 이루어졌고 성적지향이 다른 소수자들에 대해서도 보수, 극우 막론하고 뭐라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어요. 트랜스젠더소수자에 대한 대중의 수용성은 떨어지는 편이지만 반인종차별 운동에 대한 백래시만큼 크지는 않아요.

흑인차별담론은 좀 복잡해요. 경찰폭력은 미국사회의 문제가 맞지만 BLM이 촉발한 경찰때리기는 타이밍이 좋지 않았어요. 팬데믹의 여파로 '강력'범죄율이 어이없이 증가했는데 경찰들의 사기도 똑 떨어진 바람에 일찌감치 은퇴해 버리거... 더 보기
정체성 정치 하면 성소수자들, 여성들, 흑인들 등 다양산 정체성을 띠는 일군의 운동으로 드러날 수 있는데요. 요즘 미국분위기는 페미니즘이 치열하기에는 양성평등이 상당히 이루어졌고 성적지향이 다른 소수자들에 대해서도 보수, 극우 막론하고 뭐라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어요. 트랜스젠더소수자에 대한 대중의 수용성은 떨어지는 편이지만 반인종차별 운동에 대한 백래시만큼 크지는 않아요.

흑인차별담론은 좀 복잡해요. 경찰폭력은 미국사회의 문제가 맞지만 BLM이 촉발한 경찰때리기는 타이밍이 좋지 않았어요. 팬데믹의 여파로 '강력'범죄율이 어이없이 증가했는데 경찰들의 사기도 똑 떨어진 바람에 일찌감치 은퇴해 버리거나 대응에 소극적이니 경찰력이 부족해요.

https://youtu.be/DM-LmzKO5wo
As rising violent crime turns Atlanta into a ‘warzone,’ residents disagree on a solution


PBS는 리버럴 언론인데도 이 영상을 보고 순간 팍스뉴스인 줄 알았어요. 이렇게 솔직하게 얘기하는 곳이 잘 없거든요. 현재 강력범죄 증가로 피해를 입는 곳은 주로 가난한 흑인동네예요. 조지아 주의 아틀란타에는 Buckhead라는 부자백인동네가 있어요. 범죄가 기승해서 못 살겠다며 아틀란타로부터 분리된 자치구역이 되겠다고 나섰죠. 아틀란타 세원의 40%를 차지하는 곳이라 어림도 없는 일이지만 이 사람들의 심리는 그거예요. 누가 경찰을 악마화했고 지금 누가 범죄를 저지르느냐.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은 경찰개혁의 일환으로 수퍼마켓 절도 같은 사소한 사건으로는 경찰이 출동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가 가게들마다 절도가 아닌 조직적인 약탈이 심해져서 규정을 바꿔야 했어요. 지역 뉴스에서 전하는 이런 사건들을 이미지로 접하면 참 심란해지죠. 뉴스를 전하는 것만으로도 메신저가 인종차별주의자로 보일 정도로 흑인이미지로 도배가 돼요.

이에 더해 학계에서만 결계로 쳐져 있던 critical race theory가 대중에 퍼지니 담론이 더 뜨거운 감자가 돼요. colorblindness를 반영한 정책은 여전히 백인우월주의라는 얘기는 계급타파를 위한 정책도 여전히 백인우월주의라는 얘기예요. 심정적으로는 매우 이해가 가지만 이러면 해결책을 찾기가 매우 어려워져요. 그치만 바이든 행정부는 정체성 정치에 적당히 동조해 주면서도 원래 하던대로 빈부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같아요.

반인종차별운동에 대한 백래시는 담론적으로는 리버럴 레거시 언론 바깥에서 조용히 이루어지고 있어요. 반인종차별이라는 대의는 맞지만 사회정의운동 하는 사람들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데 매우 인색하기도 하고 미국의 흑인차별은 분명한 사회문제가 맞으니까요. 그리고 주마다 편차가 엄청 커요.

샌디에고는 개인적으로 사람들의 의식이 개선된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그냥 막연히 그런 느낌이 들어요. 샌디에고 경찰서만 해도 경찰대응이 인종적으로 차별적이라는 의견을 이렇게 진지하게 나누죠.
https://youtu.be/qkI_sX-2yNU
Center for Policing Equity Youth Town Hall – June 30, 2021


음... 어제만 해도 좋아요가 2개였는데 (한 개는 제 꺼 -.-) 한 개로 줄었네요. 쩝쩝.

미국이 가진 문제의 좋은 예를 알려드릴게요. 샌디에고 경찰은 저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도 이 경찰서가 올린 아래 영상을 두고 뉴욕타임즈가 문제를 제기했어요.
https://youtu.be/zJ7TaLQDRR8
The Dangers of Fentanyl - San Diego County Sheriff's Department


경찰이 마약검색을 하다가 가루를 들이마시고 쓰러져요. 이 마약은 펜타닐이라고 하는데 헤로인보다 50배 강력하다고 합니다. 경찰측에서는 마약의 위험성을 알리려고 만들었지만 동시에 아, 경찰들이 저런 위험에 노출되기도 하는구나라는 온정적인 공감을 유도하기도 하죠. 이게 언론을 타니까 NYT가 하루가 멀다하고 기사를 냈어요. 펜타닐을 만지거나 공기로 마신다고 해서 사람이 쓰러지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저런 공포조장은 오히려 마약남용대처를 방해한다, 아마도 저 경찰은 패닉 어택으로 쓰러진 걸 거다인데 기사를 접하는 독자의 반응은 그렇지 않죠. 거짓말을 않으면 하루도 못 사는구나, 경찰이 그렇지 뭐, 실패한 마약과의 전쟁이 흑인남성을 온통 사지로 몰았는데 또 저짓거리냐라는 반응이 대세였어요. ( https://www.nytimes.com/2021/08/07/us/san-diego-police-overdose-fentanyl.html?fbclid=IwAR0pF0PyDFL2X--KqAJnyWHCLQ_VCWNOk6NmNbaxCvs-HkIGFJwGv7jWywI )

NBC는 심지어 펜타닐 관련범죄로 흑인과 히스패닉이 주로 검거되고 형량도 크다며 인종차별문제를 언급하죠. 그 기사를 읽는 저로서는 옛날의 마리화나도 아니고 헤로인보다 50배 강력하다는 저런 위험한 합성마약관련 범죄자도 온정적으로 봐줘야하나.. 마약소지와 판매는 형량이 한참 다른데 그런 디테일은 얘기해 주지도 않고 언론이 미친 것 같다란 생각이 들었어요. ( https://www.nbcnews.com/news/us-news/viral-video-san-diego-deputy-s-fentanyl-exposure-raises-questions-n1276248?fbclid=IwAR3sJtZ5IIslDRu1ISPK1KDaTZAAeYGqhwbqq3DVtGcWWyumkEDXL7LXE3Q )

펜타닐 공포는 전문가들에 의하면 저게 거의 불가능하다고 하고 과장된 공포라고 해요. 의료계 종사자들이 일반 진통제가 안 들을 때 펜타닐을 처방하는데 저런 경우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하고요. 그런데 미국 마약경찰국의 웹사이트에 가면 경찰들 사이에는 실재하는 공포예요. 병원에서 쓰는 펜타닐과 범죄자들이 제조해 유통하는 펜타닐은 다를 수도 있겠죠. 제가 보기엔 경찰측에서 자신의 입장을 강화하기 위해 없는 말을 지어내었다기보다 그들 사이에서는 존재한다고 믿는 공포인 것 같아요.
1
고양이공채
현금보석금지라는게 보석금제도 폐지로 머무는게 아니라 피의자 구속을 못하게(어렵게)하는 건가요? 처음 보는 논의라 해외 저널 찾아보니 미결수들을 석방하란 의견들이라 의아하네요.
은머리
보통 유색인종 또는 흑인들이 경찰에 의해 더 많이 검거가 되고 재판이 있기 전에 보석금을 내고 자유로운 몸이 되고 싶어도 돈이 없어서 수감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건강도 해치니까 어느 수준까지는 보석금제도를 없애고 집에 돌려보내주자 이런 거예요.
린간들이 너무 멍청하고 왜곡된 존재들이라 어쩔 수가 없습니다.
마르크스의 계급론은 스스로의 멍청함과 왜곡된 가치관을 합리화 시켜주는 너무 좋은 수단이예요.
개인적으로는 마르크스를 가지고 이야기할거면
서양 철학, 마르크스 관련 시험을 쳐서 마르크스를 인용할 수 있는 자격을 엄격하게 부여해야한다는 생각입니다.
그 자격도 각 사회 문제에 적용할 때 - 그 사회 문제에 관한 충분한 수준의 배경 지식을 쌓았는가를 2차적으로 시험쳐서 자격을 부여해야하구요.
그냥 온갖 문제를 다 일차원적이고 이분법적인 권력 층위로만 해석해버리니까 상황 해결이 더더욱 안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4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704 꿀팁/강좌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기 위한 적정 셔터 스피드 구하기 18 메존일각 24/05/26 2621 7
11637 사회흑인리버럴과 흑인보수 14 은머리 21/05/04 5791 29
10653 일상/생각흑인들이 죽을 수밖에 없는 국가 미국 16 가람 20/06/05 6654 59
11974 사회흑인 정체성정치의 피로함과 미국의 맑시스트 13 은머리 21/08/10 5596 17
14954 요리/음식흑백요리사 8~9화 팀전 우승팀 분석 (스포) 10 타는저녁놀 24/10/03 1352 3
2047 일상/생각흐린 일요일 아침... 4 새의선물 16/01/18 4309 0
1826 일상/생각휴학하고 싶어요. 12 化神 15/12/21 8100 2
13789 일상/생각휴직중에 만들어주는 마지막 카레가 될지도 모르겠네요. 4 큐리스 23/04/26 2732 9
12929 IT/컴퓨터휴직된 구글 직원과 인공지능의 대화 전문 7 Jargon 22/06/18 5072 7
1109 일상/생각휴지는 자본주의의 상징이다. 4 까페레인 15/09/27 7060 0
9146 꿀팁/강좌휴일 주말 어린이대공원, 상상나라 주차 어려울 때 11 토비 19/05/01 8209 7
8940 여행휴양지 장단점 간단정리 (1) - 하이난 14 그저그런 19/03/06 6292 1
3764 음악휴식을 취할 때 듣기 좋은 소리들 4 Ben사랑 16/09/24 6838 1
4733 게임휴식기에 잠시 써보는 롤챔스 이야기 4 Leeka 17/02/01 4450 1
8677 스포츠휴식기에 돌입한 라 리가와 분데스리가 5 손금불산입 18/12/24 4210 0
6513 스포츠휴스턴 애스트로스 창단 첫 월드시리즈 우승.jpg 1 김치찌개 17/11/03 4192 0
12004 게임휴먼카인드 리뷰 6 저퀴 21/08/22 5456 7
7656 경제휴대폰 케이티신분들 할인정보에요 11 아리아 18/06/11 4695 0
8133 일상/생각휴대폰 구매 보고서(feat. 신도림) 15 mmOmm 18/08/29 8097 0
825 일상/생각휴가가 잘렸습니다. 12 세인트 15/08/21 5551 0
473 기타휴..휴가다~!!!여..여행을 가자~~~!! 36 damianhwang 15/06/30 7403 0
5881 게임훔바훔바의 FM2017 1시즌 결과 4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7/03 8449 0
13004 정치훈수질이라는 것이 폭발한다 17 매뉴물있뉴 22/07/17 4488 1
14693 스포츠후쿠오카 인근 골프장 리뷰 2 danielbard 24/05/20 2134 4
942 의료/건강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소아 갑상선암에 관련된 중간 리포트가 나왔습니다. 29 레지엔 15/09/07 6950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