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4/06/19 11:58:25수정됨 |
Name | 메존일각 |
Subject | 얼마간 유튜브 예능 프로그램들을 보며 느낀 소감. |
시작은 옆동네 유게에 뜬 유튜브 링크였던 것 같아요. 탁재훈 씨가 나오는 입담 프로그램을 하나 눌러서 봤더니 그 다음부터는 유튜브 메인 페이지에서 친분 있는 연예인들의 비슷한 예능 프로그램이 줄줄이 뜹니다. 유재석 신동엽 박명수 이경규... 등등등. 입담이 재미있긴 해서 얼마 동안 유사 프로그램들을 틈틈이 눌러봤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금방 질리더라고요. 제가 본 패턴은 대략 다음과 같았는데, 0. 게스트 불러다 놓고 PPL하고 대본대로 의미없는 대화 몇 번 주고받은 뒤에 끝난다. 1. 게스트들은 앨범, 영화, 콘서트 등등 활동 시기에 맞춰 유사 프로그램에 줄줄이 나온다. 그러다 보니 하는 얘기가 거의 똑같다. 본인이 홍보할 앨범이나 영화에 대해서 별 깊이있는 얘기가 없다는 점이 도리어 흥미롭게 느껴짐. 2. 친분 있는 연예인들이 대부분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다. 서로 도와준다며 각자 채널에 품앗이처럼 출연하는데 하는 얘기가 거의 똑같다. 20년 30년 40년 전 얘기를 사골처럼 우리고 우리고 또 우린다. 3. 게스트 섭외 후 자료조사 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부분은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그러다 보니 나누는 얘기들에 깊이가 전혀 없다. 1의 경우, 예를 들어 앨범이나 영화를 만드는 동안 영감을 얻은 부분이 있었다거나 특별한 에피소드가 있었다거나 본인 작품이 얼마나 특별한지 어필을 해야 할 것 같은데 이런 얘기가 거의 등장하지 않습니다. 요즘의 세태와는 맞지 않아 편집이 됐을 가능성도 있지만 모든 프로에서 한결같이 안 나오는 걸 보면 관련 얘기가 아예 없던 게 아닌가 의심됩니다. 전 티비 없이 산지 20년이 훨씬 넘었고 그래서 예능프로를 거의 보지 않았습니다. 프로그램 피디나 작가가 대개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 등에서 활동했던 것 같으니, 유튜브 예능 프로그램 역시 평소 자신들이 쓰던 포맷을 그대로 쓰는 것 같더라고요. 이런 돌려막기식 게스트 섭외는, 티비 채널이 몇 개 없던 시절에야 나름 희소성이 있었을지 모르지만, 유튜브 시대가 되면서 즉석에서 바로 비교가 되니까 금방 질리네요. 예전에 제가 탐라에서 쏟아지는 연예인들의 유튜브 방송들을 보면 요즘은 대낭비시대 같다는 말을 했는데, 근래의 여러 프로그램 시청은 이런 생각(선입견?)이 더욱 강화되는 나름 귀한 경험이었습니다. 개나 소나 한다는(?) 유튜브 나도 좀 해야 될 것 같으니 연예인 인지도를 빌려 채널은 개설했는데, 포맷은 늘 비슷비슷하고, 그럼에도 틀과 퀄리티를 일정 수준 유지하기 위해 카메라 대수와 카메라 뒤에 있는 스탭의 수는 상당합니다.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찮을 테니 가성비를 생각하며 티비 예능만큼 디테일하게 편집하지 못합니다. 조회수도 다 고만고만합니다. 이걸로 수익을 내려면 당연히 힘들겠다 싶습니다. 서로 제살 갉아먹기 하는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5초 이상 음원이 흘러나오면 광고 수익이 소속사로 가니까 음악은 틀어주지 않고, 세부 운영 또는 계약 조건까지는 모르겠지만 연예인이 방송국을 끼기도 하고 더러는 사비로 운영하기도 하는 것 같더라고요? 편린처럼 메인 연예인들의 입에서 힘들다는 말이 한 번씩 튀어나오는데, 이게 반드시 예능성 설정이라거나 농담만으로는 들리지 않았습니다. 이런 흐름이 언제까지 갈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저는 지금 검색 기록 지우며 이런 프로그램들이 안 뜨게 하고 있습니다.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메존일각님의 최근 게시물
|
연예인들 자체가 컨텐츠 창조능력이 있냐고 한다면 그런 능력 있는 연예인은 거의 없더라구요. 대부분 기획사 통해서 또는 다른 루트로 전문제작업체를 섭외하고, 작가를 고용해서, 자신들의 자산인 연예계 인맥을 활용해서 컨텐츠만 만들 뿐이죠.
전문업체가 붙으니 영상때깔이나 전체적인 구성은 왕도적으로 따라가는데, 유투브 특유의 날 것(같은) 느낌이 없고, 그냥 수위가 좀 세진 공중파 방송 정도의 감각인 경우가 많죠.
지금에야 거리감이 멀게 느껴지던 인물들이 유투브를 통해 가깝게 느껴진다는 점 때문에 신선해보이긴 하는데, 언제까지 갈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전문업체가 붙으니 영상때깔이나 전체적인 구성은 왕도적으로 따라가는데, 유투브 특유의 날 것(같은) 느낌이 없고, 그냥 수위가 좀 세진 공중파 방송 정도의 감각인 경우가 많죠.
지금에야 거리감이 멀게 느껴지던 인물들이 유투브를 통해 가깝게 느껴진다는 점 때문에 신선해보이긴 하는데, 언제까지 갈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수위는 세졌지만, 촬영 장비가 방송국만큼은 안 되니 때깔은 떨어지더라고요. 그래서 연예인의 민낯 같은 걸 본다는 느낌도 가끔 합니다.
뭔가 다들 열심히는 하는데 의미없는 행위를 아등바등 하고 있다는 기분도 가끔 듭니다.
뭔가 다들 열심히는 하는데 의미없는 행위를 아등바등 하고 있다는 기분도 가끔 듭니다.
현상과 원인을 반대로 보신거 같은데 예능 매니아로 그냥 진지하거나 파고들면 사람들이 안 봅니다. 온갖 시도가 다 있었는데 그냥 유튜브도 이제 오래되다보니 어느정도 가이드가 생겼다에 가까워진거라. 그냥 유명 연예인 활용법이 정해졌습니다. 조회수 아무리 뽑아도 한계가 있고 조회수는 돈도 안됩니다 돈버는건 ppl이고 ppl이 잘붙으려면 유명한게 유리하고 여럿이 나오는게 더 유리하죠. 그러니깐 서로 사정아니깐 품앗이 하는거고 그리고 이왕이면 홍보차애 나오고 또 홍보용이면 오히려 돈 주고 나오기도 하니깐
구라철등등 니치 마켓이나 혹은 진지한 분석으로 진지하게 파고들고 뽑아내는 시도 많았는데 그냥 다 죽었습니다. 한때 잠깐 기대받아도 유투브 특성상 지속력이 짧아 사람들의 관심이 오래 못가거나 품이나 돈도 많이 드니깐요.
구라철등등 니치 마켓이나 혹은 진지한 분석으로 진지하게 파고들고 뽑아내는 시도 많았는데 그냥 다 죽었습니다. 한때 잠깐 기대받아도 유투브 특성상 지속력이 짧아 사람들의 관심이 오래 못가거나 품이나 돈도 많이 드니깐요.
전 진지한 분석을 해야 한다고 얘기한 적은 없습니다. 어차피 홍보를 위해서 나왔으면 좀 더 들을 만한 얘기를 해주는 게 좋지 않겠냐는 얘기는 했지만요. 지금은 어딜 가든 똑같은 얘기만 하고 있어서 질리는데 이게 장기적으로 도움이 안 될 것 같다는 게 제 의견입니다.
일단 유명인, 연예인 썸네일이 박히는 것만으로도 조회수가 되니까요.
TV에서 하던 것들을 그대로 유튜브에 가져와서 포멧만 살짝 바꾼게 생각보다 조회수 달달하니 너도나도 하고
(조회수 수익으로 그 인원들은 먹여살리기 힘들테고 사실 조회수로 인한 ppl 단가 싸움이겠죠)
또 생각없이 잠깐 시간 때우기 용도로 유튜브 보는 사람들에게 집중할 필요 없이 몇번 피식 웃길 수 있으면 되는 컨텐츠로 소비 되는 것 같고
말하신대로 같은 사람을 자꾸 보게 되서 분명 피곤하긴 한데, 당분간은 이 행태가 바뀔거 같지도 않네요.
TV에서 하던 것들을 그대로 유튜브에 가져와서 포멧만 살짝 바꾼게 생각보다 조회수 달달하니 너도나도 하고
(조회수 수익으로 그 인원들은 먹여살리기 힘들테고 사실 조회수로 인한 ppl 단가 싸움이겠죠)
또 생각없이 잠깐 시간 때우기 용도로 유튜브 보는 사람들에게 집중할 필요 없이 몇번 피식 웃길 수 있으면 되는 컨텐츠로 소비 되는 것 같고
말하신대로 같은 사람을 자꾸 보게 되서 분명 피곤하긴 한데, 당분간은 이 행태가 바뀔거 같지도 않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