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7/06 04:03:39
Name   케토톱
Subject   자영업 절대 하지마라
재작년쯤 방영되었던 다큐 같은데 오래간만에 다시 봐서 이미지를 퍼와봅니다.

















저도 골목사장분투기라는 책을 사서 읽으면서 생각해봤는데, 저자의 충고가 맞는 것 같습니다.
퇴직하고 등떠밀려 하는 준비 안된 창업이 성공하기 어려운 시대죠.

젊은이들은 취업난으로 고생, 노년층은 자영업 불황으로 고생...
정말 먹고 살기 힘든 팍팍한 시대입니다.



0


    王天君
    최경환이....보고 있나?
    단디쎄리라
    쉽지 않네요.
    Twisted Fate(R)
    사회적인 문제도 있지만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 뛰어드는 사람들의 문제도 있는 것 같아요
    그냥 이거 될 것 같은데? 차려놓으면 장사 잘 되겠지 하는 느낌?
    페이커가 방송에서 미드마이 한다고 연습도 안하고 랭겜가서 미드마이 or 트롤 하는거죠
    하다못해 어디 음식집에서 일한 사람이 월급,퇴직금 모아서 차리는 것도 아니고
    평생 책상에만 앉아있다가 나와서 장사한다고 차리는데 옆에서 보는 입장에서는 답답합니다

    지금 자영업 필패의 시대가 된지 꽤 된 것 같은데 왜 아직도 자영업이 붐이고 임대료는 오르기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천무덕
    자영업이 붐이 될 수밖에 없는게 일반 직장에 다니시던 분들이 퇴직하고 나서 먹고 살 방법이 \'아예\' 없습니다. 빚을 갚는건 고사하고 먹고 살 방법이 없어요.
    퇴직금 얼마 받아서 고령화된 나머지 인생을 산다는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그러다보니 돈을 벌 방법을 찾다찾다 마지막에 찾는게 자영업이죠. 저 위에도 나와있지만 손님 입장에서 가게에 사람이 붐비기만 하면 무조건 많이 번다고 느끼거든요. 약간은 자영업자를 깔보는 인식때문일수도 있겠지만 \'최소한 저 주인보다 내가 더 많이 배웠는데 저 사람도 잘 하는데 나라고 못하겠어?\' ... 더 보기
    자영업이 붐이 될 수밖에 없는게 일반 직장에 다니시던 분들이 퇴직하고 나서 먹고 살 방법이 \'아예\' 없습니다. 빚을 갚는건 고사하고 먹고 살 방법이 없어요.
    퇴직금 얼마 받아서 고령화된 나머지 인생을 산다는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그러다보니 돈을 벌 방법을 찾다찾다 마지막에 찾는게 자영업이죠. 저 위에도 나와있지만 손님 입장에서 가게에 사람이 붐비기만 하면 무조건 많이 번다고 느끼거든요. 약간은 자영업자를 깔보는 인식때문일수도 있겠지만 \'최소한 저 주인보다 내가 더 많이 배웠는데 저 사람도 잘 하는데 나라고 못하겠어?\' 라는 생각으로 들어왔다가 fail. 이게 일반적인 수순이죠. 손님을 대하는 태도에서 그 사람의 직장인 시절 아랫사람한테 어떻게 했는지 보입니다.
    만약 대기업에 다니던 사람이라면 내 나이에, 내 경력에 내 능력에 연봉 반의 반토막도 못버는 아르바이트는 성에 안차죠. 그렇다고 막노동..안해본 고령분이 하시기에는 몸이 못버팁니다.

    자식에게 손을 벌린다는 것도 지금 퇴직연령분들 이야기 들어보면 불가능입니다. \'내가 벌어먹고 살아도 매번 힘들다는 이야기가 자식놈들 입에서 나오는데 어떻게 내 여생을 책임지라고 할 수 있느냐\'라는게 시장에 나오시는 분들 이야기 들어보면 그래요.

    남은 돈 끌어모아서 자영업을 할 수밖에 없는것이 다른 대책이 없으니까요. 퇴직하신 아버지 친구분들 이야기를 가끔 들을때가 있는데 \'넌 좋겠다고, 나이들어서도 할 수 있는 일이 있으니 얼마나 좋으냐\'라고 부러워하는게 현실입니다. 젊으셧을때는 힘들게 뭔 장사냐 하셧던 분들이 시간지나고나서 아버지를 부러워하시더라구요.
    Twisted Fate(R)
    근데 왜 하나같이 다 음식장사인지 모르겠어요
    자기 전공을 좀 살려보든가 말이죠 -_-;;

    통계를 봐도 전체 자영업 수는 줄고 있는데 외식자영업수는 해마다 늘고 있고요
    만만해서 그런건지....하다못해 최현석이 해도(이름때고 한다면) 망할 수 있는게 음식장사인데 말이죠

    그냥 지금 보면 다 치킨게임입니다. 다 같이 죽자 뭐 이런....
    천무덕
    위에 리플에도 약간 들어가있는 내용이지만 솔직히 만만해서 그렇죠.
    \'저렇게 못배운 사람도 잘 해먹고 있는데 더 많이 배운 내가 왜 못해?\' 라는 이상한 생각때문이죠. 사람의 관계를 상하관계로만 생각하는 조직에서 익숙해져있다보니까 때로는 이기고 때로는 지는 손님과의 관계형성이 어려워서 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기본적인 태도나 품질 문제도 있겠습니다마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지만 정말 궁극적 이유는 \'할 수 있는게 없어서\'입니다. 좀 크리에이티브 한 직장이라면 생각의 자유도가 높아서 괜찮겠습니다만 일반 직장에서는 시키는것만 하다 보니 그 분야를 제외하고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거든요.
    ... 더 보기
    위에 리플에도 약간 들어가있는 내용이지만 솔직히 만만해서 그렇죠.
    \'저렇게 못배운 사람도 잘 해먹고 있는데 더 많이 배운 내가 왜 못해?\' 라는 이상한 생각때문이죠. 사람의 관계를 상하관계로만 생각하는 조직에서 익숙해져있다보니까 때로는 이기고 때로는 지는 손님과의 관계형성이 어려워서 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기본적인 태도나 품질 문제도 있겠습니다마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지만 정말 궁극적 이유는 \'할 수 있는게 없어서\'입니다. 좀 크리에이티브 한 직장이라면 생각의 자유도가 높아서 괜찮겠습니다만 일반 직장에서는 시키는것만 하다 보니 그 분야를 제외하고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거든요.

    팍팍한 현실의 뉴스거리 하나 갖고와볼게요.
    http://news.nate.com/view/20150706n05940?mid=n0406
    진입장벽 때문이죠. 막상 50대 은퇴자가 할만한 자영업이란게 식당류 빼곤 거의 없는 게 현실이죠. 과거에는 서점이라던지 동네 레코드방, 오락실,만화방,담배가게 등등이 있었지만 (이 부분을 거의 IT관련 기업, 컨텐츠관련 기업 등의 대기업이 차지해버렸죠..) 지금 은퇴시 들고 나오는 2-3억 정도의 소자본으로, 전문 지식이나 자격증 없이 할 수 있는게 거의 없어요. 대박을 바라고 식당을 하는게 아니라, 정말 할 수 있는게 저거 밖에 없는 경우가 많아요. 최소한 배달이나 요리나 뭐라도 하나 하면 인건비도 한명 줄일 수 있고 등등.. \"내가 노력만 하면 입에 풀칠은 하겠지\" 라는 생각으로 시작해서 풀칠 못하고 접죠.
    2막4장
    치킨집하다가 망하는 게 치킨게임인가요 ㅠㅠ
    스트로
    할 게 없으니까요. 회사에서 잘렸는데, 갖고 있는 건 퇴직금뿐이고 이걸로 더 돈을 벌지 못 하면 교육비에 집값은 어디서 얻죠? 문제는 이런 사람이 본문에도 나오듯 너무나 많다는 거고 그 너무나 많은 사람이 자영업에 뛰어드니 망하는 거죠. 망할 가능성 높은 건 하는 분들도 다 알아요. 근데 안 할 수가 없으니까 하는 거에요. 이걸 이해 못 하겠다 해버리시는 건 타인의 상황을 이해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하신 거 아닐까 합니다.
    Twisted Fate(R)
    무례한 발언이군요
    상대방과 소통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시는 것 같네요
    스트로
    감정을 섞는 바람에 제가 말하고 싶었던 걸 정확히 전달하지 못한 실수를 인정하겠습니다. 소통에서 불필요한 행위였네요.

    그러니 소통에 저보다 강점을 갖고 있는 분답게 너그러이 제가 하고자 했던 말을 이해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자영업 뛰어드는 분들이 다 멍청해서 하는 게 아니에요. 다른 길이 없으니까 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무례에 대해 지적하시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비꼬는 표현으로 상대를 공격하시는 것은 과하다고 생각됩니다.
    주의 부탁드립니다.
    간만에 생각나서 가게 찾아가보면 그새 망하고 없더라... 하는 경우를 요새 많이 겪고 있네요.
    Yato_Kagura
    대박을 바라고 또 그 대박을 바라는 마음에 걸맞는 만반의 준비 및 각오로 시작해도 입에 풀칠조차 어려운게 현 자영업계 현실이죠. 근본적인것은 40~50대 퇴직자들이 갈곳이 없는 사회구조적 문제겠지만..
    대박을 쫓아 너도나도 시작을 하니...망하는 지름길인듯 해요
    정말이지 거리에 나가보면 같은 종류의 음식집이 여러군데 있으니까요...
    안타까워요
    darwin4078
    이거 볼때마다 남일 같지가 않아서 마음이 답답해집니다.
    대박을 쫓지 않더라도 50대 이후 퇴직 후에 2~3억의 자금을 바탕으로 무엇을 하면서 남은 세월을 지탱할수 있을까요? 답답하네요.
    최종병기캐리어
    진짜 공감되요.

    우후죽순처럼 망하는 가게들... 그리고 그 자리에 동시다발적으로 생겨나는 \'유행\'사업들... 그리고 6개월뒤 또다시 우후죽순처럼 사라지는 가게들...
    tannenbaum
    저도 자영업 1년차인데 언제 어찌될지 모르니... 쩝
    그래도 저야 먹여살릴 부양가족이 없으니 망하더라도 이 한몸 풀칠이야 못하겠습니까만은 딸린 식구들 있는 자영업자들은 그 맘이 어떨지 짐작키도 어렵네요
    저도 자영업 희망자입니다. 크게 안하고 제가 주방하고 홀도 보고 먹고 살면 되지 싶은데, 부양가족있는 분들은 그게 안되니 당장 돈벌이에 급급해 유행좇고, 경험없이 남들하는거 하다가 폐업하고 그러더라고요...
    tannenbaum
    가게 대출금과 부양가족 유무.... 이 차이가 어마무시한거죠.
    제 가게 바로 앞에 갈비집이 있습니다. 매출은 제 몇배가 훨씬 넘어가지만 가게 대출금에 월세에 직원들 인건비에.... 순익으로 가면 저보다 약간 많은 정도 되나보더라구요. 게다가 애들 교육비부터 시작해서 저보다 들어가는 돈이 넘사벽이니 노후 준비는 고사하고 사는데 급급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래도 앞 집은 순익이라도 내고 있으니 나름 괜찮은 편이죠. 월세 걱정하는 가게들도 있더라구요.
    저는 한 일년 주방에서 고생도 해봤고 요식업관련 인맥도 여기저기 있는 편이고, 시장조사하는 법도 나름 익히고 계속 음식에 대해 공부하고 제 나름 할건 다 하고 있어요. 몸으로 하는 일이니까 체력도 길러야하고 준비할게 많죠. 제 희망은 손님이 찾아오는 가게인데 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얼마전에 누군가가 제 관상을 봐줬는데 사업을 한번 할 것 같고 대박이 나서 말년이 끝내준다 이러시더라고요. 크크크크크 다 믿는 건 아니지만 기분 좋더라고요. 지금 잘 되시겠지만 장사라는게 어찌될지 모르는 것이니까 대비잘하시고 계속 잘 되셨으면 좋겠어요.
    tannenbaum
    뤼야님의 대박을 위해서 한곡 뽑아 봅니다.

    아~ 대박이야~♬ 운수가 대박이야~♬ 올해는 대박이야~♬ 아~완전 팔자가좋아아아아아
    사주좋아~♬ 관상도 쏘쏘 좋아~♬ 손금도 완전 좋아~♬ 오늘의 운세도 좋아아아아아
    블랙자몽
    예전에는 나중에 내 카페 하나 차리는게 꿈이라고 말하시는 분들 많이 봤었는데...
    요즘은 그런 얘기 하시는 분들 본적이 없네요.

    예전엔 뭔가 자기 가게에서 여유롭게 가게를 꾸미고 손님들 상대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이미지로 인식되다가,
    요즘은 그런 느낌보다는 팍팍한 전투의 현장으로 인식되는 걸까 싶더라구요.
    tannenbaum
    예전에야 막연히 카페 하면 분위기 있는 음악, 한손엔 향기 좋은 커피가 담긴 머그잔, 친절하고 젠틀한 손님들... 이런 이미였지만 요즘이야 체험 삶의 현장이란게 많이 알려졌죠.

    근데 저로 한정지으면 회사 다닐때는 못 박힌 각목들고 목숨걸고 싸우는 느낌이라면 지금은 베개싸움하는 정도... 전 직장이 워낙 그지 같아서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ArcanumToss
    저는 일찌감치 자영업이라는 야생 현장에 뛰어들어서 그런지 자영업이 좋습니다.
    지금이라도 종잣돈 300만 원만 있으면 얼마든지 만족할 만한 수익을 올릴 자신도 있고요.
    하지만 직장 생활만 해 본 사람이 갑자기 자영업을 하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자영업은 일을 하기로 마음 먹으면 할 일은 무한대고 놀고 싶으면 할 일이 하나도 없는 것처럼 느껴지죠.
    그만큼 자신이 모든 것을 컨트롤할 수 있는 매력이 있지만 아무 생각없이 하면 무얼 해야 할 지도 모르는 게 자영업이죠.
    그래서 프랜차이즈를 하지만 프랜차이즈도 본사가 플랫... 더 보기
    저는 일찌감치 자영업이라는 야생 현장에 뛰어들어서 그런지 자영업이 좋습니다.
    지금이라도 종잣돈 300만 원만 있으면 얼마든지 만족할 만한 수익을 올릴 자신도 있고요.
    하지만 직장 생활만 해 본 사람이 갑자기 자영업을 하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자영업은 일을 하기로 마음 먹으면 할 일은 무한대고 놀고 싶으면 할 일이 하나도 없는 것처럼 느껴지죠.
    그만큼 자신이 모든 것을 컨트롤할 수 있는 매력이 있지만 아무 생각없이 하면 무얼 해야 할 지도 모르는 게 자영업이죠.
    그래서 프랜차이즈를 하지만 프랜차이즈도 본사가 플랫폼 사업자가 아닌 한 흡혈귀로 변신하는 순간 끔찍하고요.

    제 생각은 창업 한번 잘못하면 인생 종치는 것과 대기업 위주의 사회 시스템이 개선되지 않는 한 한국이 스러지는 것은 100년이면 족하다고 봅니다.
    우리나라가 국적포기 전세계 1위 국가(포기율인지 포기자 수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라고 하던데 그럴 만도 하죠.

    ps.
    지금 우리나라는 돈을 벌기 위해 자영업을 한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현재 있는 돈을 최대한 늦게 까먹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는 편이 낫다는 생각입니다.
    죽는 순간에 가진 돈이 0원에 수렴하도록 최대한 늦게 까먹는 게 포인트.
    realise
    댓글보고 심심해서 찾아봤는데
    [한국의 10만명당 국적포기자수는 1680명으로 싱가포르(431명) 일본(89명) 대만(152명) 미국(28명) 등 비교 대상국가 중 압도적으로 많았다.]
    라는군요 크크크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26751 출처는 여기이고.

    [국적포기율1위],
    OECD국가중 [자살율 1위],
    출산율 [224국가중 219위]가 대한민국 현주소군요. 이 거 진짜 나름 판타스틱한 나라에 살고 있다고 해도 틀린말이 아니네요. 이정도면 영광으로 여겨야 할 듯. 플랑드르급 개꿀땅 아닙니까.
    솔지은
    300만원 투자 하겠습니다.
    ArcanumToss
    제게 300만 원 투자하지 마시고 교육을 받으싶습셒슾...
    교육비 500만 원데쓰요...
    리얼월드
    무슨쪽 자영업을하시기에 종자돈 3백으로 가능하지요?
    ArcanumToss
    1. 종잣돈 300 : 프린터 판매/수리/임대, 프린터 소모품 납품, 컴퓨터 판매/수리, 네트웍 관리/공사
    -> 7년 가량 해 왔습니다. pgr21 자게에 2009년에 쓴 글이 있습니다. 욕 많이 먹었죠. -_-;

    2. 종잣돈 3400 : 수출 전문 무역
    -> 작년 10월에 시작했습니다.
    파라돌
    만 4년 넘었는데 잘버는 편이라면 잘 버는 편이에요
    제 나이 또래 왠만한 대기업 회사원보다도 순이익이 높긴하니까요.
    근데 참 불안합니다. 매년 성장하는데도 불안합니다..

    요식업이라면.. 아무래도 젊을때 해야 돈이 되는거 같아요.
    젊은 사람들이 비교적 외식쪽에 돈을 잘쓰는편이지요.
    이쪽 동네 보면 20대 중후반을 포커스로 인테리어 꾸미고 서비스 잘하는 곳이 살아남긴합니다.
    근데 인테리어비는 언제 다 회수할까요... -_-;;
    기아트윈스
    이런 이야기 들을 때마다 요식업 대신 인테리어 업계에 진출하는게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자영업자가 꾸준히 밀려오고 꾸준히 망할 때마다 인테리어는 늘 새로 해야 하잖아요.

    그건 마치 세 사람이 모텔 방 잡고 고스톱치면 모텔 주인만 돈 버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ArcanumToss
    간판집, 인테리어집...
    근데 이분들도 힘들다더군요.
    realise
    제 친구 장인어른이 도자기, 즉 그릇을 구우시는데,
    IMF때 대박났다고 하더군요 크크 지금 떵떵거리고 산답니다 그래서.
    천하대장군
    천하에 정의가 없군요 크크
    근데 다른건 다 이해해도 치킨집을 무슨 30초거리에 또 하나 차리는건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치킨 튀기는게 생각보다 고역인데도 진짜 동네 하나에 치킨집 4~5개씩 차리고 서로 치킨게임(...)을 해대니 당연히 망하죠. 새로운 아이템으로 창업하다가 망하면 적어도 창업자로서의 시도를 존중이라도 해줄텐데 레드오션으로 제 발로 걸어 들어가놓고 세상살이 힘들다고 하는건 무슨생각인지 모르겠네요.
    김치찌개
    자영업은 너무 리스크가 크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8 7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에메트셀크 25/04/27 130 2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72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42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2 + dolmusa 25/04/25 639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56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19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7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84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8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86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3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5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46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41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9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90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4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37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3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700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4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10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5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