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12/15 17:43:03
Name   tannenbaum
Subject   펌) 문케어의 미래를 알수 있는 치과 사랑니 발치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381076&s_no=381076&page=1

오늘의 유머 치과의사 po발치wer 님이 쓰신 현재 치과에서 사랑니 발치를 기피하게 된 원인에 관한 글입니다. 공감 되는 부분이 있어 퍼와봅니다.


-------------------------------------------------------------------------------------------------------------------------------


문케어가 일으킬 의료계의 문제는 치과 사랑니발치랑 관련해서는 이미 일어나고 있다고 봅니다.

사랑니 발치에 대해서 동네의원이나 중소병원에서 비급여로 할 수 있는건 지혈제 몇개 빼곤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비급여 가끔 필요해서 해도 환자들은 무슨 치아뽑는데 이렇게 비싸냐고 불만하시겠죠

급여가 되니 환자들은 좋습니다. 다른 나라랑 비교할 수 없는 저렴한 비용으로 사랑니를 뽑습니다.

실제 간단한 발치의 경우 본인부담금은 1만원도 안될 수도 있고요, 가장 어려운 난이도의 발치를 해도 일반 환자 본인부담금은 4만원을 넘어가기 힘듭니다.(발치만 따졌을때, 엑스레이나 스켈링등 다른 비용은 빼고)

실제 의사가 보험공단에서 받는것과 환자 본인부담금 합친 총 금액은 3,4만원에서 10만원 조금 넘어가는 돈이지요

사랑니 발치에 걸리는 시간은 빠르면 마취포함 5~10분, 오래걸리면 몇십분 걸리는건 한번 사랑니뽑다 고생해보신 분은 아실 겁니다.

하지만 아무리 의사들이 조심해도 사람의 몸, 특히 혈관이나 신경이나 이런건 예측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가끔 신경손상과 같은 의료사고가 날 수가 있습니다.

그럼 거기 합의에 들어가는 비용은 천만원대를 넘어갑니다. 그것도 합의를 잘했을 경우에..

최대 고난이도발치 10만원 정도 받는 돈으로 100개를 뽑다가 99개 잘 뽑고, 1개 뽑았는데 잘못되면 그동안 몇년동안 사랑니 뽑아서 번 비용이 다 날라갑니다. 그것도 합의를 잘했을 경우에..

그러니 동네의원들은 사랑니 안 뽑기 시작합니다. 뽑더라도 쉬운 난이도만 뽑으려 합니다.

그럼 불편한건 환자들입니다. 사랑니 아파서 동네병원갔더니 안 뽑아주고 대학병원 가라합니다.

대학병원 갔더니 이미 예약이 6개월치 밀려있습니다. 난 지금 아픈데 6개월뒤에 오면 뽑아준다 합니다.

그럼 환자분들은 동네 치과의사들을 욕합니다.

저것들 돈되는 비싼치료만 하려하고 어렵고 돈안되는 보험진료는 안하려한다고

의사들이 왜 안하는지에 대한 생각은 없이 그냥 자신이 불편한것만 생각하고 의사들을 비난합니다.

지금까지의 의료체계가 이런식입니다. 원가등의 비용은 고려안한 의료수가체계가 의사들과 환자들의 갈등을 유발시키는 거죠

문케어도 의료수가 정상화가 되지 않으면 이런식일겁니다.

동네의원등은 망해버려 없어지고 대학병원급의 병원만 살아남아 아파도 진료받으려면 몇개월씩 기다려야 할겁니다.

의사들이 왜 보험진료안하고 비보험진료를 하려는지 그 이유는 생각안하고

또 너희는 비보험진료로 돈 잘 벌면서 왜 그래? 라고 뭐라하시지 말라는 겁니다.

---------------------------------------------------------------------------------------------------------------------------------------------------------------------



10년 전 쯤이었나요. 삼성동에서 일할 때 무좀(지금은 나았어요. 진짜로!!) 때문에 근처 피부과를 점심시간을 이용해 방문 했습니다. 그런데 예약환자만 받는다더라구요.

오오~ 한국도 이제 미국처럼 병원예약문화가 정착이 되나부다 했습니다. 그래서 그럼 내일 점심으로 예약을 하겠다 했지요.

그런데.... 여기는 피부미용전문 피부과라 일반진료 예약은 안 받는다고 다른 피부과로 가시라고 안내를 하더라구요.

그순간에는 참 화가 많이 났습니다. 막 문전박대 당하는 기분도 들고 이것들이 없이 산다고 사람 무시하나 싶기도 하고 그래서요.

아마도 대다수 국민들은 당시 저와 같은 생각이었을겁니다. 배부른것들이 돈독이 올라서 비싼(비급여) 진료만 하려고 하네.

몇천씩 하는 병원 임대료에 직원들 급여 투자금액 생각하면.... 2500원짜리 진료는 애초에 불가능했겠지요. 또, 그 비싼 동네에 병원을 낸 건 제게 설명대로 피부미용 전문 목적으로 차렸을테니... 이해가 됩니다.

그렇다면 동네 병원으로 가볼게요.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겠지요. 3분카레.. 아니 3분 진료로 박리다매로 가던지, 보상은 적고 위험만 많은 진료를 기피하는거.

이건 의사나 병원을 탓할게 아닌것 같습니다. 병원도 자영업이고 의사도 돈벌려고 하는거니까요.

여기 의사쌤들도 설명해주셨지만 가장 큰 문제는 국민과 의사집단을 갈라치기 하는 현 시스템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대안이 뭐냐구요? 저도 몰라요~~(텨텨텨)






5


    레지엔
    니가 잘해서 그 한 번이 없으면 되지... 가 먹히는 나라라...
    tannenbaum
    그것보다는 비급여가 필요한 경우에도 이를 삐딱하게 바라보는 시선인거 같아여.
    저 글을 쓰신 치과선생님이 그러시더라구요.
    이빨 하나 빼는 게 뺀찌로 쏙하고 뽑으면 되는 줄 알지만 구강이 뼈와 살만 있는게 아니라 혈관 신경이 지나기 때문에 정확한 치료를 위해 필요한 엑스레이랑 이것저것 하는것 조차도 아까워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거... 이게 비정상적인 수가에서 시작된거라고 설명하시더라구요.
    레지엔
    그것도 포함한 얘기입니다. 수가 인정되는 항목만 해서 만병을 진단 치료해야 명의이며 의사들이 노력하면 다 가능하다고 믿는 분이 적잖이 있어요. 사실 저도 오늘 하나 또 봤다능 진료하다가...
    tannenbaum
    우리 레쌤은 명의 맞는뎅.
    닥터-K, 화타의 현신.
    레지엔
    근육도 없고 침도 못 놓음...
    어라 근육은 가지고 계신다고 들었는ㄷ....
    1
    소노다 우미
    그럴거면 미국식으로 가는게 답 아니겠습니까 ㅋㅋㅋㅋㅋ
    tannenbaum
    근데 또 미국식으로 가면.... 중산층들도 휘청거릴거라...
    아마 위암이라도 걸리면 저도 파산하거나 병원비가 없어 죽어야겠지요..
    소노다 우미
    게임이론에 의하면 다같이 죽는게 답일지도 모릅니다(....)
    포률리즘의 끝을 정말 보게 될것같은 그런 느낌이라....
    일반 월급쟁이 입장에서는 진료를 상급병원으로 이관시켜서 리스크를 덜어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사실 부럽습니다. ㅠㅠ 왜 나는 하이 리스크 로우 게인인가 ㅠㅠㅠㅠㅠ
    이게 의료법상 환자 진료 거부는 불법이기 때문에 사실 만만하진 않을 겁니다. 그 병원에서 정말 처리 못한다는게 입증되지 않으면 나중에 곤혹에 처할 수가 있어요.
    CONTAXS2
    딴거 안하고 종일 사랑니만 뽑으면 그렇겠죠.
    기백가지 종류를 다 다루는데 크리티컬한거 가져와서 '현실은 이렇고 미래는 저렇다.' 라고하면 좀 그렇지 않나 싶습니다.

    이번에 해외 나가기 전 잘못 씌운거 다시 씌우는데
    총 10번 정도 치과를 갔고 갈때마다 본인부담금을 몇천원에서 2~3만원씩 냈습니다. 물론 마지막 씌우는데는 한 60만원 들었고요.
    공단에서 얼마를 받는지는 모르겠지만 사랑니도 남고 보철도 남고 충치도 남고 모든 부분에서 하나도 빠짐없이 남기는건 좀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 그래요. 소비자 입장에서는.
    1
    사악군
    슈퍼에서 물건 백가지 팔면 이득 안나는 물건도 파나요? 그런 물건은 빠지는거죠.
    CONTAXS2
    아닌데요

    가서 내가 찾는 물건들이 다 있어야 거기 갑니다.
    편의점에 매시간 이득만 나서 24시간 하나요. 언제든 거기가면 영업을 한다. 라고 생각들게하기 위해 24시간 하는거죠.
    사악군
    찰떡아이스가 먹고싶지만 그거 안판다고컵라면 먹고싶을 때 편의점 안가지 않죠. 지방에는 24시간 안하는 편의점도 수두룩한데 새벽에 안한다고 저녁에 안 들리지 않습니다.
    CONTAXS2
    ㅎㅎㅎ 그럴수도요
    Leonipy
    근데 진료 거부를 못한다고 알고있었는데 피부과에서 무좀같이 돈 안되는 환자를 거부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나요?
    진료범위를 벗어난다고 거부하면 사실상 돈 안되는 환자에 대한 진료거부랑 다를 바가 없어보이는데요...
    tannenbaum
    전 잘 모르겠어여.
    추측건데 예약제로 운영한다. -> 예약을 안 받아준다. 이 프로세스면 진료거부에서 벗어나는게 아닐지....
    좀 더 자세한건 아랫분이. 텨텨텨.
    저도 잘 모르겠어요. 아마 걸면 걸릴지도. 나름 유권해석이 있는 부분이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처리 불가능한 환자 (장비/인력 이 없는 경우)에는 이송이 합법의 테두리일거에요. 치과샘들이 더 잘 아실듯 합니다 사랑니는.. 기술이 부족하다고 하면 되려나.
    바코•드
    예전에 동네병원가서 물어보니 뽑을 수는 있는데 사고나도 책임 안문다는 각서를 써달라고 하더군요. 그러면서 가급적 대학병원으로 가라고...
    실제로 걸면 문제가 되긴 됩니다
    많은 피부과들은 진료 거부를 회피하기 위해서 의뢰서는 써주겠다고 합니다. 그조차도 안해주면 논란 여지 없이 빼박이고...
    소노다 우미
    옆 병원 가라던데요 전 ㅋㅋㅋ
    꼭 문케어가 아니더라도 산부인과 출산 같은건 이미 망가져 버렸죠. 제가 군 훈련소에서 산부인과 전문의한테 들은 말이 개업하면 분만사고가 확률적으로 보통 2년에 한번 나는데 그러면 딱 똔똔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2년을 넘겨야 그때부터 이득이 나는데, 2년 안에 두 건만 나면 망한다고.. 그 친구는 나름 분만에 대한 큰 꿈이 있었는데 아직도 하는 지는 모르겠네요. 그게 벌써 20년 가까이 되니 그떄에 비교하면 소송액은 증가하는데 수가는 그걸 못따라가니 결국 이래저래 다들 접어버렸습니다. 분만실 아예 안만들어 놓으면 진료거부도 아니... 더 보기
    꼭 문케어가 아니더라도 산부인과 출산 같은건 이미 망가져 버렸죠. 제가 군 훈련소에서 산부인과 전문의한테 들은 말이 개업하면 분만사고가 확률적으로 보통 2년에 한번 나는데 그러면 딱 똔똔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2년을 넘겨야 그때부터 이득이 나는데, 2년 안에 두 건만 나면 망한다고.. 그 친구는 나름 분만에 대한 큰 꿈이 있었는데 아직도 하는 지는 모르겠네요. 그게 벌써 20년 가까이 되니 그떄에 비교하면 소송액은 증가하는데 수가는 그걸 못따라가니 결국 이래저래 다들 접어버렸습니다. 분만실 아예 안만들어 놓으면 진료거부도 아니다 보니. 나름 저출산 기조와 함꼐 균형을 이루는건 같습니다. 요즘 산부인과 지원이 다시 늘어나고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분만이나 힘들고 자리없는 부인종양 같은 세부전공은 여전히 기피하더군요. 예전에 비해서 지방흡입이니 미용, 그리고 내분비쪽 재교육구조가 잘 갖춰져 있어서 역시 소프트한 영역은 커져만 갑니다.
    7
    DoubleYellowDot
    웃자고 하는 말이지만 안웃긴 말로 사람 출산 보다 개 출산 병원 찾는게 더 쉽다고는 하더군요.
    사악군
    심지어 출산중 사고시 의사가 무과실이라도 책임지라는 안까지 나왔으니까요. 이러니 기피과가 될 수밖에요.
    사나남편
    사실 개인 치과에서 사랑니 매복사랑니라...찢고 수술하는데 2시간 가까지 했는데...돈..안받으시더라고요...스켈링도 그냥해주시고...ㅠㅠ
    Morpheus(R)
    이 분야는 잘 모르는 분야인데
    보통 미국 의료보험 까면서 우리나라 의료보험이 잘 되어 있다고 하잖아요? 그건 환자 입장에서 이야기인가요?

    그렇다면 그 한국식 의료보험이 여태 유지되어온건 의사,간호사 등 병원관계자 고혈 뽑아먹으면서 지탱해온거란 건데

    여태까지 그 고혈 뽑아먹어도 지탱이 된 이유는 뭐고
    이제 이슈가 많이 되는 이유는 뭔가요?
    사나남편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사람을 갈아 넣으면 가능하죠. 의료만 그렇겠습니까? 제조업도 마찬가지죠. 왜 엘지 삼성이 세계탑티어일까요 ...사람을 갈어 넣습니다.

    이제 이슈가 되는건 다른분야도 마찬가지지만 직업 윤리를 가지고 맹목적 희생을 바라는건 사회적으로 용납이 안되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어서 그런게 아닌가합니다.
    Morpheus(R)
    그렇다면
    한국의 의료보험은 세계최~고!! 라는 말은 이제 접어둬야겠군요
    라지만 저에겐 좋긴 한데 헤헤 이기적인 인간입니다 -_-;;

    그렇지만 사람 갈아 넣는 것은 안됩니다. 제가 건강하고 말겠습니다.
    사나남편
    솔직히...의료관련직종들 3교대도 잘 없습니다. 정상적으로 사람이 살려면 4교대는 되야 사람같이 살수있는데 단가가 그렇게 안나오죠. 이전에는 했는데 지금은 왜 못ㅎㅏㅁ??? 이럴거라서..
    Algomás
    별로 생각안하고 살아왔는데. 새로운 시각을 갖게해주는 글이네요. 의료수가에 대해서도 여러모로 생각해 볼 수있는 계기가 됐습니다. 물론 영세한 소비자 입장인지라.. 좀더 저렴한 가격의 의료 서비스를 원하긴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서비스 공급자체가 문제생길수 있다는 지적을 보니...
    오늘도 클린턴에게 또 한번의 박수를 보냅니다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
    DoubleYellowDot
    사람 값 제 값 쳐줘야 하는 세상이 왔다는데 의료 수가는 보험수가가 정상이고 비급여로 의사 놈들이 가난한 내 눈탱이쳐서 벤츠타는 거니까 안바뀔거고 나라는 그렇게 망할겁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8 7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에메트셀크 25/04/27 110 2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64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34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2 + dolmusa 25/04/25 627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54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18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6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83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8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85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3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5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44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9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9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90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4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36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3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700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4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10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5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