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8/02 07:42:37
Name   뤼야
Subject   사라, 쥬디, 앤 그리고 블루 - 여자와 아버지
[바리데기][심청]처럼 나약한 아버지로부터 버림받거나 희생을 강요당하는 전래의 이야기, 또는 텅빈 부성(父性)의 빈자리를 채우려는 갈급함이 부른 비극적인 이야기가 우리에게 많고 많습니다. 이문열이 쓴 대하소설 [변경]의 '모니카'를 봅시다. 비극적 사랑 끝에 버림받고 자살하는 여성, 결국 부성의 빈 자리 때문입니다. 양반에게 농락당한 노비의 딸, 아버지가 없는(?) 무당의 딸, 기지촌의 창녀, 산업화시대의 공단 근로자, 1960년대의 파독 간호사, 수많은 여자들이 문학 속 비극의 이름을 수놓습니다. 이런 설화와 문학이 단지 이야기로 그치지 않았다는 극단적인 증거가 바로 '일본군 위안부'지요. 결론, 우리의 아버지는 (대부분) 나약했기에 딸을 지켜줄 힘이 없었습니다.

영화 [테이큰]을 통해 잘 나타나는 '딸바보' 캐릭터는, 위 맥락에서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줍니다. 어쩌면 구시대, 이 땅의 힘없던 아버지에 어떤 반동같은 것이 아닐까요? 공작 수컷의 깃털마냥 '딸을 사랑하는 행위'가 자신의 세속적 성공을 입증하는 것이지요. 실제로 [테이큰]처럼 온몸으로 딸을 지키는 이야기가 인기기도 하고요. 자의반 타의반 비혼자가 넘쳐나는 이 시대에 결혼을 하고, 딸을 낳아서, 딸을 팔아먹지 않고(!) 온 사랑을 쏟아붓는 행위란 그야말로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긴 합니다.

그럼 딸에게 아버지는 어떤 존재일까요? 이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려 문학 속에서 '딸이 바라보는 아버지'를 소환할라치면 별로 떠오르는 것이 없습니다. 어려서 읽은 [소공녀]가 먼저 떠오르고, 이어서 몇년 전에 읽은 마리샤 페슬의 [블루의 불행학 특강]이 떠오릅니다. 아버지가 없어서 아버지를 찾은 [빨강머리 앤][키다리 아저씨]도 있네요. 그러고 보니 네 가지 이야기 모두 주인공이 '어린 소녀'이며 작가가 모두 여자고, [블루의 불행학 특강]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어린 시절에 읽은 이야기들입니다. 서로 다른 네 가지 이야기의 주인공이 모두 보살핌이 필요한 어린 소녀인 것은 세상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보다는 보살핌을 받는 소극적인 위치에 놓여 있는 미성숙한 여자의 심리가 기본적으로 바탕이 되어있는 이야기들이고, 이런 심리야 말로 '아버지를 바라보는 딸'의 이야기를 가능케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소공녀]의 주인공인 사라 크루의 아버지는 인도가 영국의 식민지였을 무렵 사라를 기숙학교에 남겨두고 인도로 떠납니다. 그가 열대의 나라에서 전염병에 걸려 객사하는 바람에 사라는 가파른 개고생의 길로 접어들지만, 아버지 판타지는 결국 경제력 판타지! 아버지가 남긴 막대한 부는 책의 제목대로 사라를 다시 '작은 공주'로 살아갈 수 있게 만들어주지요. '공주로 살고 싶어요'라는 메세지는 비인간적인 기숙사 교장의 악행과 공주를 끊임없이 괴롭히는 꼬꼬마 악녀들에 의해 희석되어, 사라에게 상속되는 부副의 면죄부가 되어버립니다.

[키다리 아저씨]의 주인공 쥬디의 경제적 후원자는 '키가 매우 큰'데, 실제로 키가 크다기 보다는 후원자의 그림자로 은유되는 쥬디의 의존적 심리의 크기가 큰 것이지요. 이 이야기는 곰씹어보면 약간 변태적이기까지 한데, 쥬디는 갑자기 꿈처럼 나타난 후원자 덕에 바라던 대로 대학에 진학하지만, 결국은 이야기의 종착역이 후원자(아버지)와의 결혼이라는 것이 함정! 이런 노골적인 판타지는 순정만화 수준 정도밖에는 되지 않지만, 역시나 주인공의 고난(고아라는 점)과 세속적 성공(대학진학)이라는 교묘한 포장으로 쥬디의 '공주되기'에 설득력을 부여합니다.

[빨강머리 앤]의 주인공인 앤의 아버지인 매튜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문학속 아버지상입니다. 말수가 적고 수줍으며 자애로운 그는 천방지축 세상을 향해 뻗어나가는 고아소녀 앤의 호기심을 한 번도 나무라거나 꺽으려 한 적이 없지요. 앤을 위해 극복하기 어려운 자신의 정신적 장애까지도 극복하려고 애씁니다. 매튜가 죽었을 때 정말 많이 울었습니다. 그가 없는 앤의 세상은 상상하기 어려웠으니까요. 책을 읽는 재미까지도 잃어버릴 정도였습니다. 자애로운 아버지. 사회적 성공과는 거리가 멀지만, 앤의 기행奇行까지도 믿음과  이해의 이름으로 감싸안은 아버지. "앤은 내 딸이야."라는 그의 수줍은 고백은 아직도 제 마음을 울립니다.  

[빨강머리 앤]이 다른 두 작품과 궤를 달리하는 이유는 앤이 공주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아버지가 되기 어려운 인물인 매튜(그는 너무나 수줍어서 여자를 보면 가던 길을 돌아가는 사람이지요.)의 고아 소녀에 대한 극진한 사랑이 매튜 자신을 극복하는 지점까지 이르기 때문입니다. 아름답고 성품좋은 사라나 쥬디와는 달리 앤은 타고난 단점이 많은 인간적인 주인공인데다, 허영심때문에 이러저러한 사고를 치면서 고난을 자초하지요. 앤이 공주가 아닌 인간으로 성숙해지는 발판은 그녀의 단점까지도 조용히 지켜봐주는 자애로운 눈길이 곁에 있었기 때문인 것이지요.



마지막으로 [블루의 불행학 특강]의 블루가 있습니다. 이 작품은 위의 세 작품과는 사뭇 다릅니다. 우선 작중 분위기부터 다르죠. 위에 소개한 세 작품의 시대적 배경이 전근대임에 반해, 이 작품의 배경은 현대인 이유가 있을 겁니다. 주인공 소녀 블루의 아버지는 대학교수로, 타인이 쉽게 넘보기 어려운 지적 아성을 쌓은 인물입니다. 아버지를 둘러싼 세 사람의 미스테리한 죽음에 대해 블루가 의문을 품으며 이야기는 시작되죠. 미스테리를 풀어내는 천재소녀 블루의 정신적 유산은 아버지로부터 연유한 것입니다. 그러나 셋의 죽음은 결국 아버지와의 비밀과 맞닿은 것이기에, 그녀의 추리는 아버지라는 모순에 대한 지적 도전장으로 이어집니다.

이 수다스럽고 떠들석한 이야기는 아버지의 유산을 거부하는 딸의 도래를 보여줍니다. 첫번째 미스테리한 죽음의 주인공인 블루의 어머니는 배반당한 공주로 박제된 나비표본으로 은유되고, 아버지(진정한 사랑)을 찾아 블루의 아버지에게 날아드는 여자들은 'june bug'으로 은유됩니다. 죽어 박제가 되거나 손을 휘저어 내쫓는 하찮은 것! 아버지를 찾는 것들은 결국 아무것도 아닌 셈이지요. 블루는 기이한 아버지와의 긴 여행을 끝장내는 것으로 아버지의 아성으로부터 독립하게 됩니다. 쓰다보니, 아버지 판타지를 찾으러 멀리 갈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수녀들이 있지요. 그녀들이야말로 궁극의 아버지 판타지에 도취된 셈이 아닐까요. 행복하겠습니다. 비꼬는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행복하겠습니다.



0


    난커피가더좋아
    글 내용과 약간은 다르게 가는 얘기지만, 저는 언제부터인가 \'이상적인 아빠\'의 전형으로 \'딸 바보 아빠\'가 꼽히는 현상을 항상 흥미롭게 보고 있습니다. 저는 사실 자식 욕심(?)이 제로인데 와이프가 너무 원해서 갖기로 합의한 상황이라서요.
    \'for your daughter\'가 숨막히는 세상에서 그들을 움직이고 계속 혹사시킬 마지막 남은 명분이 되는 것은 아닐까 생각도 해볼 정도였으니까요. 끊임없이 \'딸을 볼모로\'하는(taken) 세상에서 계속 구하러(save)하러 뛰어다니라는 거죠.
    뭐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차피 하나 낳기로 합의한 이상 저도 딸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딸바보... 더 보기
    글 내용과 약간은 다르게 가는 얘기지만, 저는 언제부터인가 \'이상적인 아빠\'의 전형으로 \'딸 바보 아빠\'가 꼽히는 현상을 항상 흥미롭게 보고 있습니다. 저는 사실 자식 욕심(?)이 제로인데 와이프가 너무 원해서 갖기로 합의한 상황이라서요.
    \'for your daughter\'가 숨막히는 세상에서 그들을 움직이고 계속 혹사시킬 마지막 남은 명분이 되는 것은 아닐까 생각도 해볼 정도였으니까요. 끊임없이 \'딸을 볼모로\'하는(taken) 세상에서 계속 구하러(save)하러 뛰어다니라는 거죠.
    뭐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차피 하나 낳기로 합의한 이상 저도 딸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딸바보 예약중인 아재였습니다.)

    이 기사는 그냥 재미로 보세요. 흐흐 http://news.donga.com/3/all/20150722/72658391/1
    링크해주신 기사 재밌네요. 잘 봤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아직 아이는 없으신 걸까?\'하는 사적 호기심이 살짝 들기도 했었는데요. 부디 형수님을 닮길 기도합니다. 크크크크크 사기결혼의 전말은 언제 밝히실 예정이신지...(먼산...)
    난커피가더좋아
    (그냥 먼산)흐흐
    Last of Us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아버지에 대한 판타지는 이렇게나 있는데
    어머니에 대한 판타지를 다루는 소설은 바로 생각나는게 없네요
    판타지라는 것이 현실에서 이루어지기 힘든 갈급이 부른 결과물인지라, 모성은 그런 의미에서 판타지로 발전하기까지의 이야기는 아니지요. 모성 판타지라기보다 모계사회가 이상적이라는 메세지를 담은 이야기는 황석영이 새로 고쳐쓴 [심청]에 나타나 있기는 합니다.
    마르코폴로
    소설에서 아버지하면 \'슬픔이여 안녕\'의 레이몽이 생각나요. 혈압상승의 아이콘이죠.
    레이몽이 혈압상승의 아이콘이라는데는 동의합니다. 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39 7
    15410 도서/문학쳇가씨 답정너 대담 백치 알료사 25/04/28 176 1
    15409 요리/음식옛 중국집에 관한 환상? 8 당근매니아 25/04/28 481 7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1 에메트셀크 25/04/27 314 5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327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523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2 dolmusa 25/04/25 726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96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81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37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513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90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801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94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88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61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55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30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807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506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61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403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712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302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405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