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8/05 07:52:27
Name   뤼야
Subject   [리뷰]필경사 바틀비 - 허먼 멜빌
현대인은 거의 모두가 완벽한 사회화에 성공한 개개인일 확률이 높습니다. 사회화에 성공했다고 하는 것은 자신만의 페르소나에 완벽하게 적응했음을 의미하기도 하죠. 그러나 어떤 신경증적 미봉의 상태로 페르소나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이를 스스로 포기하려는 이도 없지는 않습니다. 슬라예보 지젝은 이를 두고 "히스테리증자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은 자신의 상징적 지위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또는 주저하는 주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들은 사회적 연계와 배치의 자의성에 불과한 페르소나의 텅 빈 중심을 간파한 개인들입니다. 현실적 규정력이라는 인력에 자신을 맞기지 못한 채 영혼이 귀속될 장소를 얻지 못해 쉼없이 서성거리는 셈입니다. 문학 속에서 이러한 분열증을 앓는 인간군상의 이야기가 많이 다루어지는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지요.  



맨하탄에서 성공한 변호사인 화자는 자신이 지금까지 만난 사람 중 가장 기묘한 남자인 바틀비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그는 사업이 번창하면서 바틀비라는 새로운 필경사를 고용하게 되는데, 어딘지 모르게 우수에 찬 바틀비는 처음에는 문제없이 일을 잘 수행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변호사가 평소처럼 일을 맡기자, 바틀비는 돌연 "그러고 싶지 않습니다."(I would prefer not to.)라고 답하며 일하기를 거부합니다. 이후로 바틀비는 점점 일을 하지 않게 되고, 창문 건너편의 벽을 바라보면서 백일몽에 빠지는 일이 잦아지지요. 변호사는 너무도 당황스러운 나머지 바틀비를 설득해보려 하지만, 그는 계속해서 "그러고 싶지 않습니다."라는 대답을 돌려줄 뿐입니다.

어느 휴일, 변호사는 자신의 사무실에 들르려다가 그 안에 바틀비가 있는 것을 발견합니다. 바틀비는 그곳에서 살고 있었던 것이죠. 그 누구도 만나지 않고 자리를 뜨지조차 않는 바틀비의 외로움은 묘한 방식으로 변호사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변호사의 바틀비에 대한 감정은 연민과 혐오가 뒤섞인 아주 복잡한 것이 되어가고, 회유와 설득을 반복하지만 바틀비는 모든 것을 거부합니다. 결국 변호사는 바틀비를 남겨둔채 사무실을 옮기기로 결정합니다. 그러나 바틀비는 여전히 떠나기를 거부합니다. 후에 변호사는 바틀비가 유치장에 갇히게 되었다는 것을 알고 그를 찾아갑니다. 훨씬 여윈 바틀비를 보고 안타까웠던 변호사는 바틀비에게 사식을 넣어주지만 바틀비가 식사를 거부하고 굶어 죽었다는 소식을 접합니다.  

시간이 흐른 뒤 변호사는 바틀비에 관한 소문을 듣게 됩니다. 바틀비가 과거에 수취인 불명 우편을 처리하는 사무실(dead letter office)에서 일했었다는 것입니다. 비로소 변호사는 바틀비를 헤아리기 시작합니다. '수취인 불명 우편에는 얼마나 많은 절절한 사연들이 담겨져 있었을 것이며, 바틀비는 그곳에서 갈 곳 잃은 우편들을 불태우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하고요. 그는 이렇게 뇌까리며 [바틀비에 대한 자신의 이야기]를 마칩니다. "아, 바틀비여! 아, 인간이여!" 과연 바틀비의 진실은 어디에 있을까요?

고전적인 리얼리즘에 대한 반동으로 제가 일전에 쓴 '너무 유창한 화자의 문제'(https://redtea.kr/?b=3&n=674)로 언급한 적이 있었던, 즉, 데카르트의 코기토를 거쳐 칸트에 이르기까지의 인식론에 대한 회의적 시선이 문학에 대두됩니다. 20세기에 이르러서 이러한 화자의 문제에 대한 인식이 문학과 비평계의 화두가 된 것이죠. 하여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선구적 작품을 꼽을 때 가장 먼저 거론되는 작품이 바로 허먼 맬빌의 [필경사 바틀비]입니다. 이 작품이 씌여진 것이 1890년이니 19세기의 작품이 20세기의 작품으로 대접받는 셈입니다. 여러 비평가와 철학자들이 [필경사 바틀비]를 자신의 저작에 소재로 사용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입니다. 저도 여러 경로를 통해서 아감벤이나 네그리를 경유하여 진중권이 쓴 [필경사 바틀비]까지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른 해석을 내린 것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화자인 변호사는 자신의 사무실에서 일하는 두 명의 필경사를 자신이 붙인 별명으로 칭하는데, 이를 통해 주인공의 타인에 대한 무관심과 무신경 즉, 그를 둘러싼 타인이란 기껏해야 '별명으로 불릴만한 특징을 가진 사물(도구)'과 다름 아님을 드러나지요. 그러나 바틀비는 주인공과의 인상깊은 조우를 통해 자신을 각인시킵니다. 주인공이 바틀비라는 타자의 지평에 눈을 뜬 순간, 주인공은 바틀비라는 타인의 드러나지 않은 '진실'에 강렬한 인력을 느끼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이 작품 속에서 '이름을 돌려받는 행위'는 한 개체의 고유성에 눈뜨는 순간이며 이는 또한, '세상이 갈라지는 순간'에 비견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필경사 바틀비]를 독해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만, 진중권은  이를 두고, [바틀비:변호사 = 디오게네스:알렉산더] 해석해 조금 당황스럽게 느껴졌습니다. 이것은 아감벤이나 네그리가 바틀비를 '폭력에 저항하는 세속적 메시아' 또는, '거부를 해방으로 나아가는 1단계'로 여긴 것에 미학의 조미료를 살짝 뿌린 진중권식 비틀기에 다름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역시나 아감벤이나 네그리의 지나치게 정치사회적인 해석도 제게는 그리 온당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정치사회학자고, 저는 철학적 인식론에 회의를 품은 문학덕후이기 때문이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저는 오히려 바틀비를 한 개인의 진실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합당한 해석을 내릴 수 없다는, 즉, 독자가 바틀비에 대해 알 수 있는 진실은 오직 화자를 통해서이며, 소설 속의 화자를 의심하는 순간 바틀비의 진실은 영원히 알 수 없음에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처음부터 화자인 변호사는 바틀비에게 강한 인력을 느꼈기에 그가 바틀비에 대해 한 이야기는 '믿을 수 없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이죠. 이것은 마치 사랑하는 사람의 단점은 작게 보이고, 혐오하는 사람의 단점은 크게 보이는 이치와 하등 다를 것이 없는 것입니다.

저는 면벽面壁하는 바틀비보다 바틀비의 이름을 돌려준 주인공에게 주목해서 바틀비를 읽습니다. 같이 일하는 동료의 이름조차 염두에 없는 주인공이 바틀비라는 기인을 만나 그를 이해(또는 오해)하는 과정 즉, 바틀비를 향한 의문과 분노, 회유가 관심과 연민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점차 고조되다가, 종적을 감추었을 때 해소되는 긴장감이야 말로 바틀비를 읽는 묘미죠. 말하자면, 주인공의 바틀비에 대한 지나친 호기심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완벽하게 사회화된 주인공이 '페르소나를 스스로 벗어던진 타자'의 지평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대한 소설적 형상화에 주목하여 읽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면벽할 수 밖에 없는 바틀비의 진실은 어디에도 없음에 주목합니다. 그것은 아감벤이나 네그리가 이야기하는 '어떤 저항'이라기 보다는 삶을 향한 목숨을 건 도약 이후에 나타나는 어떤 후유증같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바틀비에 텅빈 몸짓 속에는 발화發話하는 순간, 이야기로 전락하고 말아버릴 진실에 대한 애도가 담겨있으리라고 짐작합니다. 화자가 바틀비를 이해하려는 노력의 근거는 돌아갈 곳이 없는 편지를 태우던 예전의 그의 직업이지만, 과연 그것이 옳은 해답인지는 아무도 알 수 없지요. 결국 이해란 오해일 뿐입니다.

진리에 능하다는 것은 대답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 작품이 걸작인 것은 대답하지 않고 질문하는 방법을 알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누구입니까. 끝없는 오해와 결국 아무것도 아닌 이해 속에서 우리는 겨우 인간일 뿐이지요. 삶의 진리에 대한 왈가왈부는 이 세계가 커다란 하나의 원리에 의해 움직여야 한다고 믿는 변증법자들의 것입니다. 그들은 중요한 것은 삶 그 자체이며, 진실은 절대 말로 옮겨질 수 없다는 사실을 모르는 환원론자들이죠. 자신만의 고유한 경험이란 타인에게 옮겨지는 순간 한나절의 이야깃거리도 되지 못하고 소비되고 버려지는 가십거리로 전락하고 만다는 사실은 슬프기까지합니다.

그러니 중요한 것은 지금 이 순간, 당신이 서 있는 그 자리에서 당신이 하고 있는 행위가 바로 당신 자신이라는 사실입니다. 기성의 질서에 편입하기를 거부하는 당신의 낯선 욕망의 흐름을 당신은 어떻게 제어하고 있습니까?



0


    난커피가더좋아
    문학분야엔 참 천재들이 많군요. 그런데, 문알못이자 질문충인 저는 또 궁금해집니다. 글 말미에서 지적하셨듯 바틀비에 관한 변호사의 진술을 신뢰할 수 없다면, 더 나아가 바틀비라는 인물의 존재자체를 의심하게 된다면....그럼 이런 의심을 토대로 이 글에서 바틀비에 대한 서술은 변호사의 내면에 있는 샤도우(아들러식 표현) 즉 페르소나가 아닌 내면의 자아를 나타낸 것이라고 보긴 어려운 건가요? (멍청한 질문 죄송죄송)
    멍청한 질문이라뇨. 제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말씀해주셨는걸요. 게시판에 재미도 없는 글 올리면, 제 글에 덧글 달아주시며 문알못이라하시는 분들이 문학덕후인 저보다 감각이 뛰어나단 생각합니다.
    삼공파일
    [피로사회] 열심히 읽고 알게 되었던 작품이네요. 철학자들이 아주 좋아하는 소설 같더군요.
    [피로사회]의 저자 한병철인가요... 독일에서 자신의 저작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것으로 들었는데, 아직 읽어보진 못했어요. 바틀비 이야기를 썼었군요. 읽어봐야겠네요.
    王天君
    좋은 해석입니다. 바틀비를 알려고 함으로써 그에 대해 아는 것이 없고 이해할 수 없음을 알게 되는 역설이 멜빌이 의도하고자 했던 것 같습니다. 화를 내지도, 적극적으로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고 이해불가의 존재에 허둥지둥하는 서술자의 태도가 오히려 우리가 타인을 대해야 하는 겸허함이 아닌가 생각도 들고요.
    뤼야님은 전제도 결론도 내리지 않는 모더니즘 소설에 특화된 독해를 하시는 것 같네요.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르코폴로
    제가 읽은 바틀비의 해설에서 왜 would not prefer to가 아니라 would prefer not to 인지에 대해서 주목해 봐야한다는 지적이 인상 깊더라고요.
    소설의 마지막쯤에선 바틀비도 바틀비지만 고통받는 변호사 양반을 보는 재미가 쏠쏠했어요. 흐흐흐
    아주 미묘한 차이인데 바틀비의 거부의사라는 것은 사실 \'의지\'라기 보다는 \'어쩔 수 없음\'에 더 가까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어디서 읽으셨는지 저도 한 번 읽어보고 싶은데 좀 알려주세요.
    마르코폴로
    제 기억이 맞다면 문학동네에서 나온 필경사 바틀비에서 본 책의 내용이 끝나고 뒤의 해설에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일러스트도 그려져있는 책이었어요.
    대학 새내기 시절에 이 책으로 리포트를 썼던 것이 생각나네요. 흐흐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오... 이과생은 전혀 모르는 문과생의 레포트! 뭐라고 쓰셨을까 궁금하다능.
    스티브잡스
    전공수업때 고통을 주던 작품인데 졸업하고 다시 읽으니 새롭더라구요. 오늘은 이거 책장에서 꺼내야겠습니다.
    제가 이 작품을 구해 읽으려고 했을 때, 정식으로 번역된 것이 없어 영한대역으로 읽었거든요.
    실용의 목적으로 영어를 익히는 거랑, 영문학을 하는 거랑은 완전히 다른 세계의 이야기라는 것을 다시 한번 뼈저리게 느꼈죠.
    다시 대학에 진학한다면 이과 대신 문과를 선택하고 영문학을 공부해보고 싶기는 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777 7
    15375 일상/생각우리 강아지 와이프^^;; 5 + 큐리스 25/04/09 302 4
    15374 기타[설문요청] 소모임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대해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17 + 오른쪽의지배자 25/04/09 346 3
    15373 과학/기술챗가놈 이녀석 좀 변한거 같지 않나요? 1 알료사 25/04/09 317 1
    15372 과학/기술전자오락과 전자제품, 그리고 미중관계? 6 열한시육분 25/04/09 302 2
    15371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567 17
    15370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3. AI와 함께 개발하다 7 토비 25/04/08 315 12
    15369 정치깨끗시티 깜찍이 이야기 3 명동의밤 25/04/08 309 0
    15368 일상/생각우연히 폭싹 속았수다를 보다가.. 8 큐리스 25/04/08 529 0
    15367 영화지쿠악스 내용 다 있는 감상평. 2 활활태워라 25/04/08 311 1
    15366 경제[의료법인 법무실] 병원관리회사(MSO) 설립, 운영 유의사항 - 사무장 병원 판단기준 1 김비버 25/04/08 367 1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5 The xian 25/04/07 714 13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371 7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2 김비버 25/04/06 477 4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345 2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10 명동의밤 25/04/05 1138 10
    15360 일상/생각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925 36
    15359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4) 5 노바로마 25/04/04 855 4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2900 11
    15356 정치[불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선고 146 T.Robin 25/04/04 5170 9
    15355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605 17
    15354 일상/생각이상적인/사악한 아름다운 한국 사회 11 골든햄스 25/04/02 991 9
    15352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2. 캐릭터 설정은 어떻게 했나 15 토비 25/04/02 639 21
    15351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512 43
    15350 오프모임4월 5일 5시 학동역 세종한우 갑시다. 20 송파사랑 25/04/01 1030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