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4/21 20:35:49수정됨
Name   메존일각
File #1   ydvil.jpg (238.2 KB), Download : 21
Subject   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 본 글에는 어떤 형태의 비하 의도도 담지 않았음을 밝힙니다.
* 제가 직접 관련 연구를 진행한 것은 아니므로 사실관계에 있어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신분제도는 있을까요 없을까요? 현대에 돈이나 권력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신분제도 말고, 조선시대까지의 양반, 중인, 양인, 천인 등의 신분제도 말입니다. 저는 모 김씨 가문의 33대손이던가 그런데요. 그렇게 교육받았기 때문에 그런가보다 할 뿐이지, 실제로도 양반이었는지 아니면 족보 세탁을 한 것인지는 모릅니다. 관심도 없고요.

신분제도는 주지하시는 바처럼 현재는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신분제도는 1894년 갑오개혁 때 공식적으로 혁파됐고, 그나마도 온나라가 뒤집힌 6.25 전쟁 이후 대부분 사라졌지요. 하지만 희미하게나마 남아 있는 곳들이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곳으로 경주 양동마을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곳은 여강 이씨와 외가인 경주 손씨가 양대 문벌을 이루며 수백 년간 집성촌으로 발전한 곳입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관광지라 많이들 가보셨을 테고, 가보신 분들은 기와집과 초가집이 어우러진 마을의 고즈넉한 분위기가 마음에 드셨을 테죠. 한데 이 마을의 몇몇 기와집 외에 아직도 많은 초가집들은 옛날 양인들이나 양반집 외거노비들이 살던 가랍집이었습니다.

예전 관련 논문을 읽어본 바로는 신분제도가 1970년대까지 상당히 공고히 남아 있었다고 합니다. 시대가 변했지만 이곳은 여전히 조선시대였던 거죠. 때문에 그 옛날 신분이 낮았던 집의 젊은 사람들은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던 시기 상당수 마을을 떠났습니다. 그렇지 않더라도 집이 헐리거나 거주자가 바뀐 경우가 많고요. 초가집에 살던 사람들이 마을을 '아예' 떠남으로써 신분제도가 어느 정도 희석된 거죠.

저도 오랫동안 이렇게만 알고 있었습니다만, 2~3년 전 관련 연구를 진행하신 선생님의 말씀을 들어보니 신분제도는 아직도 남아 있다고 합니다. 대놓고 드러내지 않을 뿐이지 여전히 양반 자손들은 양인이나 천인 출신 자손들과 말조차 섞지 않는다는 말씀에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양동마을 초입에는 기와로 지붕이 덮힌 초등학교가 있는데요. 몇 년 전 방문할 땐 신기하기만 할 뿐이었지만 말씀을 듣고 보니 학교에서 교육받는 아이들 간 미묘한 차별이 있지 않을까 궁금해지기도 했습니다.

아시다시피 경주 양동마을은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 전까지 양동마을은 중요민속자료로써 보존되고 있었지만 세계유산에까지 등재가 됨으로써 마을 전체가 아주 엄격하게 보호받게 되었습니다. 등재된 세계유산은 별도의 세계유산 관리조직을 신설하고, 매년 정기보고서를 작성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하는 등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아주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고서는 유산을 변경하는 행위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현재 남아있는 가옥들은 그 상태 그대로 보존되어야 합니다. 이미 새롭게 들어온 집의 주인들이야 종갓집 사람들과 만나도 별로 신경쓰지 않을 수도 있으나(모르긴 해도 마을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려면 꼭 그렇지는 않을 겁니다), 고향을 떠날 수 없어서 여전히 집을 지키며 살아오신 분들은 21세기가 되어도 마을을 아예 떠나지 않는 이상 불편한 신분제 하에서 살 수밖에 없겠죠. 

원 취지는 문화유산이 됨으로써 보호를 받는다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박제가 된 셈입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5-05 13:01)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1


    맥주만땅
    보존이라는 것 자체가 박제를 하는 것이지요.

    '유년기의 끝'이라는 소설을 보면 외계인들이 지구가 사라지기 전에 지구의 동식물의 표본을 외계로 옮겨서 보존하지요.
    메존일각
    문화유산의 보존철학에서도 문화재의 보존 개념은 시대에 따라 변해 왔습니다. 해외의 문화유산 보존 개념이 들어옴으로써 conservation이냐, protection이냐, restroration이냐를 놓고도 첨예하게 대립합니다.

    문화재보호법의 제1조의 내용인 "문화재를 보존하여 민족문화를 계승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함과 아울러 인류문화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에서 '계승' 외에도 '활용'을 강조하는 것은 (교수님은 절 혼내실지도 모르겠지만) '박제'라는 단어에 하염없이 몸부림치며 고민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1
    소원의항구
    제가 몇년 전 길을 가는데 예식장 앞이었습니다.
    어느 두 노인들이 다툼을 벌이는데 한명이 다른 한명에게 “그집 아들 아주 고향에서 쌍놈이라고 소문이 다났어. 아주 다 안다고!”
    이러는데 다른 쪽이 아무 대꾸를 못하고 그냥 약간은 슬픈 표정으로 가만히 있더라고요.

    무언가가 있기는 있나보다..이런 짐작만 하면서 지나쳤던 기억이 있습니다.
    화이트카페모카
    은연중에 있기는 하죠
    겨울삼각형
    현재는 재산이 신분이죠.

    물론 조선말즈음에는 공명첩으로 너도나도 관직을 가질수 있어서 그때도 재산이 있으면 신분 상승(?)할순 있었다고는 하지만..
    Blackmore
    어떤 연구자에게 듣기로는 현재도 국사학계는 조선시대 사대부들 후손이 꽉 휘어잡고 있다고 하더군요. 그런 이유로 한국 국사학계에서 조선사 해석이 극히 제한적이라고 하고, 특정한 세력에 대한 부정적 재평가도, 특정한 세력에 대한 긍정적 재평가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서양학자들의 조선사 해석이 훨씬 개방적이고 객관적이라고 하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사진이 많이 눈에 익는데했어요. 문화재글 보면서 양동마을 이야기를 해볼까했었거든요.

    격동의 시절이 제 기억속에 희미하게 남아있습니다.

    한번은 제사인지를 드리고 다들 자게되었는데 저는 사랑채에 못잔다고 여자아이는 사랑채에 재울수 없다고 해서 저는 다른 건물방에서 자서 기분이 나빴었어요. 그러나 동네가 고즈넉하고 기운이 좋아서 저녁 그 밤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것보면 고향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는것 같아요.
    메존일각
    고향이시로군요. 혹 불편한 표현이 있지 않았을지 염려됩니다.

    안채는 안주인, 사랑채는 바깥주인의 공간이니 충분히 그럴 수 있었겠지요.
    지금도 제사를 지낼 때 남녀가 겸상하지 않는 것 정도는 흔하니까요.
    전혀 불편한것 없습니다. 덕분에 어릴때 기억을 되살리게되었고 고향생각도 나고 그리운것도 있고 반가운것도 있고 그렇죠.
    세무회계연습
    ‘여전히 양반 자손들은 양인이나 천인 출신 자손들과 말조차 섞지 않는다는 말씀’에 저도 놀랐습니다. 구시대적 차별은 벌써 70년 전 화염 속에 같이 타 버린 줄 알았는데...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4 정치/사회해군장관대행의 발언 유출 - 코로나 항모 함장이 해고된 이유. 4 코리몬테아스 20/04/07 6049 11
    865 여행몽골 여행기 - 1부 : 여행 개요와 풍경, 별, 노을 (다소스압 + 데이터) 8 Noup 19/09/26 6222 11
    863 정치/사회'우리 학교는 진짜 크다': 인도의 한 학교와 교과서 속 학교의 괴리 2 호라타래 19/09/23 6273 11
    859 정치/사회능동적 인터넷 사용자 vs 수동적 인터넷 사용자 16 풀잎 19/09/15 7021 11
    804 역사뮌헨에 들렀다가 다하우에 다녀온 이야기 4 droysen 19/05/18 5510 11
    783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번외. ROC와 카파통계량 9 세란마구리 19/03/22 6800 11
    761 문학서평 -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김영하 3 메아리 19/01/13 6430 11
    752 문화/예술동양의 디즈니를 꿈꾼 일본 애니메이션 백사전의 피 1 레이즈나 19/01/05 6271 11
    730 역사고대 전투 이야기 - (7) 진형 7 기쁨평안 18/11/14 6729 11
    708 문학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 _ 조지 오웰 8 nickyo 18/10/01 7248 11
    693 일상/생각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2 nickyo 18/09/02 5871 11
    797 역사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10 메존일각 19/04/21 6097 11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6825 11
    606 요리/음식THE BOOK OF TEA 개봉기 24 나단 18/03/25 8440 11
    604 일상/생각인권과 나 자신의 편견 1 Liebe 18/03/18 6487 11
    529 IT/컴퓨터뱀은 다리를 가지고 있다구 16 Toby 17/10/16 8333 11
    764 체육/스포츠슈퍼볼 53(Super Bowl LIII) 프리뷰 (약스압) 5 Fate 19/02/02 7178 11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61 11
    479 역사삼국통일전쟁 - 7. 여왕은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 3 눈시 17/07/24 6296 11
    476 일상/생각대학 생활 경험은 사회 계층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까? 47 호라타래 17/07/19 8999 11
    462 역사삼국통일전쟁 - 4. 642년, 두 거인의 만남 4 눈시 17/07/01 5577 11
    463 일상/생각'인생을 게임하듯이 사는 법' 그리고 어른 6 삼성갤육 17/07/02 6391 11
    426 일상/생각논쟁글은 신중하게 28 기아트윈스 17/05/09 5860 11
    406 일상/생각호가호위 12 헬리제의우울 17/04/06 6607 11
    389 창작홍차의 연인 (5) - 완결 29 새벽3시 17/03/16 7399 1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