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3/28 11:55:09
Name   ar15Lover
Subject   중국에서 미국식 연방제를 도입하기는 힘들까요?
어렸을 때부터 중국이 연방제하기 좋은 나라 아닐까라고 생각했었는데

이 생각을 글로 써보는건 처음이네요.

중국이라는 나라를 표면적으로 보면

넓은 영토 + 많은 인구 + 지방마다 천차만별인 자연환경을 갖고 있으니

연방제 하기에 딱 좋은 나라라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미국식으로 각 성을 주(State)로 바꾸고, 각 주마다 자치권을 부여하면 어떨까

그러면 중국 전체적인 행복도가 높아지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한편으로보면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식 연방제 도입했다가

얼마안가 자치권을 얻은 각 성들이 미국 남부연맹마냥 저마다 연방탈퇴하겠다고 나서고,

그러다가 전국각지에서 군웅할거하는, 춘추전국시대가 다시 재림할까봐 두려워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만약 미국에서는 연방제가 가능한데 중국은 불가능하다면, 그건 중국인, 미국인들의 종특 차이에 기인하는걸까요 아니면 환경 차이에서 비롯한걸까요?

만약 그런 차이가 있다면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걸까요?

이만

하루종일 집에 있기 심심해서 써본 망상이었습니다.



0


    소원의항구
    이게 이제 한나라, 당나라 시스템이죠..?
    현대에서 잘 될까 모르겠네요
    ar15Lover
    잘 모르지만, 제가 알기로 한나라의 시스템은 군현제, 중앙정부에서 각 군현에 관리를 파견하는식으로 통치하는 중앙집권 시스템 아니었나요?
    ar15Lover
    나무위키 검색해보니 중국, 대만에서는 평가가 안좋은가 보네요.
    celestine
    실제로 신해혁명과 군벌시대 내내 연성자치론이 적지않은 지지를 받았다고 합니다. 중국 민중들도 자기네 나라가 통일 국가란 인식이 옅었다 하구요.

    펄벅의 <대지> 주인공 왕룽이 흉년이 들자 고향 안휘성을 떠나 처자식과 기차타고 강소성 도시로가서 구걸이랑 막노동(인력거꾼) 노릇으로 먹고 사는 대목이 있죠. 동료 인력거꾼에게 인력거삯을 후하게 쳐주는 손님으로 <외국인>이 으뜸이란 조언을 듣는데 왕룽은 <외국인> 이 누구를 가르키는지 혼란스러워 하죠. 말도 풍습도 전혀 다른지라 본인도 피난 온 땅에서 ... 더 보기
    실제로 신해혁명과 군벌시대 내내 연성자치론이 적지않은 지지를 받았다고 합니다. 중국 민중들도 자기네 나라가 통일 국가란 인식이 옅었다 하구요.

    펄벅의 <대지> 주인공 왕룽이 흉년이 들자 고향 안휘성을 떠나 처자식과 기차타고 강소성 도시로가서 구걸이랑 막노동(인력거꾼) 노릇으로 먹고 사는 대목이 있죠. 동료 인력거꾼에게 인력거삯을 후하게 쳐주는 손님으로 <외국인>이 으뜸이란 조언을 듣는데 왕룽은 <외국인> 이 누구를 가르키는지 혼란스러워 하죠. 말도 풍습도 전혀 다른지라 본인도 피난 온 땅에서 <외국인> 이 아닌가 하고요. 얼마 지나지않아 난생 처음 백인을 보고 손님으로 받은 후에야 머리색 눈색이 같은 자신은 도시 사람들과 같은 족속이고 머리색 눈색 다른 백인들이 족속이 다른 <외국인> 이라는걸 막연히 추측하는 장면이 이어져요. 당시 중국 일반인들에겐 하나의 중국 프로파간다가 당연한 개념이 아니었다는 암시로 읽히더라구요.
    5
    ar15Lover
    사실 중국처럼 넓은 영토에 지방마다 환경차이가 큰 나라에 통일 국가란 인식이 있다면 오히려 그게 더 신기할 것 같습니다.
    미국이 그렇듯 국방, 외교, 통화정책, 대외무역 같은 부분만 중앙정부에서 틀어쥐고 있으면 상관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다가
    일단 일당독재를 해결하지 않으면 어려울 것 같네요 (...)
    1
    ar15Lover
    공산당 일당독재였던 소련조차도 연방제였다는걸 생각해보면...
    오잉 소련은 지금 말씀하시는 것 보다 개별 지자체의 권한이 훨씬 더 제약되어 있는 거 아니었읍니까?
    ar15Lover
    소련이란 단어 자체가 소비에트 연방의 줄임말이니까요... 물론 소련 공산당 치하의 개별 소비에트가 미국의 주 수준의 자치권을 행사하긴 힘들지 않았을까 싶네요.
    전문가분들이 계시지만,

    좀 오래된 책이 생각나네요. 개정증보판이 나와있네요.

    새로운 황제들 -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중국, 개정증보판
    헤리슨 E. 솔즈베리 (지은이),박승준 (글),박월라,박병덕 (옮긴이)다섯수레2013-11-05원제 : The New Emperors: China In The Era Of Mao And Deng (1992년)
    http://aladin.kr/p/cjIE

    합본으로 나와서 독서대가 필요하지만, 이 만화책도 괜찮았습니다.
    ... 더 보기
    전문가분들이 계시지만,

    좀 오래된 책이 생각나네요. 개정증보판이 나와있네요.

    새로운 황제들 -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중국, 개정증보판
    헤리슨 E. 솔즈베리 (지은이),박승준 (글),박월라,박병덕 (옮긴이)다섯수레2013-11-05원제 : The New Emperors: China In The Era Of Mao And Deng (1992년)
    http://aladin.kr/p/cjIE

    합본으로 나와서 독서대가 필요하지만, 이 만화책도 괜찮았습니다.

    중국인 이야기 1~3 합본판
    리쿤우,필리프 오티에 (지은이),한선예 (옮긴이)아름드리미디어2017-03-10원제 : Integrale Une vie chinoise (2015년)
    http://aladin.kr/p/0JJDY
    1
    맥주만땅
    각 성 당서기들은 연방제라고 생각하고 있을 수도
    소노다 우미
    저도 여기에 한표..
    코리몬테아스
    말이 연방이지 한국의 지방자치 보다 못한 분권제도를 가진 이름만 연방인 국가도 있을 수 있는거니 '연방'이란 단어는 의미하는 게 없어요. 그래서 사례인 미국을 위주로 봐요.

    미국의 '연방제도'만 놓고 보면 그건 어떤 국가가 성취해야 할 목표라기 보다는 상황에 따라 적응하다보니 정착한 과정일 뿐이에요. 주마다 별도의 예산과 행정,입법,사법체계가 존재하고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그 시스템들이 의도적으로 호환되지 않는 건 사실 비효율적인거에요. 그게 특별히 더 민주적이라서 치러야 할 희생도 아니고요. 인구나 영토, 환경보다도 미국... 더 보기
    말이 연방이지 한국의 지방자치 보다 못한 분권제도를 가진 이름만 연방인 국가도 있을 수 있는거니 '연방'이란 단어는 의미하는 게 없어요. 그래서 사례인 미국을 위주로 봐요.

    미국의 '연방제도'만 놓고 보면 그건 어떤 국가가 성취해야 할 목표라기 보다는 상황에 따라 적응하다보니 정착한 과정일 뿐이에요. 주마다 별도의 예산과 행정,입법,사법체계가 존재하고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그 시스템들이 의도적으로 호환되지 않는 건 사실 비효율적인거에요. 그게 특별히 더 민주적이라서 치러야 할 희생도 아니고요. 인구나 영토, 환경보다도 미국의 형성과정에서 우연히 나온 제도라는 데 주목해봐요. 그래서 전혀 다른 역사를 가진 중국이 미국의 뒤를 따라가는 건 상상하기 힘들죠.

    그런 연방이야기를 접어두고, 자치권을 주는 것으로 넘어갔을 때, 지방분권은 민주주의가 수반되어야 해요. 민주주의가 아니면 분권화할 이유가 없죠. 독재하는 일당이 사람을 선별해 지방에 인사하는 제도를 지방의 자율적인 권위정부나 독재와 맞바꿔봤자 누구도 득보지 않으니까요. 자치의 본질은 권력의지에 대한 저항이에요. 힘을 나누고, 선을 긋고, 서로 견제하고, 이 걸 하려면 지금의 중앙이 쪼개지지 않으면 안될정도로 결속력이 약하고 부패하거나 비효율적임을 인정해야해요. 당연히 중국 공산당 안에 이런 합의는 없으리라 봐요. 사실 중국의 대중에게도 없을 것 같고요.
    3
    제시카11
    덩샤오핑 이후 중국의 각 성 정부들은 외교권과 군사권, 몇몇 중앙정부의 국가정책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독립 국가 수준의 통치권을 행사중입니다. 명목상만 강력한 중앙집권국가일뿐 중국의 사이즈에서 지방정부의 자치욕구를 억누르는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합니다.
    ar15Lover
    그럼 중국의 성들도 미국의 주들 처럼 별개의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와 군사력을 지니고 있는건가요?
    중국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입니다만, '중앙에 정책이 있다면 지방엔 대책이 있다'란 말이 떠오르는군요. 이 주제와 관련해서도 시사하는 게 있지 않을까 싶네요
    중국인들은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일당독재를 옹호하는 논리로
    분열은 춘추전국시대와 같은 혼란을 필연적으로 야기한다. 그래서 일당독재가 중국에 맞는 시스템이라고 한다고 어디서 전해들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연방제 도입 = 중국 분열 로 받아들여지지 않을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31 7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1 + 에메트셀크 25/04/27 191 3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88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63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2 dolmusa 25/04/25 658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68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27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9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90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81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89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8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8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50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43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22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93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7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41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4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701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5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7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14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6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