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2/09 15:18:38
Name   epic
Subject   자아비판 - 커뮤니티의 유혹



최근에 트위터를 시작했다. 대단한 용도는 아니고 즉흥적으로 떠오르는 단상을 메모하고 좋아하는 밴드의 공연 정보를 얻고자 하는 정도다. 홍차넷 타임라인마냥 신상을 드러내지도 소통을 바라는 것도 아니니 팔로워는 하나도 없지만 전혀 개의치 않는다. 그렇게 두 달 동안 70개 가량의 멘션을 허공에 쏟아부었으니, 혼자 놀기여도 꽤 재밌는 취미가 하나 생긴 셈이다. 혹시라도 내게 팔로워가 생긴다면 전혀 기분좋지 않고 대신 '대체 왜...'하는 의구심이 훨씬 앞설 것이다. 오히려 아무도 보지 않는 공간임을 알기에 멘션을 쓸 의욕이 생기는 지도 모른다.


하지만 소통을 완전히 거부한다면 거짓말이다. 그게 전부라면 요새 유행하는 말처럼 메모장에 썼다가 지우거나 개인적으로만 저장하면 될 일이다. 알고 있으면서도 트위터 계정을 파고서야 평생 안하던 메모라는 것을 하게 된 이유는 분명히 있다. 그건 (헤겔의 유언을 비틀어) '나를 이해할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하는 욕구 때문이다. 이중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 내 멘션을 본 사람들 수를 확인하는 것도 소소한 재미다. 즉 내 욕망은 차폐막을 설치하는 데서 끝나는 게 아니라 그 차폐막을 뚫고 들어올 자격이 있는 사람을 원하는 것이다.


인싸들, 그러니까 (트위터에서의) 나와 달리 소통을 분명하게 갈구하고 즐기는 사람들이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양상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른 것은 차폐막의 범위 뿐이다. 이 넓은 차폐막 안에선 '나'뿐만이 아니라 '나와 같은 의견을 가졌거나 나와 공유할 수 있는 것이 있는 사람들'이 꽁냥댄다. 그건 랜선 관계에 기반한 트위터나 현실 관계에 기반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은 물론 엠팍, 듀게, 일베, 여시 등 올드한 커뮤니티 사이트도 마찬가지다. 홍차넷이라고 다르지 않다. 여기서도 나름의 주류 정서는 존재하며, 활동이 잦은 회원들이 (의도는 없어도) 그것을 더욱 강화해나간다. 정서를 공유한다는 느낌이 진해질수록 그 커뮤니티에 대한 애정도 깊어진다. 그래서 커뮤니티는 유혹적이고, 이는 소규모일수록 더하다. 트위터가 근래 들어서 영향력이 강해진 건 역으로 그것이 쇠퇴했기 때문이다.


트위터를 통해 페미니즘을 배웠다는 이들은 한결같이 '새로운 것', '남다른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들에게 트위터는 다름을 가르쳐 준 공간이다. 현실의 관계에선 전혀 접할 수 없던 관점이기 때문이다. 남과 같을 것만을 강요하는 현실은 정서의 공유 이전에 수많은 제약이 있고 눈치를 봐야하는 것과 다르게 인터넷의 관계는 양심에 있어 자유롭고 제약이 없는 드넓은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차폐막으로 드넓은 공간을 스스로 좁혀버린 꼴이라는 점을 그들은 모르고 있다. 페미니즘에 경도된 트위터 뿐만이 아니라 안티 페미니즘을 표방하며 트위터리안들을 '자기들만의 생각에 갇혀 있다'고 조롱하는 남초 커뮤니티 또한 동일한 함정에 빠져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의 본질은 같음을 강화하는 공간이다. 아니, 한병철의 진단에 따르면 우리 시대가 '같은 것의 지옥'이다. 
[우리는 세상 곳곳을 돌아다니면서도 하나의 경험도 하지 못한다. 모든 것을 인지하면서도 어떤 것도 인식하지 못한다. 정보와 데이터를 쌓으면서도 어떤 지식에도 도달하지 못한다. 체험과 흥분을 애타게 추구하면서도 언제나 같은 상태로 남아 있다. 친구와 팔로워를 쌓으면서도 어떤 타자도 만나지 못한다. 사회 매체들은 사회적인 것의 절대적인 소멸 단계를 보여준다. 전면적인 디지털 네트워크와 소통은 타자와의 만남을 쉽게 해주지 않는다. 그것들은 오히려 낯선 자와 타자를 지나쳐 같은 자와 같은 생각을 지닌 사람들을 발견하도록 하고, 우리의 경험 지평이 갈수록 좁아지게 만든다. 그것들은 우리를 무한한 자기 매듭 속으로 얽어 넣고, 결국에는 "우리에게 우리 자신의 표상들을 주입시키는 자기선전"으로 이끈다.]  <타자의 추방>


이러한 같음의 강화가 다름으로 포장되는 것은 '고구마와 사이다'에 연결지을 수 있지 않을까. 현실은 답답하고 토로할 데도 없는데 내가 힘들여 노력하지 않아도 닿을 수 있는 어느 공간에선 내 말을 들어주는 사람들이 있고 좋은 생각들도 많은 것 같다. 과격한 표현으로 분노를 쏟아내도 사이다라며 통쾌하게 여겨준다. 안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물론 커뮤니티가 배격되어야 할 문화는 아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도구보단 사람에게서 비롯되는 것이고, 인터넷 상의 소통은 마약같이 해악만 있는 게 아니라 말 그대로 가끔 마시면 상쾌한 사이다 같은 것이니까. 홍차넷 활동을 한지 일 년이 조금 넘어간다. 처음엔 타 사이트에서의 키배와 어처구니없는 운영원칙에 질려 관조하고자 가입한 이곳에서 나도 모르게 옛날의 태도가 다시 드러나고 있었다는 것을 여태 모르고 있었다. 내가 영감을 자주 얻는 어떤 이의 글에선 "쓰레기를 치우는 것에 인생을 낭비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물론 쓰레기는 치워야 한다. 현실의 문제도 존재한다. 하지만 그것이 내 인생의 최우선 목표가 되어선 곤란한 것이다. 그런 것은 그런 걸 따로 하는 사람들이 있다. 스스로를 투쟁하는 청소부라고 여기는 많은 사람들은 사실 불나방에 불과하다. 나의 에너지와 가능성을 고작 불나방이 되기 위해 쓰는 것은 어찌나 무가치한 일인가. 에픽테토스는 "내 뜻대로 할 수 있는 일인지 가늠하되 아니라면 무시하라"고 말했다. 성별과 정치 성향을 막론하고 항상 열이 뻗쳐 있는 사람들, 그리고 열받음의 유혹을 견디지 못하고 폭주하는 나 자신에게 이 말이 필요할 때다.

"과몰입 ㄴ"



17
  • 과몰입 ㄴㄴ
  • 과몰입 ㄴㄴㄴ
  • 과몰입ㄴㄴㄴㄴ
  • 과몰입 ㄴㄴㄴㄴㄴ
  • 과몰입 ㄴㄴㄴㄴㄴㄴ
  • 과몰입 ㄴㄴㄴㄴㄴㄴㄴ


호라타래
잘 읽었습니당. 나를 이해할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나쁜끠
마지막에 빵 터졌네요ㅋㅋ 오늘도 홍차넷에 몇 번이나 댓글로 달까말까 갈등했던 문장이라ㅋ
저한테는 이런 글이 사이다이자 홍차넷에 계속 오게 되는 이유인 것 같아요. 잘 읽었습니다.
제로스
잘 읽었습니다. :) 몰입하지 않으면 재미를 느낄 수 없는데, 과몰입하면 주객이 전도되어 버리죠.
저도 과몰입할 때가 많아서..조심해야겠네요.
알료사
으으 반성합니다
원래는 저 같은 경우는 인터넷 이용시 가장 큰 강점인 다양성을 습득하는 의미로 인터넷을 사용 했었는데요. <- 과거

요즘은 무의식적으로 글을 쓰고 댓글을 달지만 결국에는 컨트롤된 환경에서 컨트롤된 행위인 것이고
심리학의 그 무서운 긍정강화... 댓글을 유도하고 피드백을 유도하는 시스템 안에서 허우적ㅋㅋ

이 보다 더 무서운 곳은 아주 철저하게 계산되어 있는 페이스북과 트위터라서... 그 동네는 그리 딱 정이 안가네요.
기아트윈스
음...음.. 얼마 전에 참석했던 대학원생 학회 제목이 '중국사: 주변부와 경계선' 뭐 그런거였어요. 변두리 역사, 경계선상의 모호함 그런 주제를 담은 페이퍼들이 발표됐지요. 기조연설을 맡은 양반은 업계의 락스타, 슈퍼빅네임이었어요. 이양반은 기조연설 후에도 계속 학회에 남아서 꽤 많은 세션을 소화했고, 심지어 폐회식 때 마지막 코멘트까지 해주었지요. 그런데 그 코멘트가 무척 인상적이었어요.

"사실 중국사 뿐만 아니라 광의의 인문학 전공자들이 주변부(periphery)니 경계선(border)이니 하는 이야기를 한지가 꽤 됐어요... 더 보기
음...음.. 얼마 전에 참석했던 대학원생 학회 제목이 '중국사: 주변부와 경계선' 뭐 그런거였어요. 변두리 역사, 경계선상의 모호함 그런 주제를 담은 페이퍼들이 발표됐지요. 기조연설을 맡은 양반은 업계의 락스타, 슈퍼빅네임이었어요. 이양반은 기조연설 후에도 계속 학회에 남아서 꽤 많은 세션을 소화했고, 심지어 폐회식 때 마지막 코멘트까지 해주었지요. 그런데 그 코멘트가 무척 인상적이었어요.

"사실 중국사 뿐만 아니라 광의의 인문학 전공자들이 주변부(periphery)니 경계선(border)이니 하는 이야기를 한지가 꽤 됐어요. 저도 그게 좋다고 생각해서 그런 얘기들을 꽤 했구요. 그런데 이번 학회에서 귓동냥을 해보니... 그게... 진짜 주변부 이야기만 하더라구요. 중심(centre)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들어본 지가 언제인지 모르겠어요. 이건 제 지도교수가 수십년 전에 해줬던 이야기예요. 모두가 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을 발견하거든 주저없이 저항하라구요. 난 어쩐지 우리가 이제 다시 중심부로 시선을 돌려도 되지 않을까 하는 인상을 받았어요."

그러자 청중들 분위기 싸해짐ㅋㅋㅋㅋㅋ

전 인용하신 한병철씨의 주장, 그러니까 '우리-타자'관계, 타자성, 배타적 동질성 등등의 어휘들이 좀 지겨워지기 시작했어요. 이게 나쁜 말이어서 지겹다는 게 아니라, 이제 워낙 다들 저런 말을 하니까 이게... 좀 물려요. 저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현재의 사회상을 과장하고있다는 의심도 들구요. 아니 웹세상이 배타적 끼리끼리문화로 뭉쳤대봤자 100년 전과 비교하면... 비교가 안되잖아요 ㅋㅋㅋ 그 땐 마을 사이에 산만 하나 껴있어도 서로 다른 아이덴터티를 갖고 투석전도 하고 그랬는데 ㅋㅋ 다른 대륙 사람은 심지어 같은 호모사피엔스 취급도 안해줬는데 ㅋㅋㅋㅋ

그러니까 제 말은 넘 걱정 마시라는 거예요. 지금 우리가 아무리 기를 쓰고 끼리끼리 놀아봤자 실탄사격하며 내전하던 시절의 끼리끼리레벨은 절대로 못따라잡지 않겠어요. 그냥 마 즐기면 되는 거지요 'ㅅ'
5
한지민
과몰입 ㄴ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755 7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222 5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1)]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김비버 25/04/06 347 3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255 2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7 명동의밤 25/04/05 800 9
15360 일상/생각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798 33
15359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4) 5 노바로마 25/04/04 782 4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2517 11
15356 정치[불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선고 146 T.Robin 25/04/04 5069 8
15355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565 16
15354 일상/생각이상적인/사악한 아름다운 한국 사회 11 골든햄스 25/04/02 931 9
15352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2. 캐릭터 설정은 어떻게 했나 15 토비 25/04/02 587 21
15351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460 43
15350 오프모임4월 5일 5시 학동역 세종한우 갑시다. 20 송파사랑 25/04/01 990 6
15349 정치젊은 공화국의 미망 - 12·3 계엄과 장기 내란 3 meson 25/04/01 748 7
15348 경제[개업인사] 법률사무소 간성 김태웅 변호사 개업인사 135 김비버 25/03/31 1896 102
15347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 - 5시간 짧은 후기 4 kaestro 25/03/31 412 2
15346 사회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405 5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714 4
15344 경제[의료법인 회생절차 가이드(1)] 요양급여 및 본인부담금 채권 압류해제 어떻게 해야할까? 1 김비버 25/03/28 396 2
15343 정치(혐오주의) 생성형 AI는 예상보다 빠르게 극단주의를 퍼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12 명동의밤 25/03/27 1651 9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55 명동의밤 25/03/26 2255 12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 25/03/26 529 5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9 kien 25/03/25 1214 0
15339 일상/생각알중고백 7 당근매니아 25/03/25 794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