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7/12 13:20:24
Name   OSDRYD
Link #1   https://news.v.daum.net/v/20190712100009621?fbclid=IwAR3DSgC4Ij7Du6NL06TdL39zs2V4eAAVjLiOjzEaNi1UadqS2M0q8R5LWoY
Subject   극단주의
https://news.v.daum.net/v/20190712100009621?fbclid=IwAR3DSgC4Ij7Du6NL06TdL39zs2V4eAAVjLiOjzEaNi1UadqS2M0q8R5LWoY

저는 극단주의자를 매우 경계합니다. 학창시절부터 나는 내 정치성향을 공개적으로 보이면, 종종 우파성향을 지닌 지인들로 부터 들었던 말이 "그렇게 북이 좋으면 북한으로 가서 살아라."하면서 대화를 끊을때 마다, 좌절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대화의 상대를 공존해야 할 존재로 인정하지 않고, 적으로 간주한다는 사실이 너무도 한심하게 생각하여 처음에는 그말에 저도 감정적으로 대응하다가 차차 나이가 들면서, 그런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고, 어떤 부분이 상대에게 그런 감정을 불러일으켰는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하지만 내가 잊지 않고 말하는 것은, 우리가 서로를 공동체에서 공존해야할 존재라고 봐야 한다는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극단적인 선택을 강요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최소한의 존중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유시민씨는 자칭, 타칭 진보의 대표적인 마이크, 목소리이고, 그동안 진보진영이 추구하는 가치는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약자에 대한 배려라고 믿습니다. 일본제재에 힘을 합치자는 주장은 이해하고 동감합니다. 소수의 정치인이 자신의 정치적 욕심을 위해서 이용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것을 떠나서도 국민중에서는 현 정부의 정책에 동감하지 않는 경우가 분명히 있을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에 대해서 설득하려 하지 않고 동경으로 이사를 가라는 말은 드디어 진보도 기득권이 되었고, 압박을 받는 입장에서 하는 입장으로 변한 것 같아, 실망감이 큽니다. 그동안 유시민씨를 비롯한 진보진영의 수많은 사람들을 종북이라고 공격했던 수많은 사람들에게 똑같은 방법으로 돌려주는 것 같습니다. (일베를 미러링해서 태어난 워마드 같은)

물론, 현재 유시민씨는 공인은 아닙니다. 정치인도 아닌 상태에서 설득할 의무는 없겠지요. 다만, 집권하면 오만해지는 것은 양쪽 정당 모두 비슷해지는 것 같아서 안타까운 마음에 글을 쓰게 되네요.




4
  • 전체를 못봐서 지나가다가 툭 뱉은 예능성 말이겠지.. 싶었는데 요렇게 짚어주시니 좋네요. 감사합니다.


sound And vision
2019년의 한국은 여전히 회색이 없는 나라인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답답해서 그냥 말을 안 하게 됩니다
녹차김밥
그 발언의 대상이 ‘현 정부의 정책에 동감하지 않는 국민’이 아니었기는 합니다만, 표현이 좀 과했죠. 저는 원래 유작가에게 호의적인 사람이므로 ‘이 땅에 살아가는 한국인으로서 취해야 할 태도가 아니다’라는 말을 catchy하게 표현한 것으로 호의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만, 실언은 실언입니다. 실제로 일본에 살고 계실 분들의 기분이 상하지 않을까 하는 게 제일 걱정이라서요. 뭐 정치인은 아니니까..
구밀복검
부친과 백부의 친일 의혹을 애써 해명하던 04년의 유시민이 떠오르는군요.
'나는 누구인가? 여기는 어디인가?'
듣보잡
유시민> 지금은 제가 이렇게 얘기하다가 ‘이 사람 누구지?’ 제가 김현정 뉴스쇼에 나왔는데 지금 앵커 이름이 갑자기 생각이 안 난다든가, 영화 보고 있는데 주인공 이름이 생각 안 나거나 이런 거 많고요. 얼마 전에 저 유럽 여행 갔다가 렌터카 몰다가 접촉 사고도 냈고요. 그 사고 낸 게 운전 기술이 부족한 게 아니라 판단을 잘못해서 그랬어요. 그러니까 ‘아, 이제 나는 정점을 지났다.’ 그렇게 생각하고요.

그냥 과거 본인 발언 스스로 증명하고 계신 거라고 봐도 될 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유시민씨 성향이 극단주의까지는 아니라고 보긴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극단주의적인 사람과 별 차이없는 발언을 하는 경우가 예전부터도 종종 있었으니 뭐... 유시민씨에 한정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개개인에 대한 기대 자체를 안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소노다 우미
요즘은 말을 안 하게 됩니다.
이제 내가 할수 있는것은 설득이 아니라 조롱뿐이라는걸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 도쿄 가서 살아야겠군요... 비자가 필요합니다..
절름발이이리수정됨
상대방을 조롱하거나 계몽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은, 극단주의와 동의어가 아닙니다. 극단주의는 사상적 포지션이 양극에 있는 것이지만, 배타적인 설득의 애티튜드는 지극히 중도적인 포지션에서도 얼마든지 취할 수 있고, 역으로 극단주의자도 정중하고 관용적인 태도의 설득을 취할 수 있습니다(물론 이런 경우는 드뭅니다). 하물며 이 문제는 기득권과는 하등관계도 없는 문제입니다. 애초에 (특히 한국의) 진보는 예부터 사상적으로 포용적이었던 적이 없습니다. 언제 진보가 다른 포지션들을 설득해왔습니까? 타도 하고 투쟁해왔지. 9할 이상은 해외에서 수... 더 보기
상대방을 조롱하거나 계몽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은, 극단주의와 동의어가 아닙니다. 극단주의는 사상적 포지션이 양극에 있는 것이지만, 배타적인 설득의 애티튜드는 지극히 중도적인 포지션에서도 얼마든지 취할 수 있고, 역으로 극단주의자도 정중하고 관용적인 태도의 설득을 취할 수 있습니다(물론 이런 경우는 드뭅니다). 하물며 이 문제는 기득권과는 하등관계도 없는 문제입니다. 애초에 (특히 한국의) 진보는 예부터 사상적으로 포용적이었던 적이 없습니다. 언제 진보가 다른 포지션들을 설득해왔습니까? 타도 하고 투쟁해왔지. 9할 이상은 해외에서 수입한 '선진문물'을 교조적으로 계몽해왔고, 본질적으로 오만 했으며, 그 오만이 메이저리티를 획득하지 못했음에도 운동을 유지하게 한 곤조이지요. 그 외 진보의 가치가 약자에 대한 배려인지도 애매한 문제지만, 그게 맞다 한들 그와 사상적 포용성은 애초에 전혀 다른 핀트에 놓인 문제입니다. 본 상황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은 기껏해야 "유시민이 말을 좀 싸가지 없게 했네" 정도일 것이고, 그것은 유시민이든 진보이든 하등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지요. 본문은 침소봉대 한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군요.
5
침소봉대로 보실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제 관점에서 본 것이다보니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18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196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370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8 dolmusa 25/04/25 523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397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466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296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70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65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71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59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58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31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1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06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78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81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15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86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4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89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0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4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08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2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