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2/08/04 12:49:03
Name   cummings
File #1   1.jpg (819.2 KB), Download : 8
Link #1   https://mlbpark.donga.com/mp/b.php?m=search&p=1&b=bullpen&id=202208030072488634&select=sct&query=%EC%95%84%EC%82%B0&user=&site=naver.com&reply=&source=&pos=&sig=hgjcSYtg6hXRKfX2h4a9RY-Yghlq
Subject   아산병원사건 서울대 교수 실명글과 개인적인 견해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시스템은

지역응급의료기관 -> 지역응급의료센터 -> 권역응급의료센터 로 구분된 의료전달체계가 갖춰져있습니다.



서울을 기준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서북부 - 서울대병원
동북부 - 고대안암
서남부 - 고대구로, 이대목동
동남부 - 한양대

가 있고, 대학병원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병원에서 해결이 안되면 권역으로 전원을 보내게 됩니다.

아산병원은 권역이 아닌 지역응급의료센터이기에 응급수술이 항상 스탠바이 되어있어야하는 의무는 없고,
원내에서 해결 불가능한 응급상황에서라면 상급 병원(상기 기술된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하는게 정상적인 절차이기는 합니다.

사람들이 느끼는 아산병원의 규모 및 환자들의 기대와는 차이가 좀 있죠.
(대형 기업형 병원에서 돈 되는 암관련 정규 수술 스케쥴만으로도 꽉 차서 응급수술이 어렵다는건 알고있지만
그 큰 병원에서 머리 여는 개두술 할 수 있는 의사가 둘밖에 없다는건 저도 몰랐네요)



벌이나 처지가 많이 다르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지방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젊은이들의 상황과 별 다를바 없다고 봅니다.

지방 중소기업에서 인력난을 아무리 호소하고, 배 만드는 대우조선해양에서 일할 사람이 없다며 비명이 들려도
단순한 월급 뿐만 아니라 미래의 지속가능성, 지방살이, 야근, 교대근무 등을 포함한 QOL문제가 얽혀있으니
기존에 일하던 사람 외에, 신규로 내려가려고 하지 않는거죠.

근본적인 문제(대우조선해양의 적자, 현 문제에서는 생명을 다루는 의료과목의 적자)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아니, 적자가 해결되어 월급을 더 준다 하더라도 QOL 문제가 얽혀있기에 웬만해서는 내려가려고 하지 않을겁니다.


매년 출생아가 80만명씩 태어난다던지, 외국에서 노동자를 천만명쯤 데려온다면
젊은이들이 기피하는 지방 중소기업도 어느정도 채워지기는 하겠지만 그에따른 부작용이 만만치 않겠지요.

마찬가지로 의사 숫자도 아주 많이 늘어나면 일부는 생명을 다루는 과목으로 갈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누가 삐끗하면 소송걸리고 멱살잡히는 일 하고싶어할까요
다른 돈되고 편한분야로 가거나, 정 없으면 다른 일자릴 찾겠죠.
돈되고 편한 분야로 갈 수 있기에 의대 선호가 높은것도 있으니까요.

2010년 전후로 간호사 부족을 예상하고 간호대를 늘렸지만
간호사의 간호요양수가와 간호직 처우개선 없이는 병원에서 간호사 인력을 필요이상으로 채용하려고 하지도 않고,
간호사들도 휴직이나 이직하러 떠나버리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의사 숫자를 늘리면 다 해결될거라는 희망을 품고 있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80~90년대에 의대가 늘어나고 의대생 숫자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흉부외과를 전공하는 사람은 꾸준히 감소하고있습니다.
<멸종단계 접어든 흉부외과…더 문제는 '빈익빈 부익부'>
https://m.medicaltimes.com/News/NewsView.html?ID=1136249



또한 일할 인력만 늘어났다고 해서 지방소멸과 수도권집중화 상황을 거스르고 지방 중소기업이 2배씩 늘어날까요?

마찬가지로 근본적인 의료 제도의 개선이 없이, 환자를 볼때마다 적자가 나는 상황이라면,
적자가 아니더라도 응급의료센터 확충할 비용과 공간에 암센터를 여는게 더 돈이 된다면?
의사가 많아지고 의사 월급 감소로 인해 병원 자금이 여유가 생긴다 하더라도 병원에서 응급의료센터를 확장하거나, 다른병원들이 응급의료센터를 추가로 만들지 않을것 같습니다.

나라의 지원을 받는 공공병원조차
늘어나기는 커녕 점점 제기능을 못하고 줄어드는건 말할 필요도 없구요.

돈 되지 않는 사업에 투자할 사람은 없고,
노동자도 미래가 뻔히 보이는, 고생은 고생대로 하지만 일자리는 없는 일을 배우는데 있어 노력할 이유가 없지요.



개인적으로는 답이 없는 문제라고 봅니다.
만명중 한명을 위해서 만명이 조금씩 희생하라고 하면, 일부는 희생이 가능하겠지요.
하지만 대부분은 희생(감기등의 가벼운 증상에서 본인부담률 증가 혹은 의료보험 대폭 인상)을 싫어할 겁니다.

그나마 의료보험 재정이 여유가 있을때 이러한 생명을 다루는 과들의 수가 문제가 해결되었으면 했지만,
현실은 다수의 행복과 만족을 위한 초음파,MRI급여에 사용되었고

생명을 다루는 과에 대한 지출을 늘리기보다는
오히려 전체 의료비 지출을 통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있죠.


앞으로도 정치권에서 본인의 표가 떨어질 이러한 문제에 발 담글 사람은 없을것 같은데...
(반대로 의사 늘리는건 의대가 유치될 지역의 적극적 지지를 받을테니 정치인들이 선호하는 방향이죠.)
이러한 사고가 터질때마다 조금씩조금씩은 고쳐지긴할테니 사고를 많이 겪으면 미래엔 조금 달라지려나? 모르겠네요.


전형적인 의사의 입장에서 쓴 글이고, 지방중소기업과 흉부외과같은 의사의 벌이와 노동조건에서 차이가 있기에 두직업을 비교함에 있어 불편한 부분들도 있으셨을텐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2-08-15 17:3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3
  • 씁쓸합니다..


Jaceyoung
남의 목숨 따위에 돈을 쓰고 싶지 않은 욕망과 내 가족이 위험할 때 어떻게든 살려줬으면 하는 욕망을 둘 다 채우려고 하는게 근본적인 문제죠.
10
분서대 교수가 쓴 글에도 있지만 몇 가지 응급의료는 질환에 특성에 따른 아이러니도 있습니다. 뇌혈관 수술이나 중증 외상의 경우 필요로하는 의료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 이상의 환자가 필요합니다. 담당 환자가 너무 많아지면 힘들지만 거꾸로 담당 환자가 너무 적을 경우 나와 우리팀의 수준이 저하되는 것이죠. 어쩔 수 없이 몇 가지 중증응급질환들은 몇 개의 전문 권역센터로 모아서 볼 수 밖에 없습니다.
16
명상의시간
그렇다고 저 공룡같은 아산병원에서 저런 응급 질환까지 볼 수 있도록 지원을 해 주었다가는 (물론 볼 생각도 없겠지만)
해당 지역 '권역응급의료기관' 에서 가만히 있지 않을 것입니다. 서로에게 맡겨진 분야가 있는것이죠.
3
이건 좀 이야기가 다릅니다
권역센터는 (병원을 키우고 싶어 하는 소수의 병원장/이사장들을 제외하면) 다들 하고 싶지 않아 해요
근데 권역센터 아닌 곳에서 권역의 의무를 나눠 지어 준다면 권역 입장에서는 대환영이지요 - 제가 장담하는데 가만 있을 겁니다
잘 아시겠지만 응급 질환 중에 돈 되는 분야가 몇 개 없읍니다
2
명상의시간
앗 그렇군요. 해주는것도 별로 없으면서 의무만 더 많은가보군요.-_-
Mariage Frères
옛날에 인프라 없을 때는 예산을 크게 책정해서 인프라를 확충해줄테니 해보지 않겠니? 하는 느낌이지만 지금은 인프라 되는 병원 중에 이름값 올리고 푼돈 벌고 싶은 곳 어디 없니? 하는 느낌의 예산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예전의 1/10~1/20 정도의 예산?
1
명상의시간
그렇군요. 10년 전쯤 권역센터 만들면서 홍보하던때을 생각했는데 그게 아닌가보네요 @_@
Mariage Frères
그때도 사실 만들고 나서 ㅇㄱㅈ 교수가 뉴스룸 나와서 볼멘소리로 돈을 주면 뭐하냐 병원이 갖다 딴데 쓴다는 뉘앙스로 얘기 ( 그런 뜻이냐고 물어보면 아니 꼭 그런 뜻은 아니라고 발뺌하긴 했지만…) 하긴 했습니다 ㅋㅋ
어차피 더 많은 돈이 필요한 건데 가타부타 말고 정확한 금액을 요구 했으면 좋겠어요. 어제 피지알에 관련 글 읽다가 의사로 추정되는 댓글들 보다가 짜증나서 얼마 필요하냐고 물으니까 한 분이 연 2.5억 정도에 주 40시간 정도 부르시던데 그 정도면 반대 할 필요도 없고 오히려 지지 해 주겠는데 일베충 협회장 뽑은 집단에서 문재인이랑 민주당 까는 것 보고 있으면 베알 꼴려서라도 극렬 반대하고 싶어져요.
4
협회장이 일베충이었나요..?
애초에 최대집이 뽑힌 이유가 문재인케어 반대에서 가장 강경했기 때문인데요. 문재인캐어로 선빵 쳐놓고선 문재인 반대한다고 배알 꼴린다는건 어이없네요
1
원금복구제발ㅠㅠ
그건 최대집이 썩 신사적이지 못한걸 넘어서서 그 이상의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죠.
행동이 꼴같잖으면 아무리 주장하는바가 좋아도 지지받지 못한다는건 어쩔수 없다고 이해해야…
먼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안타깝고 언젠가 더 크게 터지겠죠 애초에 인구구조상 건강보험이 이대로 유지도 안되는데
1
어차피 제 값 안주면 되는게 없는게 자본주의고, 내가 제 값을 안 내고 무언갈 이용한다면 누군가가 나머지를 채워넣어주고 있거나 같은 가격에 크기가 작아지고 있는 아이스크림처럼 그 값에 맞는 퀄리티 하락이 조용히 진행될 뿐이죠

내가 제 값을 안 주고 이용하는 게(혹은 이용하는 걸로 느껴지는 게) 최고로 기분이 좋고 중요하다는 것이 여론이면 그냥 이렇게 계속 곪는 수밖에 없지 않나 싶어요
2
모두에게 안타까운 일입니다. 응급 의료체계가 하루 빨리 갖추어 졌으면 좋겠네요
1
괄도네넴띤
이런 과들은 돈이 안 돼서 병원에서 뽑질 않으려 하니 설령 좋지 않은 조건을 감수하고 일할 자리도 마땅찮은 실정이죠.
결국 예산과 비용을 따지면 한 사람의 목숨값이 얼마인가를 정하는 문제이니 어렵읍니다.
여러분이라면 사람을 살리는데 얼마가 든다면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억? 10억?
5
20억짜리 졸겐스마의 보험급여화가 걱정의 눈초리 이상으로 비난받지 않는걸로 봐서는
일단 환자 한명당 20억까진 사회적 합의가 되어있는것 같기는 합니다만...
이번 서울아산 건에서 문제가 된 뇌출혈의 경우 이런 질환들을 보라고 지원해준 기관 중에 권역응급의료센터 이외에도 권역심뇌혈관센터도 있읍니다 (짤에 나온 분당서울대가 경기권역심뇌혈관센터일 겁니다)
근데 응급과 달리 심뇌센터는 서울에 하나도 지정되지 있지 않읍니다. 애초에 정책 취지가 서울 이외의 지역을 타겟으로 했거든요. 그러니까 서울은 대형병원 넘치니까 저런 문제가 없으리라 판단한 것이지요.
하지만 한국의 응급의료에서 21세기에도 항상 문제가 되는 것은 야간과 휴일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정보가 맞다면, 무슨 깡촌이 아닌 대한민국의 어나더 레벨이라는 서울아산조차도 업무시간 외의 상황은 대처를 못하는 것인가 싶네요
4
은색의잔영
쓰신 글에 답이 있지 않나요....
'업무시간 외'
뇌혈관외과의사 달랑 두명이라는데 24시간 365일 커버는 당연히 불가능한데요...
2
원금복구제발ㅠㅠ
지금의 의료현실은 그냥 사회적 결론이 서로에게 내려진 상황이라고 보면 이해가 됩니다.
의료계 분들만 안타까움에 말씀하시지만, 그냥 지금 정도가 우리에겐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 서민들에게 보편적인(?) 수준으로는 어느정도 잘 치료받을 수 있음.
- 대신 일정 이상 수준의 복잡도가 있는 문제는 해결 불가. 그냥 죽거나 불구가 되는것까지 합의.
- 돈 많은사람들은 해외 의료선진국에 가서 알아서 진료받을 수 있음.
- 그러나 급박한 케이스에서는 자본, 인맥, 운적인 요소로 한국에서도 치료시도해볼수는 있음.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652 51
1447 기타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784 25
1446 기타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926 24
1445 기타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5 골든햄스 25/03/06 908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836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960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1946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250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192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738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991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1 덜커덩 25/02/05 1367 22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075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097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249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978 5
1432 일상/생각저에게는 원칙이 있습니다. 13 whenyouinRome... 25/01/19 1837 49
1431 일상/생각집사 7년차에 써보는 고양이 키우기 전 고려할 점 13 Velma Kelly 25/01/18 1221 20
1430 일상/생각입시에 대해 과외하면서 느꼈던 것들, 최근 입시에 대한 생각 12 Daniel Plainview 25/01/17 1817 16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341 34
1428 꿀팁/강좌전자렌지로 탕후루 만들기 레시피 수퍼스플랫 25/01/11 1053 7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1139 14
1426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5 T.Robin 25/01/05 1280 8
1425 음악2024 걸그룹 6/6 6 헬리제의우울 25/01/01 1159 26
1424 정치/사회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2차 변론준비기일 방청기 8 시테 25/01/03 1478 2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