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4/19 01:54:14
Name   절름발이이리
File #1   s.PNG (130.1 KB), Download : 27
Link #1   https://www.economist.com/graphic-detail/global-house-prices
Subject   Global house prices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의 housing price 의 추이입니다.
실제 가격은 물론 income 대비, rent 대비 가격도 비교할 수 있습니다.
OECD 자료로 2018까지는 알고 있었는데 2019, 2020이 궁금했는데 뭐 역시나입니다.
아마 일반적인 상식과는 꽤 다른 결과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9
  • 좋은 자료입니다


샨르우르파
한국 집값 많이 안올랐다고 말하면 서울(혹은 수도권), 아파트만 따지면 다르다고 하는데...

집값변동을 인기지역, 인기 주거 형태에 한정해서 비교하면 국가별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타국은 한국보다 지역과 주거 형태에 따른 집값 상승률 편차가 작을 것 같긴 한데, 그래도 엄청난 변화가 있을 것 같진 않네요.
1
절름발이이리
뭐 대도시만 따지면 서울이 최근 몇년은 가장 많이 오른 축이긴 할 겁니다.
샨르우르파

찾아보니 타국 대도시보다 많이 오른건 또 아니네요.
절름발이이리
05부터 보면 (국내에서의 시각과는 달리) 08까지의 버블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편이라 특별함이 떨어지고
17년부터가 핫한 편입니다. 사실 17~19 정도만 보면 그렇게 또 대단한건 아닌데, 코로나 시기에 경제타격이 가장 적었던 수혜(?)를 20년에 본 덕분에..
1
매뉴물있뉴
이게 맞는 말이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뭐 어쩌겠습니까,
여당과 정부가 더 잘했어야 한다는 질책밖에는
돌아 오지 않을겁니다... 에혀
맥주만땅
소득주도 성장이라는 뜻?
마르코폴로
통화량주도성장 크크
3
2020하반기 토론토 집값 상승 이슈를 찾아보면 지금 이게 한국만의 이슈가 아님을 짐작할수 있습니다.
실물경제의 패러다임 붕괴, 크립토커런시로 인한 화폐가치의 상대적하락, 판데믹으로 인한 부동산 투자 유행이 묶여 집값 평균이 9개월만에 10억원 정도 올랐습니다. 현재 평균 거래액의 7할은 15억 이상입니다. 모지기 금리는 역대최고를 찍었으나 절망은 청년층만의 몫이란 소리가 계속 나옵니다.
제가 아는 나라중 부동산이 비정상적으로 안오른 나라는 미국 일본밖에 없습니다. 뚜렷한 대책이 있는 나라는 한 군데도 없고, 대부분 밀레니얼 부머의 세대격차와 같은 재미없는 담론만 분노 방출구로 쓰여지고 있어요.
주위를 둘러보면 아이러니하게도 원인은 전부 다르나 결과가 다 비슷합니다.
8
꿀래디에이터
제가 토론토 부동산은 전혀 몰라서 그런데
9개월 만에 10억 오른 집 팔면 세금은 어느정도 내야되나요?
글쎄요... 저도 그 나라 양도세 이슈까진 잘 모릅니다.
인컴이 그만큼 많이 올랐군요.
생각해보면 제가 처음 일을 시작하던 시기보다 직장인 평균 연봉이 훨씬 많이 올랐습니다.

연봉 빼고 다 오른다는 농담이 있긴 했지만, 실제로 연봉의 상승폭은 물가 상승률을 아득히 넘을 정도로 높았지 싶어요.
1
샨르우르파
양극화까지 더해져서 대기업 고소득층 소득상승률은 더 높았죠. 디테일은 시기별로 차이가 있지만 지난 20여년 전반은 그랬습니다.

그렇게 소득이 많아진 사람들이 서울 아파트라는 고급주택가격 상승에 부분적으로 기여했습니다.
1
이 자료를 보니 여유가 되면 가능한 빨리 집을 사는게 맞겠다 싶기도 하네요.
1
좋은 자료네요..제가 예전부터 그렇게(?).. 한국의 집값 상승 속도는 상대적 비교로 보면 별로 과열도 아니고 정상적인 수준이며, 오를 타이밍과 거시적 경제환경이 되어서 자연스럽게 오른거다고 얘기해도, 좌파정부만 들어서면 집이 오른다는 단순한 샘플수 2개 기반의 통계예측 및 결론 등을 믿는 사람들이 여전히 대부분입니다.
뭐.. 집을 사지 않은 사람들 입장에서, 집값이 올라서 상대적으로 벌어져 버린 격차를 누군가의 탓으로 돌리고 싶은 맘이야 충분히 이해하고, 저도 예전에 무지했을땐 그런 생각도 했지만... 요즘엔 노력하면, 올바른... 더 보기
좋은 자료네요..제가 예전부터 그렇게(?).. 한국의 집값 상승 속도는 상대적 비교로 보면 별로 과열도 아니고 정상적인 수준이며, 오를 타이밍과 거시적 경제환경이 되어서 자연스럽게 오른거다고 얘기해도, 좌파정부만 들어서면 집이 오른다는 단순한 샘플수 2개 기반의 통계예측 및 결론 등을 믿는 사람들이 여전히 대부분입니다.
뭐.. 집을 사지 않은 사람들 입장에서, 집값이 올라서 상대적으로 벌어져 버린 격차를 누군가의 탓으로 돌리고 싶은 맘이야 충분히 이해하고, 저도 예전에 무지했을땐 그런 생각도 했지만... 요즘엔 노력하면, 올바른 판단을 할수 있는 정보를 충분히 찾을수가 있지요.. 물론 영어, 검색능력, 약간의 지적사고력 등이 필요하긴 하지만요..
그래도 요즘엔, 주식투자 및 경기분석 정보가 널리 퍼져서, 경제 성장에 대해서 정부정책과 연결하여 헛다리 짚는 사람들은 조금 줄어들었는데, 주택가격에 대한 분석은 여준히 중개업소 수준의 소문들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은듯 합니다.
4
재택근무가 가능해지면 집값이 좀더 분산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면 문화시설, 편의시설에 좀 덜 구애받는 분들이 한적한 주택에서 지낼 수도 있을 텐데요..
절름발이이리
제 의견은 가능성은 있으나 한계가 있다 정도입니다.
Dr.Pepper
우리나라 집값에는 직주근접도 큰 요소이긴하지만, 그보다 더 큰 요소는 '교육'인지라..
Eddard Stark
글로벌한 추세와는 다르게 상승을 억제하고 있었던 고유한 기능 등을 파괴한 결과가 지금 집값의 상승이죠.
가격 자체는 오를만 해서 올랐다고 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해서 발생한 격차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대체적으로
부정적이라서 적절하게 잘 관리 해서 완만한 상승으로 잡았어야 했다고 봅니다.
절름발이이리
저는 반대로 생각합니다. 가격은 오를만 해서 올랐고 어떻게 해도 완만한 상승으로는 못 잡았을 가능성이 높으나, 되도 않는 걸 하겠답시고 시장의 기능만 파괴했으며 정치적 동력을 낭비했다고.
2
우연한봄
연봉 1억이라 해도 30평 아파트 12억 15억 사려면 굶어도 15년.
이런 상황과 달리 많이 저평가 되어있다는 oecd통계도 그 만의 보여주는 의미가 분명 있을것인데.
어떻게 산출되고 타국과 비교되 통계인지를 이해야 좀더 감을 잡을것 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755 7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222 5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1)]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김비버 25/04/06 346 3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254 2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7 명동의밤 25/04/05 797 9
15360 일상/생각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798 33
15359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4) 5 노바로마 25/04/04 782 4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2516 11
15356 정치[불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선고 146 T.Robin 25/04/04 5069 8
15355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565 16
15354 일상/생각이상적인/사악한 아름다운 한국 사회 11 골든햄스 25/04/02 930 9
15352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2. 캐릭터 설정은 어떻게 했나 15 토비 25/04/02 587 21
15351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459 43
15350 오프모임4월 5일 5시 학동역 세종한우 갑시다. 20 송파사랑 25/04/01 990 6
15349 정치젊은 공화국의 미망 - 12·3 계엄과 장기 내란 3 meson 25/04/01 747 7
15348 경제[개업인사] 법률사무소 간성 김태웅 변호사 개업인사 135 김비버 25/03/31 1895 102
15347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 - 5시간 짧은 후기 4 kaestro 25/03/31 412 2
15346 사회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405 5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714 4
15344 경제[의료법인 회생절차 가이드(1)] 요양급여 및 본인부담금 채권 압류해제 어떻게 해야할까? 1 김비버 25/03/28 395 2
15343 정치(혐오주의) 생성형 AI는 예상보다 빠르게 극단주의를 퍼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12 명동의밤 25/03/27 1651 9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55 명동의밤 25/03/26 2255 12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 25/03/26 529 5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9 kien 25/03/25 1214 0
15339 일상/생각알중고백 7 당근매니아 25/03/25 794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