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0/04 00:30:10
Name   눈부심
Subject   벌은 무서워야 한다..
썰을 풀기 전에.. 제가 철학과 윤리에 무지한 사람이라 읽으시는 분들이 읭? 하실 수 있어요..의식의 흐름기법도 주의요망합니다..

기사 하나 : http://www.huffingtonpost.kr/2015/09/08/story_n_8101088.html

영국의 데이비드 카메론 총리는 최근 시리아 극단이슬람단체인 ISIS에 가담한 자국민 두 명을 드론을 띄워 사살했죠. 우리나라엔 김군이라는 18세 청년이 터키를 통해 시리아 이슬람단체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우리나라 정부가 드론 공격으로 김군을 살해한다면 여론이 어떤 반응일까 생각을 해봤어요.

제가 서양의 철학이나 도덕기조에 대해 아는 바는 많이 없으나 이들은 상당히 결과론적 윤리주의(consequentialism)에 자주 입각해서 판단하는 것 같아요. 의도가 어떻든 어떤 행동이 낳는 결과를 보고 벌을 결정하는 윤리사상이에요. 이의 반대는 의무론적 윤리주의로 행동의 결과보다는 동기에 더욱 큰 가치를 두는 편이에요. 도덕법칙이 더 중요하게 생각되는 윤리의식이에요. 결과론적 윤리주의는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안녕을 누리는 것이 궁극목표인데 경우에 따라 상당히 기계적이고 가차없어 보일 수가 있어요.

'영국이 ISIS에 가담한 자국민을 시리아 상공에서 드론으로 사살했다'라고 하면 '그런가...' 싶죠. '한국정부가 ISIS에 가담한 김군을 시리아 상공에서 드론으로 사살했다'라고 하면 감성적으로 확연히 차이가 나요. 영국의 이야기는 '그런가'하고 별 마음의 반향없이 자국민에 해가 되는 이를 살해했다고 하는, 전형적인 결과주의적 윤리의식을 자연스럽게 적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김군을 사살했다'라고 하면 그 어미의 심정을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고 '아이가 거기 간 걸 후회했다더라'라며 동정심을 보이는 사람들도 있을 거예요. 사실 그 외에도 한국은 영국보다 이슬람테러에 덜 노출되어 있어서 김군의 ISIS가담은 공포라기보다 거의 별종같이 느껴지는 엉뚱함이 있기도 해요. 젊은이의 철없는 치기라고 보는 분들도 계실 거예요. 그래서 한국정부가 영국처럼 타국의 영토에 무인 공격기를 보내 굳이 자국민을 살해하지는 않을 거예요.

그런데 그런 비교를 해 본 이유는 그런 상상과 줄줄이 엮일 만한 작은 단상들이 떠올라서였어요. 세월호의 문제는 '악의 평범성'에 있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어요. 국가해상경찰인 해경이 국민의 생명을 구조하는 절대절명의 위기 앞에서 하청업체 언딘의 사익을 위해 구조에 방만하게 임한 사건으로 대충 이해하고 있는데.. 저는 이럴 수 있다는 것이 너무너무너무 신기하고 아직도 얼척이 없어요. 그렇다고 해경이 다 악이고 언딘이 다 사탄들이냐면 그렇지 않을 거예요. 다들 우리네 이웃이고 한 가정의 가장들일 테고 여기 저기 썩지 않은 구석이 없으니 다들 좋은 게 좋은거다 하는 걸 거예요. 국정원이 관련되어 있을 수도 있을 거예요. 사실이든 아니든 충분히 의심할 수는 있다고 생각해요. 근데 국정원은 그동안 지극히도 치떨리게 머저리짓을 많이 해서 별로 놀랍지 않은 관계로 '악의 평범성'보다 '조직적인 머저리사기집단'으로 분류하는 걸로.. 세월호 관련자들을 처벌, 경질, 문책하면 아마 레이다망에 안 걸리는 사람이 신기할 정도가 아닌가 싶기도 해요.

그리고 또 떠오른 것이 새정연의 혁신안과 관련된 '온정주의'였어요. 온정주의는 결과적 윤리주의에 반하죠. 온정주의는 공사구분보다 학벌, 지연주의와 더 친해요. 혁신안을 두고 새정연대표 문재인의 온정주의와 안철수의 혁신안실패비난이 대립한다는 논조의 기사를 읽었어요. 불우한 이웃을 돕는 우리네 나눔을 의미하기도 하는 '온정'이란 말이 있기도 한데 딸 취업청탁으로 문제가 된 새정연의 윤후중의원을 경질에서 제외한 야당대표를 두고 온정주의라고 버젓이 쓰인다는 것이 조금 신기했어요. 이건 비꼼의 표현인 것 같은데 비꼼이라기 보다 새정연당대표의 사람 좋기만 한 어떤 주의로 쓰인 것 같았어요.

벌은 무서워야 해요. 그리고 어쩔 수 없어야 해요. 통쾌하기도 하지만 원리원칙에 충실한다는 의미에서 침통하고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이기도 해야 해요. 국가조직의 부패때문에 특정인들에게 법이 무서울 것이 없는 우리나라가 주는 낭패감도 크지만 너도 나도 잘못한 상황에서 '우리 엄마아빠만은 안 돼요' '내 자식만은 안 된다'에 공감하며 도닥도닥할 것이 아니라 때로는 어쩔 수 없고 가차없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단 생각을 해봤어요.

이번에 총탄을 가지고 달아났던 남자에 대해서 사살을 무릅쓰고 신속히 잡아야한다는 것이 제가 했던 생각이었어요. 큰 소란없이 잡아들였다니 다행입니다. 그냥 이런 저런 생각이 들어서요..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98 철학/종교탐구하지 말아야 할 지식 17 녹차김밥 19/01/25 5551 1
    9558 기타홍콩의 안전을 기원하며 3 녹차김밥 19/08/18 4603 13
    9915 일상/생각82년생 녹차김밥 : 빠른 년생에 관하여 14 녹차김밥 19/10/29 5827 10
    9952 여행이탈리아(로마/아시시/피렌체) 여행 팁. 7 녹차김밥 19/11/07 5803 11
    10258 사회"중국은 바뀔 수 있다" 4 녹차김밥 20/02/03 5984 3
    10586 정치먼지털기 3 녹차김밥 20/05/14 4226 13
    11440 일상/생각30평대 아파트 셀프 인테리어 후기 22 녹차김밥 21/02/22 5364 29
    11991 사회유치한 황교익씨 이야기 10 녹차김밥 21/08/19 4489 9
    12061 일상/생각CGV에 진상짓을 했던 썰(?) 5 녹차김밥 21/09/09 4489 6
    4577 요리/음식안주로도 반찬으로도 괜찮은 양송이 버섯 구이 21 녹풍 17/01/09 12903 3
    4718 요리/음식새우 소금구이 — 손쉽고 저렴한 대박 안주 16 녹풍 17/01/28 7014 8
    4738 IT/컴퓨터유료 DNS 서비스 사용시 장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8 녹풍 17/02/01 6822 0
    4933 일상/생각[집수리기] 샤워기 호스 교체 — 인류를 구원한 화장실과 친해지기 17 녹풍 17/02/19 7709 6
    5160 요리/음식이런 날은 삼겹살 13 녹풍 17/03/12 4777 5
    5346 일상/생각나와 커피의 이야기 12 녹풍 17/04/02 3727 0
    5382 요리/음식딸기를 갈아먹자 16 녹풍 17/04/06 5557 5
    10418 IT/컴퓨터사무용 컴퓨터 견적입니다. (AMD 견적 추가) 15 녹풍 20/03/23 4928 0
    7834 음악고전명곡)Say yes-활(김명기) 놀보 18/07/12 3764 0
    7827 음악(어디서 많이 들어본 노래)챠우챠우-델리스파이스 6 놀보 18/07/11 3592 1
    7821 음악Beauty And A Beat-Alex Goot and Chrissy Costanza 1 놀보 18/07/10 3198 0
    7799 음악고전)러브홀릭-화분 2 놀보 18/07/06 4016 1
    7841 음악소름돋는 일반인 라이브 3종세트 1 놀보 18/07/13 3593 0
    7856 음악들으면 2002월드컵 생각나는 명곡 팝송 2 놀보 18/07/16 3570 3
    7870 음악클럽가면 틀어줄거같은 노래 놀보 18/07/17 3760 0
    7878 음악고전명곡)김경호-나를 슬프게하는 사람들 2 놀보 18/07/18 354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