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4/24 13:52:43 |
Name | 눈부심 |
Subject | 서로의 연봉을 다 아는 나라 |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에서는 "모든" 사람들의 납세내역이 공개되어 있다고 합니다. 전 이번에 처음 알았어요. 물론, 얼마만큼의 자세한 내역까지 공개하느냐, 정보를 요구할 때 남의 납세내역을 알고자 하는 이유가 어때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은 다르다고 해요. 그치만 기본적으로 '내가 얼마를 버느냐'는 공공지식처럼 공유된다고 해요. 영상에는 노르웨이가 나오네요.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 경제학자인 리카드도 페레즈-트루글리아(?)의 노르웨이 전납세자의 납세공개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요소를 담고 있어요. 하나는 노르웨이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 년에 두 번 실행한 행복도 조사이고, 다른 하나는 납세내역을 공개하는 것에 대한 대중의 생각이에요. 참고로 노르웨이는 남의 수입을 온라인으로 볼 수 있는 대신 누가 내 수입내역을 들여다봤는지도 공개가 된대요. 그리고 납세자만 접근이 가능해요. 노르웨이에서 수입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 대중은 그닥 달가워하지 않는데다 수입공개 때문에 행복도가 더 벌어지게 된대요. 사촌보다 더 버는 걸 알고 신이나거나 덜 버는 걸 알고 기분이 상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요. 그치만 납세내역공개로 사회는 더 공정하게 된다고 하는군요.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지 않지만 이런 정책이 탈세를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구글에서 어떤 사원이 동료들에게 직함과 연봉을 공유하는 파일을 돌렸다가 화재가 된 적이 있대요. 회사가 불편함을 표시해서(공유는 가능하지만 사원의 온라인사이트가 안정성이 없다며 핑계) 그 파일을 내렸다고 하는데 실은 연방법률에 의하면 연봉공유가 불법이 아니라고 하네요. 오히려 기업이 사원들 사이의 연봉공유를 억압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대요. 전 연봉공유하는 것이 불법인 줄 알았어요. 아니구나~. ( http://fusion.net/story/174299/salary-sharing-at-google/ ) 미국에선 서로의 연봉을 모르고 공개를 굉장히 꺼리거든요. 회사가 싫어해서요. 그런데 노르웨이에선 납세내역이 몽땅 공개되니 회사원들끼리 얼마 버는지 다 알겠네요.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들은 정말 딴 세계에 사는 것 같아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말씀듣고 보니 좀 우려가 되기도 하는데 그러다가도 가끔 사회학자료라는 게 오히려 사람들의 편견을 가중시키는 것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어요. 보통 저소득층 흑인들에 대해서 기름진 음식에 인스턴트푸드나 싸구려 가공식품을 소비하며 스스로 건강을 해치는 현명하지 못한 계층이라는 편견을 갖기 쉬운데 그게 사회학연구로 입증되기도 했어요. 반면, 오히려 저소득층들이 돈이 없기 때문에 더 알뜰하게 소비하지 햄버거만 줄창 사먹거나 그러진 않는다는 연구도 봤거든요. 정말 아껴서 먹으려면 양파, 감자 야채 잔뜩 쟁여놓고 고기 조금 넣고 스튜를 왕창 끓여... 더 보기
말씀듣고 보니 좀 우려가 되기도 하는데 그러다가도 가끔 사회학자료라는 게 오히려 사람들의 편견을 가중시키는 것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어요. 보통 저소득층 흑인들에 대해서 기름진 음식에 인스턴트푸드나 싸구려 가공식품을 소비하며 스스로 건강을 해치는 현명하지 못한 계층이라는 편견을 갖기 쉬운데 그게 사회학연구로 입증되기도 했어요. 반면, 오히려 저소득층들이 돈이 없기 때문에 더 알뜰하게 소비하지 햄버거만 줄창 사먹거나 그러진 않는다는 연구도 봤거든요. 정말 아껴서 먹으려면 양파, 감자 야채 잔뜩 쟁여놓고 고기 조금 넣고 스튜를 왕창 끓여먹으면 가공식품 사먹는 것보다 저렴해요. 상반되는 기사를 보고나서 인간의 연구란 상당히 불완전할 수 있겠다란 생각도 들고 쉽게 혹해선 안되겠다 싶더라고요. 저소득층이 비만이 많긴 한데 미국음식이 전체적으로 비만되기 딱 좋은 음식이 여기 저기 널렸어요. 아마 돈들여 헬스장 회원권을 끊고 어쩌고 하는 비용을 저소득층은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가 싶기도 하고 참 모르겠더라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