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4/21 12:34:39 |
Name | 눈부심 |
Subject | 2030년 경엔 흑인여성이 미국지폐에.. |
미재무성은 10달러와 20달러짜리 지폐의 이미지를 바꿀 예정입니다. 현재 20달러짜리에는 노예를 거느리고 살았던 미국의 7대 대통령 앤드류 잭슨(1767~1845)의 인물화가 있는데요. 지폐 앞면의 앤드류 잭슨을 없애고 노예해방운동가였던 해리엇 텁먼(?~1913, 여성)의 인물화를 전면에 내세울 예정입니다. 대신 뒷면에는 앤드류를 남겨둔다고 하네요. 노예해방이 된 지 오래도 됐건만 흑인여성, 그것도 노예해방운동가가 가장 흔하게 쓰는 지폐들 중에서는 가장 가치도 높은 20달러짜리에 등장한다니 반갑기도 하지만 정말 놀라워요. 함정은 2030년에나 발행된다는. 좀 빨리 해 주지, 세상 다 변하고 나서 드디어 등장. ![]() 현재 10달러 지폐에는 미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인 알렉산더 해밀턴의 사진이 있어요. 10달러 지폐의 새이미지 이야기가 오갈 때 해밀턴의 이미지를 유지하려는 움직임과 여성참정권운동가들로 바꾸려는 여성연대의 움직임이 작동하고 있었죠. 결국 한 면에는 해밀턴을 두고 다른 면에는 한 그룹의 여성참정권운동가들의 이미지를 모아놓는 것으로 잠정결론을 내렸는데 최종결정은 내년에야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이 지폐는 여성참정권을 보장한 미국 제 19번째 헌법개정이 100년째를 맞이하는 2020년에야 발행될 것이라고 합니다. ![]() 미처 생각지 못한 부분인데 현재 미국지폐에는 여성이 한 명도 없네요. 우리나라엔 벌~써 생겼는데. 미국엔 그나마 5년 더 있어야 지폐 하나에 조그맣게 떼지어서 나오고(;;) 15년 뒤에 독사진이 하나 나오네요 ㅎ. 여성연대가 그걸 언제 다 기다리냐고 불만이 많군요. 우리나라에서 새로운 지폐디자인 발표하면서 2030년부터 발행, 이랬다면 누구 놀리냐고 욕 엄청 들었을 것 같아요 ㅎ. 관공서업무의 굼뜸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미국. http://digg.com/2016/20-bill-tubman-explainer-jackson-hamilton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앤드류 잭슨은 대통령이 되기 이전에 1812년 전쟁에서 뛰어난 전공을 기록한 장군이여서 인기가 많았고, 그 인기를 토대로 대통령까지 한 인물인데, 사실 대통령으로서는 빵점에 가까운 사람이였다고하죠. 노예 소유 문제야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로 꼽히는 사람들은 거의다 피해갈수 없는 문제이지만, 애초에 대통령으로서의 행보가 굉장히 실망스럽고 오히려 임기중에 체로키등 미주 원주민들을 강제 이주시키면서 제노사이드의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라서 예전부터 문제가있는 인물 선정이라고 말이 많았었죠.
헤리엇 텁맨 같은 경우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흑인... 더 보기
헤리엇 텁맨 같은 경우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흑인... 더 보기
앤드류 잭슨은 대통령이 되기 이전에 1812년 전쟁에서 뛰어난 전공을 기록한 장군이여서 인기가 많았고, 그 인기를 토대로 대통령까지 한 인물인데, 사실 대통령으로서는 빵점에 가까운 사람이였다고하죠. 노예 소유 문제야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로 꼽히는 사람들은 거의다 피해갈수 없는 문제이지만, 애초에 대통령으로서의 행보가 굉장히 실망스럽고 오히려 임기중에 체로키등 미주 원주민들을 강제 이주시키면서 제노사이드의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라서 예전부터 문제가있는 인물 선정이라고 말이 많았었죠.
헤리엇 텁맨 같은 경우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흑인 인권 운동가인 킹과는 시대가 전혀 다르죠. 아마도 더 선대의 인물이고, 여성이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주어지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20세기, 노예해방 이후에 여전히 차별받던 미국 흑인들의 인권운동의 얼굴이자 선두주자이셧던 분이고, 헤리엇 텁먼은 19세기에 미국 남북전쟁이랑 노예해방이 되던 그 시기에 활동하셧던 분이죠. Underground Railroad라고 노예제도를 유지하려던 남부에서 노예제도가 폐지된 북부로 노예들을 밀항?하는 시스템에서 큰역할을 하셧던 분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태어나기를 노예로 태어나셧기에 정확한 생년월일이 알려져있지 않은것 같구요...
헤리엇 텁맨 같은 경우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흑인 인권 운동가인 킹과는 시대가 전혀 다르죠. 아마도 더 선대의 인물이고, 여성이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주어지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20세기, 노예해방 이후에 여전히 차별받던 미국 흑인들의 인권운동의 얼굴이자 선두주자이셧던 분이고, 헤리엇 텁먼은 19세기에 미국 남북전쟁이랑 노예해방이 되던 그 시기에 활동하셧던 분이죠. Underground Railroad라고 노예제도를 유지하려던 남부에서 노예제도가 폐지된 북부로 노예들을 밀항?하는 시스템에서 큰역할을 하셧던 분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태어나기를 노예로 태어나셧기에 정확한 생년월일이 알려져있지 않은것 같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