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오늘 유툽영상을 유심히 봤는데 https://www.youtube.com/channel/UCpnetwDnXC5eFlQhjmbv12g/videos
국민의당이 소통의 장을 꽤 신경써서 마련하고 있단 생각을 했어요. 홈페이지에 자유게시판은 없지만 안철수 자신이 2주에 한 번 꼴로 유툽영상을 올리고 있는 듯하고 (
국민의당이 소통의 장을 꽤 신경써서 마련하고 있단 생각을 했어요. 홈페이지에 자유게시판은 없지만 안철수 자신이 2주에 한 번 꼴로 유툽영상을 올리고 있는 듯하고 (
... 더 보기
오늘 유툽영상을 유심히 봤는데 https://www.youtube.com/channel/UCpnetwDnXC5eFlQhjmbv12g/videos
국민의당이 소통의 장을 꽤 신경써서 마련하고 있단 생각을 했어요. 홈페이지에 자유게시판은 없지만 안철수 자신이 2주에 한 번 꼴로 유툽영상을 올리고 있는 듯하고 ( https://www.youtube.com/watch?v=dEvCh3SI3bU 5월 9일자 영상인데 여기에선 무릎팍도사시절의 안철수 모습이 보이는.. 전체보기는 https://www.youtube.com/watch?v=bTLs0Sw5O_s&index=51&list=PLG0GXYdxpBT1xeJ0fYQX7xZuvGM_2C82k ) 정기적으로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는 시민참여단이 있어서 영상에 보니까 고 신해철씨의 부인 윤원희씨가 나오셨고, 어떤 회에는 여성소방관이 나오셨고 등등... 최근에는 군부대 한 번 방문했고 (방산비리 언급 안 한 것 너무 아쉽...) 중소기업에 가서도 의견경청하고 왔어요..
국민의당이 소통의 장을 꽤 신경써서 마련하고 있단 생각을 했어요. 홈페이지에 자유게시판은 없지만 안철수 자신이 2주에 한 번 꼴로 유툽영상을 올리고 있는 듯하고 ( https://www.youtube.com/watch?v=dEvCh3SI3bU
안철수, 국민속으로 - 45일차
안철수 국민속으로 - 1일차
아 고마워요 시간이 꽤 지났는데 잊지 않고 정보를 가져다 주시고 ㅎㅎㅎ
사실 정당 홈피에서 자유게시판이 꼭 필요하지는 않은 거 같아요. 오히려 예전 진보정당들 같은 경우엔 당원게시판과 자유게시판(비당원 지지자용)이 오히려 부정적으로 기능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예전 진보신당 시절에는 '당게 때문에 당이 망했다'고들 할 정도로, 당원임을 이용해서 게시판에서 난동(?)을 피우던 사람들이 많았거든요. 당이 잘 나가고 희망이 보일 때는 엄청나게 긍정적인 역할을 했지만(진중권씨가 일부러 며칠에 한번씩 꼭 당게에 글을 썼고, 기자들이 맨날... 더 보기
사실 정당 홈피에서 자유게시판이 꼭 필요하지는 않은 거 같아요. 오히려 예전 진보정당들 같은 경우엔 당원게시판과 자유게시판(비당원 지지자용)이 오히려 부정적으로 기능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예전 진보신당 시절에는 '당게 때문에 당이 망했다'고들 할 정도로, 당원임을 이용해서 게시판에서 난동(?)을 피우던 사람들이 많았거든요. 당이 잘 나가고 희망이 보일 때는 엄청나게 긍정적인 역할을 했지만(진중권씨가 일부러 며칠에 한번씩 꼭 당게에 글을 썼고, 기자들이 맨날... 더 보기
아 고마워요 시간이 꽤 지났는데 잊지 않고 정보를 가져다 주시고 ㅎㅎㅎ
사실 정당 홈피에서 자유게시판이 꼭 필요하지는 않은 거 같아요. 오히려 예전 진보정당들 같은 경우엔 당원게시판과 자유게시판(비당원 지지자용)이 오히려 부정적으로 기능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예전 진보신당 시절에는 '당게 때문에 당이 망했다'고들 할 정도로, 당원임을 이용해서 게시판에서 난동(?)을 피우던 사람들이 많았거든요. 당이 잘 나가고 희망이 보일 때는 엄청나게 긍정적인 역할을 했지만(진중권씨가 일부러 며칠에 한번씩 꼭 당게에 글을 썼고, 기자들이 맨날 진보신당 당게에 들어와서 체크하고 그랬음), 우울한 시기에는 시간 많고 극단적인 사람들의 목소리가 과도하게 커지죠. 그걸 보는 얌전한 사람들은 정이 떨어져서 잘 안 오게 되고... 맨날 서로 트집잡고 독설 경쟁을 하고 그러니깐요.
하지만 쓰레드 형식의 게시판이 갖고 있는 장점은 확실히 있어요. 당 중앙에서 내보내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의제 설정을 하거나 캠페인을 벌이며 정당운동을 할 수 있으니까요. 유튜브나 sns는 불특정 다수 대중들에게 내용을 전하기 좋은 매체이고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것 이외에도 지지자들이 좀더 자세한 의견을 나누고 숙의하고 논쟁하고 자료를 아카이빙할 수 있는 공간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진보정당에는 그런 가감없는 흔적을 역사로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국민의당에도 그런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분명히 있을 거예요. 정말로 이 당이 오래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혹시 그런 공간이 보이시면 꼭 가르쳐주세요. 으앙.
사실 정당 홈피에서 자유게시판이 꼭 필요하지는 않은 거 같아요. 오히려 예전 진보정당들 같은 경우엔 당원게시판과 자유게시판(비당원 지지자용)이 오히려 부정적으로 기능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예전 진보신당 시절에는 '당게 때문에 당이 망했다'고들 할 정도로, 당원임을 이용해서 게시판에서 난동(?)을 피우던 사람들이 많았거든요. 당이 잘 나가고 희망이 보일 때는 엄청나게 긍정적인 역할을 했지만(진중권씨가 일부러 며칠에 한번씩 꼭 당게에 글을 썼고, 기자들이 맨날 진보신당 당게에 들어와서 체크하고 그랬음), 우울한 시기에는 시간 많고 극단적인 사람들의 목소리가 과도하게 커지죠. 그걸 보는 얌전한 사람들은 정이 떨어져서 잘 안 오게 되고... 맨날 서로 트집잡고 독설 경쟁을 하고 그러니깐요.
하지만 쓰레드 형식의 게시판이 갖고 있는 장점은 확실히 있어요. 당 중앙에서 내보내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의제 설정을 하거나 캠페인을 벌이며 정당운동을 할 수 있으니까요. 유튜브나 sns는 불특정 다수 대중들에게 내용을 전하기 좋은 매체이고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것 이외에도 지지자들이 좀더 자세한 의견을 나누고 숙의하고 논쟁하고 자료를 아카이빙할 수 있는 공간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진보정당에는 그런 가감없는 흔적을 역사로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국민의당에도 그런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분명히 있을 거예요. 정말로 이 당이 오래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혹시 그런 공간이 보이시면 꼭 가르쳐주세요. 으앙.
제가 검색을 철저하게 하지 않아서 페이지를 잘 못찾은 거였어요. 추가로 PDF파일이랑 유투브링크 업뎃했어요. 새누리당은 대기업제재안이 많이 안 보이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은 포커스하는 정책이 비슷해요. 더불어민주당은 오늘 기사보니까 4월 29일에 병원 인수 합병을 여당에 합의해줘서 본회의에 나가게 됐다던데 이거 안 좋은 거 같은데; 더불어민주당 정책 중 눈에 띈 게 소득 70%이하 어르신들에게 기초연금을 일괄적으로 30만원으로 상향조정하겠다는 거였어요. 전 새누리가 20만원 나눠줄 때 그건 맘에 들었었어요. 이런 저런 기구 설치해서 행정비용 나가게 하는 것보다 아예 현금을 나눠주는 것이 전 더 좋아요. 이 때 소득이란 임금소득은 아닐테고 자본소득도 포함되는건지 어떤 건지 모르겠어요. 허접한 글에 추천이 세 개씩이나.. 아이긍 민망하여랑..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