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2/14 13:39:25수정됨
Name   하얀
Subject   '자폐아가 많은 부모의 직업'과 관련된 고도로 체계화하려는 성향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자폐아가 많은 부모의 직업.jpg' 란 글을 보고, 큰 관심이 생겼습니다.
편집된 이미지는 '책식주의'라는 유튜버가 책의 내용을 요약해서 만든 것이었어요.

 



이 요약을 보고 '체계화 능력'에 대한 내용이 제 이야기라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원전이 되는 사이먼 배런코언 교수의 책 '패턴 시커'를 읽고, 그 배경이 되는 논문도 찾아보았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체계화 매커니즘은 '만일-그리고-그렇다면(IF-AND-THEN)' 패턴을 끊임없이 찾는 뇌 속의 엔진을 뜻합니다.

"체계화 메커니즘은 발명가, STEM분야(과학,기술,공학,수학) 종사자, 완벽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음악가, 장인, 영화 제작자, 사진가, 운동선수, 사업가, 변호사 등)의 마음 속에서 아주 높은 수준으로 맞춰져 있다. 이들은 정확성과 아주 사소해 보이는 세부까지 집중하는 '고도로 체계화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어서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식,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 시스템을 향상하는 방식을 생각하는 걸 즐긴다. 그러지 않으려고 해도 소용없다." P.40

책에 나온 '그러지 않으려고 해도 소용없다'는 저 표현이 딱 들어맞습니다. 뇌인지 마음인지는 모르지만 이 엔진이 제가 살아오면서 다른 사람과 좀 다르다고 느꼈던 그 부분이니까요. 저는 오히려 '왜 다른 사람은 저렇게 안하지?' 이런 의문을 늘 품고 있었어요. 왜 다른 사람은 어떤 지점을 갈 때 갈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찾아 비교하고, 가장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 다음에 어떤 운송 수단을 사용해서, 어떤 시간으로, 어느 칸에서, 어느 좌석에 앉을지까지 '구성'해서 환상적인 환승과 적절한 시간(보통은 최소)으로 아름답게 도착하는 방법을 찾지 않지? 이게 보통 아닌가. 난 이게 정말로 엄청 재미있는데...

제 동생은 고전적 자폐 장애가 있었으며 늘 교통 노선을 그렸습니다. 지하철, 버스 노선이었습니다. 이 부분이 저자가 말하는 체계화 능력일까? 궁금했습니다.

책에서 체계화지수 SQ와 공감지수 EQ는 정규분포곡선을 그리는데, 이를 결합해 뇌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1. 공감지수 EQ, 체계화지수 SQ 둘 다 높음( EQ ↑, SQ ↑) : B형 (Balanced)
2. 공감지수 EQ는 높고, 체계화지수 SQ는 낮음( EQ ↑,  SQ ↓ ): E형(Empathizing)
3. 공감지수 EQ는 낮고, 체계화지수 SQ는 높음(EQ ↓, SQ ↑) : S형(Systemizing)
4. 극단 E형
5. 극단 S형

내 뇌는 어디에 속할까? 책 부록에 간이 검사지도 있지만, 인터넷 체계화 테스트가 있어서 편하게 해봤습니다. 

☞ 체계화 지수 검사

☞ 공감 지수 검사

다섯 가지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P102~108)

(1) E형

이들은 공감 점수가 체계화 점수보다 높다.  (중략) E형 뇌를 지닌 사람은 다른 사람과 편하게 어울리면서 쉽게 대화를 트고, 인간관계의 역동성을 바로 파악하며, 다른 사람의 기분에 쉽게 동조하고, 상담이나 구호단체 등 남을 보살피는 직업에 끌릴 가능성이 크다. (중략) 체계화에 관해서 생각해보면, E형 뇌를 지닌 사람은 콕 집어 알려주면 새로운 패턴을 볼 수는 있지만 좀처럼 자연스럽게 파악하지는 못한다. 필요하다면 기술을 이용하지만 그것에 열광하지는 않는다.

(2) B형

B형인 사람은 공감 능력과 체계화 능력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래서 균형 잡힌 유형이라고 하는 것이다. 역시 인구의 3분 1 정도를 차지하며,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비슷하다. 공감 능력과 체계화 능력을 사용할 때 어렵거나 쉽다고 느끼는 정도가 비슷하다. 의사소통과 기술 사용 시에도 비슷할 정도로 편안함과 어려움을 느낀다.

(3) S형

S형인 사람은 E형과 반대로 공감 점수보다 체계화 점수가 훨씬 높다. (중략) 시스템 작동 과정과 패턴을 쉽게 파악한다. 설명서 없이도 자신감 넘치는 태도로 시행착오를 거쳐가면서 어떤 장치든 금방 작동법을 알아낸다. 언제라도 실험을 통해 사물의 작동 방식을 '한번 알아내 볼' 준비가 되어 있다. (중략) 공감 능력에 관해서라면 그럭저럭 쫓아가지만, 이들에게 공감이란 직관적이고 편하고 재미있는 것이라기보다는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4) 극단E형

공감 능력이 매우 뛰어나지만 체계화 능력은 평균 미만이다. (중략) 공감회로가 극히 높은 수준에 맞춰져 있어 아무 어려움 없이 직관적으로 남에게 공감한다. 누군가 어덯게 느끼고 생각하는지, 대화 중에는 어떤 말을 하고 어떤 말을 하지 말아야 할지 바로 알아차린다. 한꺼번에 여러 사람이 말을 주고받는 대화에서도 아무 문제없이 이야기를 나눈다. 누군가 민망해하거나 화가 나면 가장 먼저 알고, 남에게 어떻게 해주면 가장 좋을지 미리 생각한다. 다른 사람의 상황이 변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늘 친구들과 소식을 주고받는다. 하지만 체계화 능력에 관해서라면 이들은 패턴을 거의 알아차리지 못한다. 체계화 메커니즘이 매우 낮은 수준에 맞춰져 있으며, 기술을 사용하는 일은 주변 사람에게 맡긴다.(중략)

(5) 극단 S형

(중략) 극단 S형은 복잡한 패턴을 바로 파악한다. (중략) 극단 S형은 시스템의 일탈이나 불일치를 찾아내고, 오류를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해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만드는 일을 잘한다. 사회적 기술에 관해서라면 공감 능력이 평균에 못 미치기 때문에 종종 대화 중에 퉁명스러우며, 생각한 것이나 떠오른 것을 앞뒤 재지 않고 꾸미지 않은 말로 불쑥 내뱉는다. 그래 놓고도 말한 내용이나 방식이 뭐가 잘못되었는지 모른 체 그게 사실 아니냐고 강변한다.  친구를 사귀거나 우정을 유지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으며, 좀처럼 남에게 공감하지 못하므로 이용당하기도 쉽다. 함정 속으로 들어가면서도 그것이 함정임을 보지 못한다. 오랜 기간 세상에 맞춰 어울리려고 노력했지만 사회적으로 배제당한다는 느낌에 시달린 나머지 우울해질 위험도 크다. 남과 어울리기보다 혼자 지내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 참고로 책 부록의 간이 검사지는 여기에 있습니다.
(책 내용을 정리하는 김에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체계화 능력이 자폐나 유전과 관련이 있다면, 자폐인 형제가 있는 원 가족과 이제 시작한 제 가족의 이야기이기도 하니까요. 홍차넷에는 블로그에 적은 내용 중 일부를 최대한 간결하게 적으려고 합니다. 이미 상단의 유투버 요약 이미지도 훌륭하고, 또 기니까요. 성별 분포, 자폐인과 연관성 등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블로그에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 바로가기   '고도로 체계화하는 성향과 자폐의 연관성' 

제 인터넷 검사의 결과는, SQ는 76점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나, EQ는 36점으로 보통 수준입니다. 책의 간이 검사로는 SQ는 19점 EQ는 8점으로 극단S형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테스트가 제게는 몹시 즐거웠습니다. 저를 알아봐주는 사람이 있구나 싶은 심정이었거든요. 물론 저는 '극단 S형'의 전형적인 모습에는 해당되지 않는 면도 있습니다. 혼자보다 사람들과 지내는 것을 좋아하고, 먼저 인사하고 먼저 스몰토크를 시작하는 편이거든요. 그렇지만 무엇보다 연애에 있어서 제가 가진 의문이 조금은 풀리는 느낌이었습니다. 책에서는 비슷한 사람끼리 끌릴 수 있다고 하는데 (아니면 사회성이 부족해 늦게까지 남아 있다 서로를 발견하거나ㅠ) 저는 '고도로 체계화 하는 성향'이 강한 사람을 연애 상대로 꺼려했거든요. 물론 같이 세부적인 내용까지 파고든 이야기를 하거나 할 때는 즐겁고 신났으나 그 뿐이고, 오히려 연애에 대하여는 흡사 '근친상간'과 비슷한 감정을 느꼈었습니다. 감정은 강렬한데 원인은 알 수 없어서, 늘 에둘러 표현하곤 했습니다. 
"나와 비슷한 전공은 좀...", "남자의 직업과 학벌보다는 외모를 본다", "남자의 눈물에 약하다." 등등 
저는 본능적으로 감성적인 면모가 강한 사람을 찾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어쩌면 단순 취향이었을 수도 있고요. (그러기엔 좀 지나쳐서 스스로 의아했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혹시 결혼 전이고 본인의 체계화 지수가 높다면, 최대한 감성적인 사람을 찾으시길...(※ 주의 : 결론이 몹시 자의적임) 

 

 + 아 가장 중요한 이야기를 안 썼군요. 이런 체계화 하려는 성향 자체가 자폐를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반대로 자폐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지속적 연구의 대상입니다. 이 내용은 자폐 스펙트럼 중 일부의 내용에 대한 실마리 정도로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테스트도 재미로 하고요. 






8


    저도 극s 가 나올 것 같네요 ㅋㅋㅋㅋ
    HTML 태그에 <a herf= 라고 되어있는데 오타입니다.
    href 로 바꾸면 링크가 잘 걸릴 것입니다.
    위에는 멀쩡히 쓰고 아래에는 잘못 썼었는데 덕분에 고쳤습니다.

    저는 인터넷 검사로 SQ는 76점으로 높고, EQ는 36점으로 보통 수준입니다. 어쩐지 사는게 쉽지 않았...
    https://welcometree.info/wp/?p=64
    카르스
    SQ는 43점, EQ는 24점입니다. SQ가 생각보단 좀 낮은데 공대남이 아니라서 그런가 생각이 듭니다.

    (3)과 (5)의 중간쯤에 있겠군요.
    네 맞습니다. 체계화하는 성향의 직업으로 변호사나 음악가 등도 예로 들었는데 테스트는 공학에 치우쳐 있는 거 같습니다. 책에서는 끊임없이 완벽을 추구한 글렌 굴드의 예가 있었습니다.
    1
    집에 가는 제로스
    SQ 43 (약간높은 수준) EQ 36 (평균) 요렇게 나오네요.
    1
    SQ 41
    EQ 60
    정도군요
    일단 황구는 제 영향은 안받은걸로??!?!
    오 검사에서 EQ가 높게 나오시네요. 전 여러번 해도 30점대를 못 벗어나던데...이렇게 높게 나올 수도 있군요.
    자 이제 1. 황구가 체계화하려는 성향이 있는지 살펴보고 (영국 검사에서도 자폐 남성의 38%는 S형, 극단S형이 아니었습니다.) 2. 있다면 양가 할아버지들까지 조사... 어머니는 IQ검사에 흔히 쓰이는 도형 검사로 대체 가능합니다. (평면도에 점 찍어놓고 가능한 입방체 모양은? 이런 문제들이요)

    이게 제 식 유머인데, 아마 유머라 안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진지하게 실제로는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 더 보기
    오 검사에서 EQ가 높게 나오시네요. 전 여러번 해도 30점대를 못 벗어나던데...이렇게 높게 나올 수도 있군요.
    자 이제 1. 황구가 체계화하려는 성향이 있는지 살펴보고 (영국 검사에서도 자폐 남성의 38%는 S형, 극단S형이 아니었습니다.) 2. 있다면 양가 할아버지들까지 조사... 어머니는 IQ검사에 흔히 쓰이는 도형 검사로 대체 가능합니다. (평면도에 점 찍어놓고 가능한 입방체 모양은? 이런 문제들이요)

    이게 제 식 유머인데, 아마 유머라 안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진지하게 실제로는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자폐가 스펙트럼인만큼, 원인도 다양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유전, 환경, 우연...여러가지가 합쳐져서 그렇게 된 것일 수 있고요. 제 동생이 왜 그랬는지, 왜 성장하면서 호전된 것인지도 모르겠는걸요. (의사는 무조건 '선천성'이라 했었습니다.) 게다가 이런 이유로 제 아이를 유심히 관찰 중이지만 아직도 잘 모르겠어요. 발화가 가능해도 사회성 부분까지는...5차 영유아 검진(30~36개월)이 2월 말부터 가능한데 언제 가야하나 고민 중입니다.
    황구는 딱히 체계화 성향은 없는거 같읍니다.
    물론 그때그때마다 놀이의 루틴이나 패턴이 이런게 생기긴 하는데 그런 루틴도, 패턴도 거의 두달 주기로 바뀌고 있어서...
    어떤 행동이 보여서 교정이 필요할까 어쩔까 한두달 관찰하면서 고민하다보면 사라지고 다른 행동 양상이 보이는 아이라 그냥 요즘에는 뭘하고 있어도 그냥 그러려니 하면서 지켜봅니다 ㅋㅋ
    원인에 대해서는 딱히 고민해보지 않았습니다.
    어차피 일어난 일이고 그 원인을 찾는거 보다는 현상에 대해 잘 풀어주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3
    SQ 25(평균) EQ 51(평균) 으로 나왔읍니다. 둘 다 평범한듯..
    아 저 테스트에 51도 평균이래요? 제 기준 공감능력 엄청 높은데...
    보리건빵
    sq 54
    eq 19
    제가 대인관계를 어려워하는 게 점수로도 나오는군요 ㅠㅠ
    저도 레고 같은 거보다 대인관계가 어렵습니다. 대인관계 능숙한 분들 보면 저건 배우는게 아니라 타고난 재능같다는 생각도 많이 했어요.
    런린이
    SQ 43(평균이상) EQ 33(평균) 이네요
    평범한 듯?
    저 교수님 책에선 밸런스있다고 B형이라고 하더라구요.
    SQ23.. EQ51 이네요. 체계화가 뭐지 ㅠㅠ
    사이시옷
    SQ 48
    EQ 53!
    선생님이 따뜻한 사람인건 만나봐서 - 아마 만나지 않고 탐라만 봐도 - 알고 있었어요ㅎㅎ
    허락해주세요
    SQ 52, EQ 48입니다. 근데 질문이 좀 보이는 느낌이긴 하네요 ㅎㅎ
    1
    제 입장에선 저기서 뽑은 주제들(음악, 식물, 동물, 교통, 비행기 등)이 살아오며 넘나 제 관심사라 놀랐어요ㅋ 근데 관심사가 아니라 세부적인 거에 끊임없이 완벽을 기하려는 성향 자체를 말하는 거더라구요.

    이 부분이 와닿았어요.
    "뭔가를 꿔매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대부분 집에 있는 반짇고리를 뒤져 쓸 만한 바늘을 찾을 것이다. 최소 만족형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꿔매려는 소재에 완벽하게 맞는 바늘을 찾는다. 길이와 굵기는 어느 정도이며, 바늘귀는 얼마나 커야 하는지 안다. 그리고 몇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짇고리를 샅샅이 뒤... 더 보기
    제 입장에선 저기서 뽑은 주제들(음악, 식물, 동물, 교통, 비행기 등)이 살아오며 넘나 제 관심사라 놀랐어요ㅋ 근데 관심사가 아니라 세부적인 거에 끊임없이 완벽을 기하려는 성향 자체를 말하는 거더라구요.

    이 부분이 와닿았어요.
    "뭔가를 꿔매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대부분 집에 있는 반짇고리를 뒤져 쓸 만한 바늘을 찾을 것이다. 최소 만족형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꿔매려는 소재에 완벽하게 맞는 바늘을 찾는다. 길이와 굵기는 어느 정도이며, 바늘귀는 얼마나 커야 하는지 안다. 그리고 몇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짇고리를 샅샅이 뒤져 기어코 그 일에 딱 맞는 바늘을 찾아낸다. 바로 그가 최대 만족형이다. 최대 만족형 인간은 시스템을 최적화하려는 완벽주의자이다.(이 예에서 시스템이란 바느질이다.) 따라서 고도로 체계화를 추구한다."
    두번우려낸티백
    SQ 51, EQ 53 이네요. EQ 질문 중 어렸을 때라면 다르게 대답할만한 항목들이 많아서, 성장과정에서 EQ가 많이 좋아진 것 같네요.
    저는 EQ가 좋아진게 30점 대(...) 다행히 EQ는 계속 더 좋아지는 느낌입니다. 상대방 입장을 더 잘 이해하고 공감하게 되더라구요.
    가이브러시
    SQ 46 EQ 52. 평범한 사람이었어요!
    아니 EQ 50넘는게 저 테스트에선 평범인가 보군요. 높은 거 같은데....평범이 좋은거긴 한데 '균형잡힌'이란 것도 좋아요ㅎㅎ
    박지운
    커뮤에는 저 분류상 S인 분들이 많겠죠ㅋㅋㅋ
    그냥 남성 중에 많아요ㅋㅋ 40프로ㅋ
    회색사과
    자폐성향의 아이들을 엔지니어 부모가 더 잘 발견하는 건 아닐까요? 경증의 자폐도 잘 발견한다거나
    아 이게 논문에서 보니 자폐아 아버지만 놓고봐도 가장 많은 직업이 엔지니어링이 아닙니다. 목수같은 숙련공과 관리직 등 사무직이 더 많아요. 다만 대조군에도 많을 뿐이고, [엔지니어링은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
    - 논문 내용 : https://welcometree.info/wp/?p=203
    64, 68

    그런데, 두 가지 점수가 높은 게 현대 사회에서 본인에게 좋은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많이 받고, 다른 사람 스트레스도 내 스트레스가 되기도 하고, 예민한 것 같습니다.
    ECCL817
    20, 27

    너무 대충 답했나….
    메리메리
    흠...
    흑마법사
    SQ 64 EQ 42 극단s형(20점차이) AQ 7
    예술가들이 수학적 사고를 가진듯 하던데 여기서도 알 수 있네요.
    흑마법사
    그런가여 ㅎㅎㅎㅎ
    SQ24 EQ22 .. 분류도 안 되는 수준이군요 ㅠㅎㅎㅎㅎㅎ
    아케르나르수정됨
    SQ 36(2회차 49), EQ 11(2회차 10) 나옵니다. 평소에 주변 사람들에게 100% T(MBTI) 라는 말을 듣는 편입니다. 근데 해당 설문이 외국의 것을 번역한 건지 어떤지 몰라도 좀 애매한 내용이 있는 것 같습니다.
    설문 중에 '사회적 상황'이 뭔지 좀 구체적으로 적어줘야 하지 않을까요?
    1
    SQ 31 EQ 59 아... 밥 먹고 살게 하는 직업이 적성에 딱 맞구나 싶습니다.
    당근매니아
    54 / 7 .............
    아....................
    파란아게하
    SQ 41 EQ 44 띠용 생각보다 SQ가 낮네요 본문 읽으면서 엇 나는 EQ가 높은 사람을 만나야되는구나 싶었는데ㅎㅎ
    이혜리
    SQ 58
    EQ 33
    S형에 가깝네요,
    SQ 47
    EQ 33
    EQ가 평균이라 다행이네요. 와이프가 맨날 극T라고 AI라고 놀리는데..
    bluepills
    SQ 54
    EQ 20.. 이거 약간 문제있는 수치 아닌가요..
    EQ 20
    SQ 61
    숫자대로라면 이미⋯

    하지만 평범하게 살고 있습니다? (정말?)
    재밌다재밌다
    검사 할때 뭐 다 이런거 아닌가 하면서 했는데 EQ20나오네요. 신기하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628 4
    15339 일상/생각알중고백 7 당근매니아 25/03/25 730 6
    15337 일상/생각평범한 동네 이야기 4 nm막장 25/03/24 493 7
    15335 일상/생각와이프한테 보낼 보고서 써달라고 했습니다. 클로드한테 ㅋㅋㅋㅋ 6 큐리스 25/03/24 777 2
    15332 일상/생각감자와 당근의 이야기입니다~~ 7 큐리스 25/03/24 465 0
    15331 일상/생각기분 좋은 하루를 기록하기 3 골든햄스 25/03/22 491 11
    15330 일상/생각국민연금 내기 싫다, 고갈되면 나는 헛돈 낸 게 아니냐는 친구의 말을 듣고.. 15 타치코마 25/03/21 1737 5
    15326 일상/생각평범한 남편의 투정^^ 큐리스 25/03/20 529 3
    15314 일상/생각15년된 넥서스 원을 꺼내보았습니다 13 큐리스 25/03/13 686 1
    15309 일상/생각결혼하고 처음 깨달은 사실?? 2 큐리스 25/03/11 930 1
    15308 일상/생각혐중정서와 친미반중에 대한 문답글.. 6 타치코마 25/03/10 1179 5
    15305 일상/생각하...거참...와이프 너무하네. 2 큐리스 25/03/09 958 5
    15304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903 24
    15300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2 골든햄스 25/03/06 748 20
    15297 일상/생각와이프한테 맞을뻔 했어요 ㅋㅋㅋ 13 큐리스 25/03/05 1252 3
    15284 일상/생각제니와 뷔폐에 다녀왔습니다. 13 월남스키부대 25/02/27 1078 9
    15282 일상/생각어제 회식하고 돌아온 아내 상태 체크중입니다. 2 큐리스 25/02/26 1121 6
    15278 일상/생각큼큼이들을 위한 변명 15 당근매니아 25/02/21 1259 1
    15276 일상/생각이사를 합니다 3 Broccoli 25/02/20 724 8
    15272 일상/생각다큐 추천 [해장] whenyouinRome... 25/02/18 587 1
    15267 일상/생각불이 켜진 밖을 비틀비틀 걸어 나오며 9 골든햄스 25/02/14 764 17
    15266 일상/생각'자폐아가 많은 부모의 직업'과 관련된 고도로 체계화하려는 성향 45 하얀 25/02/14 2331 8
    15264 일상/생각딸한테 또 당했습니다.^^ 2 큐리스 25/02/13 966 7
    15260 일상/생각사진 속 그녀는 여전히 눈부셨다. 5 큐리스 25/02/10 949 6
    15253 일상/생각클로드와의 심리상담 경과 3 골든햄스 25/02/06 1039 1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