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5/02/14 13:39:25수정됨 |
Name | 하얀 |
Subject | '자폐아가 많은 부모의 직업'과 관련된 고도로 체계화하려는 성향 |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자폐아가 많은 부모의 직업.jpg' 란 글을 보고, 큰 관심이 생겼습니다. 편집된 이미지는 '책식주의'라는 유튜버가 책의 내용을 요약해서 만든 것이었어요. ![]() 이 요약을 보고 '체계화 능력'에 대한 내용이 제 이야기라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원전이 되는 사이먼 배런코언 교수의 책 '패턴 시커'를 읽고, 그 배경이 되는 논문도 찾아보았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체계화 매커니즘은 '만일-그리고-그렇다면(IF-AND-THEN)' 패턴을 끊임없이 찾는 뇌 속의 엔진을 뜻합니다. "체계화 메커니즘은 발명가, STEM분야(과학,기술,공학,수학) 종사자, 완벽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음악가, 장인, 영화 제작자, 사진가, 운동선수, 사업가, 변호사 등)의 마음 속에서 아주 높은 수준으로 맞춰져 있다. 이들은 정확성과 아주 사소해 보이는 세부까지 집중하는 '고도로 체계화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어서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식,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 시스템을 향상하는 방식을 생각하는 걸 즐긴다. 그러지 않으려고 해도 소용없다." P.40 책에 나온 '그러지 않으려고 해도 소용없다'는 저 표현이 딱 들어맞습니다. 뇌인지 마음인지는 모르지만 이 엔진이 제가 살아오면서 다른 사람과 좀 다르다고 느꼈던 그 부분이니까요. 저는 오히려 '왜 다른 사람은 저렇게 안하지?' 이런 의문을 늘 품고 있었어요. 왜 다른 사람은 어떤 지점을 갈 때 갈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찾아 비교하고, 가장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 다음에 어떤 운송 수단을 사용해서, 어떤 시간으로, 어느 칸에서, 어느 좌석에 앉을지까지 '구성'해서 환상적인 환승과 적절한 시간(보통은 최소)으로 아름답게 도착하는 방법을 찾지 않지? 이게 보통 아닌가. 난 이게 정말로 엄청 재미있는데... 제 동생은 고전적 자폐 장애가 있었으며 늘 교통 노선을 그렸습니다. 지하철, 버스 노선이었습니다. 이 부분이 저자가 말하는 체계화 능력일까? 궁금했습니다. 책에서 체계화지수 SQ와 공감지수 EQ는 정규분포곡선을 그리는데, 이를 결합해 뇌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1. 공감지수 EQ, 체계화지수 SQ 둘 다 높음( EQ ↑, SQ ↑) : B형 (Balanced) 2. 공감지수 EQ는 높고, 체계화지수 SQ는 낮음( EQ ↑, SQ ↓ ): E형(Empathizing) 3. 공감지수 EQ는 낮고, 체계화지수 SQ는 높음(EQ ↓, SQ ↑) : S형(Systemizing) 4. 극단 E형 5. 극단 S형 내 뇌는 어디에 속할까? 책 부록에 간이 검사지도 있지만, 인터넷 체계화 테스트가 있어서 편하게 해봤습니다. ☞ 체계화 지수 검사 ☞ 공감 지수 검사 다섯 가지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P102~108) (1) E형
(2) B형
(3) S형
(4) 극단E형
(5) 극단 S형
※ 참고로 책 부록의 간이 검사지는 여기에 있습니다. (책 내용을 정리하는 김에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체계화 능력이 자폐나 유전과 관련이 있다면, 자폐인 형제가 있는 원 가족과 이제 시작한 제 가족의 이야기이기도 하니까요. 홍차넷에는 블로그에 적은 내용 중 일부를 최대한 간결하게 적으려고 합니다. 이미 상단의 유투버 요약 이미지도 훌륭하고, 또 기니까요. 성별 분포, 자폐인과 연관성 등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블로그에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 바로가기 '고도로 체계화하는 성향과 자폐의 연관성' ) 제 인터넷 검사의 결과는, SQ는 76점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나, EQ는 36점으로 보통 수준입니다. 책의 간이 검사로는 SQ는 19점 EQ는 8점으로 극단S형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테스트가 제게는 몹시 즐거웠습니다. 저를 알아봐주는 사람이 있구나 싶은 심정이었거든요. 물론 저는 '극단 S형'의 전형적인 모습에는 해당되지 않는 면도 있습니다. 혼자보다 사람들과 지내는 것을 좋아하고, 먼저 인사하고 먼저 스몰토크를 시작하는 편이거든요. 그렇지만 무엇보다 연애에 있어서 제가 가진 의문이 조금은 풀리는 느낌이었습니다. 책에서는 비슷한 사람끼리 끌릴 수 있다고 하는데 (아니면 사회성이 부족해 늦게까지 남아 있다 서로를 발견하거나ㅠ) 저는 '고도로 체계화 하는 성향'이 강한 사람을 연애 상대로 꺼려했거든요. 물론 같이 세부적인 내용까지 파고든 이야기를 하거나 할 때는 즐겁고 신났으나 그 뿐이고, 오히려 연애에 대하여는 흡사 '근친상간'과 비슷한 감정을 느꼈었습니다. 감정은 강렬한데 원인은 알 수 없어서, 늘 에둘러 표현하곤 했습니다. "나와 비슷한 전공은 좀...", "남자의 직업과 학벌보다는 외모를 본다", "남자의 눈물에 약하다." 등등 저는 본능적으로 감성적인 면모가 강한 사람을 찾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어쩌면 단순 취향이었을 수도 있고요. (그러기엔 좀 지나쳐서 스스로 의아했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혹시 결혼 전이고 본인의 체계화 지수가 높다면, 최대한 감성적인 사람을 찾으시길...(※ 주의 : 결론이 몹시 자의적임)
+ 아 가장 중요한 이야기를 안 썼군요. 이런 체계화 하려는 성향 자체가 자폐를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반대로 자폐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지속적 연구의 대상입니다. 이 내용은 자폐 스펙트럼 중 일부의 내용에 대한 실마리 정도로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테스트도 재미로 하고요.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하얀님의 최근 게시물
|
자 이제 1. 황구가 체계화하려는 성향이 있는지 살펴보고 (영국 검사에서도 자폐 남성의 38%는 S형, 극단S형이 아니었습니다.) 2. 있다면 양가 할아버지들까지 조사... 어머니는 IQ검사에 흔히 쓰이는 도형 검사로 대체 가능합니다. (평면도에 점 찍어놓고 가능한 입방체 모양은? 이런 문제들이요)
이게 제 식 유머인데, 아마 유머라 안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진지하게 실제로는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 더 보기
자 이제 1. 황구가 체계화하려는 성향이 있는지 살펴보고 (영국 검사에서도 자폐 남성의 38%는 S형, 극단S형이 아니었습니다.) 2. 있다면 양가 할아버지들까지 조사... 어머니는 IQ검사에 흔히 쓰이는 도형 검사로 대체 가능합니다. (평면도에 점 찍어놓고 가능한 입방체 모양은? 이런 문제들이요)
이게 제 식 유머인데, 아마 유머라 안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진지하게 실제로는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자폐가 스펙트럼인만큼, 원인도 다양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유전, 환경, 우연...여러가지가 합쳐져서 그렇게 된 것일 수 있고요. 제 동생이 왜 그랬는지, 왜 성장하면서 호전된 것인지도 모르겠는걸요. (의사는 무조건 '선천성'이라 했었습니다.) 게다가 이런 이유로 제 아이를 유심히 관찰 중이지만 아직도 잘 모르겠어요. 발화가 가능해도 사회성 부분까지는...5차 영유아 검진(30~36개월)이 2월 말부터 가능한데 언제 가야하나 고민 중입니다.
물론 그때그때마다 놀이의 루틴이나 패턴이 이런게 생기긴 하는데 그런 루틴도, 패턴도 거의 두달 주기로 바뀌고 있어서...
어떤 행동이 보여서 교정이 필요할까 어쩔까 한두달 관찰하면서 고민하다보면 사라지고 다른 행동 양상이 보이는 아이라 그냥 요즘에는 뭘하고 있어도 그냥 그러려니 하면서 지켜봅니다 ㅋㅋ
원인에 대해서는 딱히 고민해보지 않았습니다.
어차피 일어난 일이고 그 원인을 찾는거 보다는 현상에 대해 잘 풀어주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이 부분이 와닿았어요.
"뭔가를 꿔매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대부분 집에 있는 반짇고리를 뒤져 쓸 만한 바늘을 찾을 것이다. 최소 만족형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꿔매려는 소재에 완벽하게 맞는 바늘을 찾는다. 길이와 굵기는 어느 정도이며, 바늘귀는 얼마나 커야 하는지 안다. 그리고 몇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짇고리를 샅샅이 뒤... 더 보기
이 부분이 와닿았어요.
"뭔가를 꿔매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대부분 집에 있는 반짇고리를 뒤져 쓸 만한 바늘을 찾을 것이다. 최소 만족형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꿔매려는 소재에 완벽하게 맞는 바늘을 찾는다. 길이와 굵기는 어느 정도이며, 바늘귀는 얼마나 커야 하는지 안다. 그리고 몇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짇고리를 샅샅이 뒤져 기어코 그 일에 딱 맞는 바늘을 찾아낸다. 바로 그가 최대 만족형이다. 최대 만족형 인간은 시스템을 최적화하려는 완벽주의자이다.(이 예에서 시스템이란 바느질이다.) 따라서 고도로 체계화를 추구한다."
- 논문 내용 : https://welcometree.info/wp/?p=203
설문 중에 '사회적 상황'이 뭔지 좀 구체적으로 적어줘야 하지 않을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