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2/05 14:55:28
Name   눈부심
Subject   니 꺼는 내 꺼, 땡큐

예술에는 전유예술이란 것이 있어요. 사물을 있는 그대로 소재로 사용해 자신만의 작품을 만드는 것인데요. 한 가지 예를 들면 마르셀 뒤샹의 <분수>라는 작품이 그에 해당돼요. 변기에 그냥 지어낸 이름으로 싸인을 한 뒤 제목만 근사하게 ‘분수’라고 한 거죠.



뒤샹은 예술이란 창작이 아니라 선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했죠. 기존의 순수 예술, 소유권, 독창성, 표절 이런 개념들에 정면으로 도전한 예술가예요. 당시 비평가들은 만장일치로 그의 전시를 거부하고 그의 작품은 예술로 쳐주지 않았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유럽에서 다다이즘이라고 하는 거대한 운동이 일어나는데 이건 전통적인 가치를 전면부정하는 허무주의 예술사조입니다. 덕분에 전유예술이 탄력을 받아 나중에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앤디 워홀이나 로이 릭턴스타인같은 팝아티스트들이 등장해 기존창작물에서 본래의 의미를 지우고 소비자운동이라든지 여성인권과 같은 개념을 덧씌워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시킵니다. 


이 전유예술의 가장 극단적인 버전이 리차드 프린스의 작품들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는 남이 찍은 사진을 또 찍어서 멘트 하나 찍 날린 뒤 작품으로 완성시킵니다. 수백만달러에 판매가 되고 있는 중이네요. 프린스는1949년에 당시 미국령이었던 파나마에서 태어나 미국 메인주로 이주해 그곳에서 컬리지를 다녔어요. 예술에 관심을 갖고 야심차게 뉴욕에 도전해 보겠다고 결심하지만 초창기엔 온갖 잡일을 하며 고생을 많이 했죠. 


1973년에 잡지사 타임지에 입사한 그는 잡지에 광고가 실리면 광고사진을 찢어서 고객에게 광고가 실렸다는 증거로 보내곤 했어요. 그의 책상은 찢어진 광고쪼가리로 가득했죠. 그는 광고사진 몇 장을 사진으로 찍어서 그의 창작품으로 내놓기 시작했어요. 모델사진, 보석사진, 등 원사진작가들은 아랑곳 않고 자기 맘대로 남의 사진을 다시 스냅사진으로 찍어 원래 사진이 갖고 있는 광고의 의미를 제거해 버립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어요. “처음엔 남의 사진을 표절해서 손쉽게 새로운 사진을 만든다는 것이 진짜 파격적이었죠. 노출을 조절하고 렌즈를 통해 들여다 보고 버튼을 누르고 하는 것이 기존의 것이라곤 없는 완전 새로운 역사를 만드는 일 같았어요. 매주 저는 하나 발견하면 ‘오 저거 내꺼, 땡큐’ 이랬죠."     


남의 사진을 찍어 만드는 그의 작품이 아직 예술작품으로는 주목을 못받자 그 다음 10년 동안 그는 가난에 찌들어 살다가 필사적으로 떠야겠단 생각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됩니다. 종이에 연필로 그럴 듯한 농담을 써 놓고 만나는 사람들마다 ‘이거 10불에 살래?’ 물어보는 거예요. 예술은 상당부분 비평가들에 의해 좌지우지되는데 예술자체가 농담이라면 크게 생각하고 자시고 할 게 없다고 여긴거죠. 별로 독창적이지도 않은 농담을 종이나 캔버스에 완성시켜 퍼뜨리자 프린스의 ‘농담’이 연줄 있는 친구들 덕분에 약간은 이목도 끌게 됩니다.이렇게 조금씩 명성을 쌓던 그는 1980년대 후반에 전유사진예술로 예술계 뜨거운 감자가 됩니다.  


"한 번 뜨면 쭉 가는 거예요."


그의 첫 작품시리즈는 카우보이라는 주제의 작품으로 말보로 담배 광고사진을 다시 찍어 완성한 것입니다. (백이십만불에 판매됨)


프린스의 농담작품 중 하나인데 이런 작품 하나가 삼백만불에 팔렸다고 합니다.



오늘날 프린스는 아주 잘 나가는 현대예술가입니다. 엄청 부자죠. 작품 판매액이 어마무시...그런데 어떻게 그의 작품이 법적으로 하자가 없을 수가 있을까요? 윗 사진 왼쪽은 Cariou의 창작사진이고 오른쪽이 프린스가 재창작한 거예요(-.-). 2000년에 Cariou가 심혈을 기울여서 제작한 사진집을 8년 후 프린스가 서점에서 발견하고 맘에 든다며 약간 손 봐서 작품을 대거 내놓은 거죠. 전시회에는 비욘세, Jay Z, 톰 브래디, 로버트 드니로, 안젤리나 졸리, 브래드 피트 등 스타들이 참여했고 총판매액은 천만달러가 넘었어요. Cariou 본인은 일전도 못받았어요. 그런 작품에 대해 알지도 못했고요. 


프린스는, 자긴 그냥 저작권에 대해 암생각을 안 한답니다. 물어봐야겠단 생각이 안 난대요. 물어봐서 안된다고 해도 찍었을 거라고요. 일단 찍고 나서 나중에 문제제기하면 그 때 상대하지 뭐 이런 생각이래요. Cariou가 나중에 프린스를 저작권침해로 고소를 해요. 처음에 법원은 Cariou의 손을 들어줍니다. 근데 프린스가 항소하자 두번째엔 프린스에게 유리한 판결이 나왔어요. 이 법정케이스는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키는데 현대미술계쪽 사람들은 프린스의 입장을 지지했고 사진작가들은 Cariou를 지지했죠. 급기야 2013년, 법원은 프린스의 작품이 합당한 전유예술로서 충분히 재해석의 여지가 있다고 판결합니다. 당시 22가지 이미지에 대한 고소 중 대부분이 기각되고 법정 바깥에서 프린스는 Cariou와 적당히 합의를 보는데 결과적으로 프린스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했어요. 


2014년에 프린스는 아이폰을 휙휙 넘기면서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셀카사진들을 훑어 보며 맘에 드는 것이 있으면 ‘Don’t du anything. Just B Urself’이런 댓글도 달아주고 그걸 폰에 저장해 두었다가 나중에 또 작품으로 내어 놓습니다. 이제는 수정은 하나도 않고 사진을 커다랗게 확대해서 “New Portraits”라는 주제로 선보인 거죠. 이 작품들도 곧 전시되어 한 점당 구만달러에 판매됩니다. 허허허허허허...  



셀카주인공들 아무도 프린스를 고소하지 않고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이 프린스를 고소한 상태예요. Missy Suicide라고 불리는 인스타그램유저로 그녀는 자신의 사진을 찍은 프린스의 사진을 다시 찍어 팔기 시작했죠. 프린스 버전은 구만불인데 그녀는 겨우 90불에 판매했어요. 그리고 판매액 모두를 디지털 컨텐츠 권리를 위해 싸우는 비영리기관에 기부했어요.

리차드 프린스. 예술계의 스띠브 짭스인 듯. 



...............................................





1
  • 그녀의 정보력은 어디까지인가... 뤼야는 감탄할 뿐이다.


레이드
이런 것도 예술의 하나로 봐주어야 하나..는 그렇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해서 딱히 옹호하거나 하고 싶진 않네요. 얄미운 예술가입니다.
눈부심
어제까지만 해도 저것도 예술인갑다...했다가 오늘 아침 눈뜨고는 저게 무슨 예술이야!! 순 사기꾼이다!! 이러고 있는데 좀 지나면 예술인감....이럴 것 같아요. 일단 뻔뻔하기로는 최고봉이니까 나름 창의성이 있는 것 같기도 한데 그러면서 동시에 예술은 무슨 순사기꾼이네 이런 생각이 드네요. 아마 예술전문가분이 근사하게 예술이라고 하시면 호로록 넘어갈 듯해요. 이해를 하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peer pressure때문에요. 저거 이해 못하면 무식한 사람되는갑다 이런 거요. 그러면서 세상에 속는 것 같아서 엄청 화날 것 같아요. 갈피를 못잡겠어요 으아아악!
Beer Inside
마르쉘 뒤샹의 분수는 사인도 자기이름이 아니지요
가명으로 출품한 작품이 논란이 되자 자신의 작품이라고 밝혔지요

이 작품은 판화처럼 주문이 오면 변기를 구해서 사인을 한 후 판매한다고 하더군요
눈부심
무슨 아이디어든 먼저 하면 최고가 되는 건가 봐요. 심지어 그 아이디어를 카피하는 아이디어조차도! 프린스 이 사람 죽고 나면 꽤 상징적인 예술가로 남을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예술교과서에 나오고 말이죠. 그러면 세상사람들 모두 \'벌거벗은 임금님\' 칭송하고 살게 되는 건지 이것도 나름 의미가 있는 건지 으아아아아악!!
王天君
재미있네요. 리차드 프린스 이야기는 처음 들었어요.
눈부심
저는 일전에 지나치듯 뉴스로 봤는데 \'도동놈이네~\' 이러고 지나쳤거든요. 근데 이번 기사 보니까 엄청 유명한 사람이더라고요.
도대체 어찌 저리 개념없는 사람이 갑부예술가로서 승승장구할 수가 있죠.. 단지 제가 심히 무식할 뿐인가요. 뭔 세상이 이래! 예술이론을 좀 공부해야 할까요? 으아아아악!!!!
파란아게하
예술적으로 갖다 썼군용
눈부심
옛날 중세사람들이 잭슨 폴락의 작품을 봤다면 \'그림은 안 그리고 뭐 하는 놈이야\' 그러면서 마구 무시했을 것 아녜요. 저 잭슨 폴락 좋아하거든요. 이 사람도 일종의 잭슨 폴락인 걸까요? 흑. 아니 무슨 예술이 이따위람. 내 머리로는 도저히 그 예술의 심연을 \'그립\'할 수조차 없단 말인가. 으아아아아악!!
돌고드름
저 인스타그램 사진 당사자들은 열불 뻗치겠네요. 크

첨단에 위치한 담론이라고 해야하나요. 이런 것들은 하나같이 도발적이고 뭔가 골치아픈 질문을 던져주는 것 같아요. \'아직 인류에게는 이르다\'라는 느낌이랄까요. 물론 저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없으면 변화도 없겠죠. 그게 바람직하냐 아니냐는 또 다른 문제겠지만요.
눈부심
누가 저의 셀피를 가져가서 선명하게 확대 해 1억에 판다라... 이거 느낌이 묘해요. 제가 팔려면 아무도 사지도 않을 물건인데 누가 내 사진을 1억에 사갔다라... 이거 나쁘지는 않은 거 있죠.
흠마... 사기꾼에 호감생기면 안되는데.. 안돼애애애!
April_fool
퉁퉁이 마인드인가…
눈부심
저 놈 도둑놈이라고 댓글 줄줄이 달리면 같이 화날 것 같은데 새로운 예술사조라고 줄줄이 댓글 달리면 넹.... 이러고 잠잠할 것 같아요. 제가요 킁.
줏대없어 큰일이라는.. ...악!
재미있는 게시글 잘 봤습니다. 통속예술이 고급예술을 가장할 때 우리는 그것을 [키치]라고 부르고, 고급예술이 통속예술을 모방할 때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부르죠. 포스트모더니즘이 가치의 상대화와 평준화, 진리의 다원성, 문명의 자의성등을 말함에 따라 언뜻 보기엔 도둑놈(?)짓인 것 같아도 이러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행위 자체의 예술성을 높이 평가받아 비싼 가격으로 팔린다고 알고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예술에 대한 지적이고 진지한 탐구를 야유하는데... 더 보기
재미있는 게시글 잘 봤습니다. 통속예술이 고급예술을 가장할 때 우리는 그것을 [키치]라고 부르고, 고급예술이 통속예술을 모방할 때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부르죠. 포스트모더니즘이 가치의 상대화와 평준화, 진리의 다원성, 문명의 자의성등을 말함에 따라 언뜻 보기엔 도둑놈(?)짓인 것 같아도 이러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행위 자체의 예술성을 높이 평가받아 비싼 가격으로 팔린다고 알고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예술에 대한 지적이고 진지한 탐구를 야유하는데 거리낌이 없지요. 이건 형이상학으로 무장한 고전적인 예술 또는 고급예술에 대한 궁극적인 승리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을 표방하는 예술 자체가 아주 첨예한 해석의 칼날이 작용할 때만 유효하고 아니면 쓰레기라는 사실은 아니러니지요.

춫천드립니다.
눈부심
오......[포스트모더니즘을 표방하는 예술 자체가 아주 첨예한 해석의 칼날이 작용할 때만 유효하고 아니면 쓰레기] 이 한마디로 현대미술이 이해가 되려고 해요. 기똥참...
라이카
창의적으로 뻔뻔하네요. 창의성에 점수를 더해야 할지 뻔뻔함에 점수를 깎아야 할지... 그 경계를 건드린다는 점에서 예술로 어느 정도는 인정받는 걸까요? 그러니 저 돈을 받고 팔리는 건가 싶기도 하다가도 기막힌 뻔뻔함이 나 원 참... 싶기도 하고. 뭐 기술적으로 손쉬운 복제와 도용이 가능한 시대라 저 사람이 아니더라도 누군가 언젠가는 시작했을 짓이긴 한 거 같아요. 모든 것이 복사 붙여넣기 가능한 시대에 오리지널리티에 대한 의문을 표현.. 운운만 해도 얼핏 보기엔 대충 그럴싸해지겠지요? sf만 좀 봐도 이미 식상하다고 여길 사람도 ... 더 보기
창의적으로 뻔뻔하네요. 창의성에 점수를 더해야 할지 뻔뻔함에 점수를 깎아야 할지... 그 경계를 건드린다는 점에서 예술로 어느 정도는 인정받는 걸까요? 그러니 저 돈을 받고 팔리는 건가 싶기도 하다가도 기막힌 뻔뻔함이 나 원 참... 싶기도 하고. 뭐 기술적으로 손쉬운 복제와 도용이 가능한 시대라 저 사람이 아니더라도 누군가 언젠가는 시작했을 짓이긴 한 거 같아요. 모든 것이 복사 붙여넣기 가능한 시대에 오리지널리티에 대한 의문을 표현.. 운운만 해도 얼핏 보기엔 대충 그럴싸해지겠지요? sf만 좀 봐도 이미 식상하다고 여길 사람도 있겠지만요...

스스로는 본인을 예술가라고 진지하게 생각할지, 아님 겉으론 그런 척하면서 맘 속 깊은 곳에선 낄낄대며 이런 걸 예술이라고 비싸게 주고 사가는 우매한 바보들~ 돈 벌기 참 쉽죠잉~ 그럴지 문득 궁금해지네요. 그게 이것이 예술이냐 아니냐하고는 결국 무관하겠지만요. 재밌는 글 항상 감사드려요.
눈부심
프린스는 너무 뻔뻔하기 그지 없어서 비록 그의 작품이 수백만달러에 판매된다고 해도 예술가로 쳐주고 싶지 않으면 개인인 우리로서는 마음껏 비토해도 된다고 생각해요. 실제 예술의 예자도 모르는 어떤 얼치기가 앤디 워홀 스타일의 허접한 작품을 개당 몇 만불씩 판매한 일이 있고 그걸 다큐로 담아낸 것이 \'Exit Through The Gift Shop\'이에요. 이 다큐 상당히 재밌는데 언제 시간 많이 나면 써보겠습니다^^.
은때까치
창의적.........인가요?
이해를 포기하렵니다....
눈부심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세계유명예술작품프린트에 프린스가 가가멜처럼 탐욕스런 표정을 하고 있는 사진을 마구 합성해서 붙여놓고 그냥 작품이라고 내놓는 거죠. 프린스를 조롱하는 것이 목적. 예술이 굉장히 재밌어지는 경우는 정말 많은데요. 최근에 Art Basel이라는 무대아트쇼가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렸어요. 거기에서 칼부림이 나서 어떤 여자분이 피를 철철 흘리고 있었는데 사람들은 그것도 일종의 무대예술? 행위예술? 인 걸로 착각한 거예요. 심지어 경찰이 와서 노란테이프로 둘러쳐놓기까지 했는데 그것조차 예술인 줄로 착각한 사람이 있었다고 ... 더 보기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세계유명예술작품프린트에 프린스가 가가멜처럼 탐욕스런 표정을 하고 있는 사진을 마구 합성해서 붙여놓고 그냥 작품이라고 내놓는 거죠. 프린스를 조롱하는 것이 목적. 예술이 굉장히 재밌어지는 경우는 정말 많은데요. 최근에 Art Basel이라는 무대아트쇼가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렸어요. 거기에서 칼부림이 나서 어떤 여자분이 피를 철철 흘리고 있었는데 사람들은 그것도 일종의 무대예술? 행위예술? 인 걸로 착각한 거예요. 심지어 경찰이 와서 노란테이프로 둘러쳐놓기까지 했는데 그것조차 예술인 줄로 착각한 사람이 있었다고 해요. 그리고 어떤 전시회에서는, 여성이 음부를 내놓고 편하게 누워있는 주제의 유화였던가 그런 제법 클래식한 그림 앞에 어떤 행위예술가여성이 와서 그림 앞에 털썩 주저앉아 자신의 아래를 확 오픈한 채 앉아 있었어요. 이 분은 경찰이 와서 바로 끌고 나갔어요. 우주 다른 곳에 고도의 지능을 가진 생물이 또 산다면 그네들은 어떤 차원의 예술을 할 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90 문화/예술선우훈 비평 비평 25 당근매니아 16/07/29 13940 8
3357 문화/예술부산행 잡담 & 단상. 6 애패는 엄마 16/07/26 4202 0
3049 문화/예술공각기동대 ARISE 1 당근매니아 16/06/17 3728 0
3027 문화/예술돌멩이를 모으는 남자 26 Toby 16/06/15 9128 18
3012 문화/예술기돈 크레머 & 뤼카 드바르그 리사이틀 보고 왔습니다. 5 Darwin4078 16/06/13 5240 0
3007 문화/예술'월말인데 돈이 없다. 돈을 벌어야겠다.' 22 당근매니아 16/06/12 5929 1
2824 문화/예술한국법원은 현대미술을 이해할까? 115 Beer Inside 16/05/17 8293 4
2814 문화/예술용어의 한국어화에 대해서 21 하늘밑푸른초원 16/05/15 5620 1
2792 문화/예술꾸물거리다 이제 본 시빌워 이야기 (스포 있음) 1 Leeka 16/05/13 4306 0
2762 문화/예술[본격홍보]홍차넷 회원 여러분, 사진공모전 진행중이에요 3 난커피가더좋아 16/05/09 4714 0
2756 문화/예술[웹툰 추천] 아만자 8 Toby 16/05/06 10419 0
2692 문화/예술옛 그리스 항아리 2 - 아이아스의 죽음 10 Moira 16/04/26 8761 12
2682 문화/예술옛 그리스 항아리 27 Moira 16/04/24 12127 9
2601 문화/예술내가 프롬소프트웨어의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 6 커피최고 16/04/13 7823 1
2563 문화/예술곽부찡 vs 카일로 렌찡(스포 주의) 5 구밀복검 16/04/07 4785 0
2552 문화/예술[스포일러]슈퍼맨 vs 배트맨, 욕해도 되는 영화. 35 barable 16/04/05 7058 8
2318 문화/예술유럽의 자전거 스쿨버스 1 커피최고 16/02/29 4786 2
2299 문화/예술연극 <터미널> 6 마르코폴로 16/02/25 5939 4
2246 문화/예술게임계의 절대적인 상징, 슈퍼마리오 6 커피최고 16/02/18 8335 5
2222 문화/예술드래곤볼의 획기적인 컷(프레임) 연출 22 커피최고 16/02/14 54894 19
2179 문화/예술[웹툰 추천] D.P 개의 날 24 Toby 16/02/05 30577 0
2007 문화/예술오늘 <육룡이나르샤>를 보고 17 하늘밑푸른초원 16/01/12 5630 0
1962 문화/예술바우터 하멜(Wouter Hamel) 내한공연 후기 9 Top 16/01/06 5623 0
1844 문화/예술텍사스 홀덤 19화가 업로드 되었습니다. 6 Toby 15/12/22 6341 1
1712 문화/예술니 꺼는 내 꺼, 땡큐 18 눈부심 15/12/05 11535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