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2/17 14:30:50 |
Name | 눈부심 |
Subject | 구글은 우릴 멍청이로 만드나 |
출처 : http://www.theatlantic.com/magazine/archive/2008/07/is-google-making-us-stupid/306868/ http://www.wired.com/2007/09/st-thompson-3/ 첫번째 기사가 아주 훌륭합니다. 어쩜 저런 글을 쓸 수 있는지.. 번역 아니고 요약 및 소고예요. 인터넷이 도래하기 전 종이활자를 접하고 살던 우리는 끈기있게 페이지를 하나씩 넘기며 꽤 긴 소설을 소화하곤 했어요. 방대한 정보가 필요하면 도서관에 죽치고 앉아 수십권의 참고서를 들여다보며 엄청난 시간을 할애해 필요한 정보의 팩트확인까지 완성할 수 있었죠. 지금은 구글 덕분에 몇 분만에 웬만한 지식을 확보할 수 있어요. 인터넷이란 건 고객의 구미에 맞게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가장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그 편리함에 편승한 우리는 내가 굳이 기억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언제든 검색이 가능한 정보의 바다 인터넷 덕에 네트워크에서 혈기왕성하게 블로그며 SNS에서 더욱 세련된 글을 폭포수같이 쏟아냅니다. 넷상에 몸담고 있는 이상은 언제든 접근가능한 지식창고를 등에 업고 스스로 꽤나 해박한 식자인 듯 으쓱해하기도 합니다. 열성적으로 글을 쏟아내던 나라는 당사자가 스스로가 한 말까지 새까맣게 잊어버려도 검색으로 암흑 속의 기억을 불러내면 무언가에 정통하던 해박한 식자도 다시 살아납니다. 이렇듯 두뇌의 노역을 내려놓고 편리한 접근성에 의존하다보니 종이활자시절에 길고도 긴 산문을 감당하며 꽤나 깊은 사색을 불편해하지 않던 우리의 모습이 사라져가는 것만 같습니다. 아니 그런 상실감을 느끼는 이들이 있다고 합니다. 하나를 검색해도 엄청난 양의 정보가 넘쳐나고 링크의 링크를 따라 네트워크를 무한히 헤엄쳐 다니는 우리는 찰나성으로 훌륭한 상품임을 증명하는 정보가 재단하는대로 사고를 하게 됩니다. 눈을 사로잡는 제목, 군더더기없이 간결한 기사들, 오로지 최대한 손쉽게 전달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는 정보들 사이에서 마치 기계가 순식간에 해독할수록 탁월한 기능을 자랑하듯 우리도 효율적으로 스캐닝하는 것에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글이든 문단이 많다 싶으면 쉽게 피로를 느끼고 손가락은 성급하게 링크를 타고 집중하던 것에서 달아나려고 합니다. 기사를 읽다가 팟캐스트를 듣다가 동영상을 보다가 다른 창으로 순식간에 이동을 했다가 하죠. 이런 속도와 과잉의 환경에 익숙해져 더 이상 독서가 옛날만큼 되지 않는 분들이 여기에도 혹시 계시나요? 저는 두꺼운 책 읽을 때면 늘상 눈은 글자를 따라가는데 정신은 딴 데 가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인터넷을 많이 하다가 더 이상 책을 손에서 놓게 된 것인지 원래 책을 즐겨 읽지 않은 것인지 잘 모르겠어요.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 완역판은 정말 손이 가지 않는군요. 이거 완독하려면 한 5년 걸릴 듯;; 인간이 시계를 발명한 이후 우리몸도 시계침에 맞춰져 생물학적으로 고정이 되었어요. 이제는 인터넷이 우리의 인지능력도 바꿀 참인 모양입니다. 제가 첫기사를 읽고 재미있어서 야심차게 이 게시물을 시작했는데 읽은 기사내용이 생각이 안 나서 이어가질 못하겠네요 -.- 생각해보니 이게 인터넷활자중독의 단점인 것 같아요. 두꺼운 책을 읽는 동안에는 내용을 기억하고 있지 않으면 다시 찾아보기가 힘들기 때문에 꽤 집중하며 많은 것을 뇌 속에 저장해두려고 할 것이란 말이죠. 저는 인터넷하면서 기억해두려고 노력하는 법이 없어요. 마음에 드는 기사가 있으면 링크를 카피해 두는 것이 다예요. 홀... 기사를 다 읽고 나서는 글쓴이의 염려에도 불구하고 저는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인터넷의 장점이 모든 것을 압도한다고 찬양해마지 않았는데 넷을 떠나 있으면 저는 바보나 다름없는 것 같기도 해요. 옹... P.S. 기사 첫문단에 스탠리 큐브릭의 < 2001 : A Space Odyssey >라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수퍼컴퓨터 HAL의 대사가 나오길래 너무너무 궁금해서 오늘 그 영화 봤어요. 우와!!! 1960년대에 그런 세련된 영화를 만들다니. 관객을 놀래켜주겠다는 욕심에 사로잡혀 있는 요즘 헐리우드영화랑 비교되면서 긴 소설책 읽는 기분이었어요. 이건 반드시 봐야 할 필생의 영화예요!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기사에 나온 시계의 발명이 인간에 초래한 영향 같은 건 한번도 생각지 못한 부분이었어요. 그러고보니 저는 하루종일 시계의 노예로 사는 것 같은 거예요. 문득 최근에 캠핑갔을 때가 생각났어요. 시계를 확인할 일이 전혀 없었죠. 목적지가 딱히 있었던 것도 아니고 바쁠 일이 전혀 없었거든요. 어둠이 밀려오는데 초저녁인지 한밤 중인지 구분이 안 갔지만 전혀 염려할 일이 아니었어요. 너무 어둡고 딱히 할 일이 없으니 아무렇지 않게 일찍 잤어요. 시계를 들여다보지 않고 산다는 건 야생에서나 가능한 일이지만 그만큼 사치스런 자유이기도 한 것 같아요. 태곳적 사람들은 시계가 없이도 본능적으로 태양을 읽으며 살았을 거예요. 그 야성과 직관이 상상이 되면서 제가 언젠가 올린 적 있는 침팬지의 포토그래픽기억능력이 생각나더라고요. 분명 우리가 잃은 것이 있는데 하도 오래 전의 일이라 자각하지 못하는 걸 거예요.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하ㅏ하ㅏ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ㅏ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ㅏ하하하하하하하
즐거운 홍차넷 생활에 도움 된 것 같아 기쁘네요
즐거운 홍차넷 생활에 도움 된 것 같아 기쁘네요
노예경제의 효율성은 둘째치고 나중에는 노예와 주인의 관계가 역전된다는 게 제일 두렵죠.
노예의 생각이 그럴싸한데 구태여 내 머리를 굴릴 일이 점점 없어지다보면, 나중에는 내 생각이 아예 없어져버린다는것!
문제는 이러한 과정에서 어떤 위협도 받지않고, 정보와 사고의 경계가 흐릿해지면 오히려 쾌락은 더 강력해집니다.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다는 비평가적 쾌락을 인터넷에서 발견하는 일은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죠.
이 문제에 대해서는 사사키 아타루가 [잘라라 기도하는 두 손을]... 더 보기
노예의 생각이 그럴싸한데 구태여 내 머리를 굴릴 일이 점점 없어지다보면, 나중에는 내 생각이 아예 없어져버린다는것!
문제는 이러한 과정에서 어떤 위협도 받지않고, 정보와 사고의 경계가 흐릿해지면 오히려 쾌락은 더 강력해집니다.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다는 비평가적 쾌락을 인터넷에서 발견하는 일은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죠.
이 문제에 대해서는 사사키 아타루가 [잘라라 기도하는 두 손을]... 더 보기
노예경제의 효율성은 둘째치고 나중에는 노예와 주인의 관계가 역전된다는 게 제일 두렵죠.
노예의 생각이 그럴싸한데 구태여 내 머리를 굴릴 일이 점점 없어지다보면, 나중에는 내 생각이 아예 없어져버린다는것!
문제는 이러한 과정에서 어떤 위협도 받지않고, 정보와 사고의 경계가 흐릿해지면 오히려 쾌락은 더 강력해집니다.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다는 비평가적 쾌락을 인터넷에서 발견하는 일은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죠.
이 문제에 대해서는 사사키 아타루가 [잘라라 기도하는 두 손을]에서 이야길 한 적이 있는데, 하이데거의 [정보를 모으는 일은 명령을 모으는 일이다]라는 말에서 한발 더 나아가, 들뢰즈의 저 유명한 [타락한 정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정보 자체가 타락한 것이다]라는 말과 같은 맥락의 논지를 펼치지요. 즉,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다는 환상을 버라라고, 이것은 아주 나쁜 知의 모습이라고요. 어리석어 지라고요. 저도 사사키 아타루의 논지에 동의합니다. 너무나 빈약하고 나약한 선택지라 저는 그 쾌락이 아무리 강력하다고 해도 귀족이 되고 싶은 마음이 없어요. 노예가 되어가는 것도 모를테고 의심만 많아져 더 많는 노예를 거느리는 데만 신경을 쓰게 되겠죠. 모든 정보의 가치를 차단하고, 어리석게 사는 것이 제가 선택한 삶의 모습입니다. 그래서 익명으로 드러난 누군가의 명령을 차단하는 것이 저한테는 매우 중요했어요. [자신이 정말 옳은지에 대한 확신이 없음]이야말로 운동선수가 경기에 앞서 근육을 키우듯이 뇌가 스스로 일하도록 만드는 주문이니까요.
그나저나 재치있는 레토릭때문에 오늘은 어떤 글을 남기셨을까 항상 두리번거리게 되네요. 흐흐흐
노예의 생각이 그럴싸한데 구태여 내 머리를 굴릴 일이 점점 없어지다보면, 나중에는 내 생각이 아예 없어져버린다는것!
문제는 이러한 과정에서 어떤 위협도 받지않고, 정보와 사고의 경계가 흐릿해지면 오히려 쾌락은 더 강력해집니다.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다는 비평가적 쾌락을 인터넷에서 발견하는 일은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죠.
이 문제에 대해서는 사사키 아타루가 [잘라라 기도하는 두 손을]에서 이야길 한 적이 있는데, 하이데거의 [정보를 모으는 일은 명령을 모으는 일이다]라는 말에서 한발 더 나아가, 들뢰즈의 저 유명한 [타락한 정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정보 자체가 타락한 것이다]라는 말과 같은 맥락의 논지를 펼치지요. 즉, \'모든 것\'에 대해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다는 환상을 버라라고, 이것은 아주 나쁜 知의 모습이라고요. 어리석어 지라고요. 저도 사사키 아타루의 논지에 동의합니다. 너무나 빈약하고 나약한 선택지라 저는 그 쾌락이 아무리 강력하다고 해도 귀족이 되고 싶은 마음이 없어요. 노예가 되어가는 것도 모를테고 의심만 많아져 더 많는 노예를 거느리는 데만 신경을 쓰게 되겠죠. 모든 정보의 가치를 차단하고, 어리석게 사는 것이 제가 선택한 삶의 모습입니다. 그래서 익명으로 드러난 누군가의 명령을 차단하는 것이 저한테는 매우 중요했어요. [자신이 정말 옳은지에 대한 확신이 없음]이야말로 운동선수가 경기에 앞서 근육을 키우듯이 뇌가 스스로 일하도록 만드는 주문이니까요.
그나저나 재치있는 레토릭때문에 오늘은 어떤 글을 남기셨을까 항상 두리번거리게 되네요. 흐흐흐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 첫 장면은 여기저기서 오마쥬가 많이 된 장면중에 하나예요. 그리고 영화에 나오는 우주에서의 움직임 같은건 정말로 큐브릭 감독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장면이예요. 그 영화가 나온게 1968년이고 유리 가가린이 처음으로 지구 궤도로 올라갔던게 겨우 1961년이었는데 말이예요. 유리 가가린이 이 영화를 봤으면 어떤 생각을 했을까라는 생각도 잠깐 드네요.
글자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아마 통채로 외우는게 중요한 능력중에 하나였을꺼고, 글자가 발명된 후에는 읽는다는게 중요한 능력이었겠죠. 그리고 활자가 ... 더 보기
글자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아마 통채로 외우는게 중요한 능력중에 하나였을꺼고, 글자가 발명된 후에는 읽는다는게 중요한 능력이었겠죠. 그리고 활자가 ... 더 보기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 첫 장면은 여기저기서 오마쥬가 많이 된 장면중에 하나예요. 그리고 영화에 나오는 우주에서의 움직임 같은건 정말로 큐브릭 감독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장면이예요. 그 영화가 나온게 1968년이고 유리 가가린이 처음으로 지구 궤도로 올라갔던게 겨우 1961년이었는데 말이예요. 유리 가가린이 이 영화를 봤으면 어떤 생각을 했을까라는 생각도 잠깐 드네요.
글자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아마 통채로 외우는게 중요한 능력중에 하나였을꺼고, 글자가 발명된 후에는 읽는다는게 중요한 능력이었겠죠. 그리고 활자가 발명되기 전, 책이 얼마 없던 시절에는 선생님이 읽어주는 책을 받아적어서 자신의 책을 만드는게 학교에서 하던 중요한 일 중에 하나였다고 해요. 그리고 그 책을 외울만큼 읽는게 중요하고. 활자의 발명과 책이 대량으로 생산된 다음에는, 다독을 하는 것과 책의 어느 부분에 무슨 내용이 있었는가를 기억하는 능력이 중요해졌겠죠. 이제는 검색하는 능력과 검색한 자료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판단하고, 흩어져 있는 자료를 하나로 모으는 능력이 더 중요한 시기로 들어가는듯 싶습니다.
글자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아마 통채로 외우는게 중요한 능력중에 하나였을꺼고, 글자가 발명된 후에는 읽는다는게 중요한 능력이었겠죠. 그리고 활자가 발명되기 전, 책이 얼마 없던 시절에는 선생님이 읽어주는 책을 받아적어서 자신의 책을 만드는게 학교에서 하던 중요한 일 중에 하나였다고 해요. 그리고 그 책을 외울만큼 읽는게 중요하고. 활자의 발명과 책이 대량으로 생산된 다음에는, 다독을 하는 것과 책의 어느 부분에 무슨 내용이 있었는가를 기억하는 능력이 중요해졌겠죠. 이제는 검색하는 능력과 검색한 자료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판단하고, 흩어져 있는 자료를 하나로 모으는 능력이 더 중요한 시기로 들어가는듯 싶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