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04 05:06:32
Name   삼공파일
Subject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3
  • 문학 좋아요 >_
  • 춫천


마르코폴로
글도 묘하게 순해진 느낌입니다. 흐흐흐
삼공파일
방학이 너무 무료해서 자발적으로 하는 방학숙제 같은 글이에요. 아무래도 날카로움이 묻어나올 수는 없죠.
마르코폴로
그냥 순해진 것 아닌가요??? 에이징....
삼공파일
耳順인가요? 정신이 빠르게 늙는중...
카레 먹는데 왜 똥 얘기를 하고 그래요.
삼공파일
다들 똥을 입에 가득 물고 "아... 카레란 이토록 심오한 것인가" 고민하고 있길래 "이걸 드셔 보세요"하고 추천하는 거에요.
은머리
<채식주의자>가 글케나 똥이에요?
삼공파일
글에 설명한 것처럼 문학을 좀 아는 사람들은 <채식주의자>가 가장 많이 읽히고 한국을 대표하는 문학이 된 것에 대해 안타까워하는 분위기인 것 같아요. 제가 똥이다 카레다 얘기할 레벨은 아니니 팟저님에게 그 부분은 터치할께요. 저는 <안녕 주정뱅이>도 베스트셀러가 됐으면 좋겠어요.
반기문 씨가 유엔 사무총장을 십년 연임까지 했으니 우린 그가 해외에서도 통하며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엘리트라고 막연하게 생각했잖아요. 물론 아니라는 걸 알고 있었던 사람들도 있었지만요. 반이 이번에 출마하려 하지만 않았어도 아마 그런 좋은 이미지로 (기만적으로) 끝까지 남았겠죠. 웬만한 사람들은 반을 직접 보고서도 그가 가진 후광 때문에 그 기만성을 간파하기 어려웠을 거 같아요. 채식주의자도 비슷한 느낌이에요.
삼공파일
불쌍한 채식주의자... 이젠 반기문과 비교되네요. (묵념)
알료사
좋은 소설의 기준 중에서 제일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이 내가 아는 이야기를 하느냐, 내가 관심있는 이야기를 하느냐, 내가 알아듣게 이야기를 하느냐 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2007년 so1스타리그를 시작으로 스덕에 입문해서 나름 개인리그 프로리그 한경기도 안빼놓고 다 챙겨봤습니다. 그러다가 2009년 즈음해서 스갤을 알게 됐어요. 그런데 2년동안 스타에 미쳐있었던 제가 스갤에서 하는 말들을 하나도 못 알아듣겠더라는 겁니다. 분명 스타 얘기를 하는거 같기는 한데 무슨 외국어라도 쓰는거 같았어요. 그런데 분명한건 쟤네... 더 보기
좋은 소설의 기준 중에서 제일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이 내가 아는 이야기를 하느냐, 내가 관심있는 이야기를 하느냐, 내가 알아듣게 이야기를 하느냐 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2007년 so1스타리그를 시작으로 스덕에 입문해서 나름 개인리그 프로리그 한경기도 안빼놓고 다 챙겨봤습니다. 그러다가 2009년 즈음해서 스갤을 알게 됐어요. 그런데 2년동안 스타에 미쳐있었던 제가 스갤에서 하는 말들을 하나도 못 알아듣겠더라는 겁니다. 분명 스타 얘기를 하는거 같기는 한데 무슨 외국어라도 쓰는거 같았어요. 그런데 분명한건 쟤네들이 이야기하고 있는건 내가 빠져있는 그 세계의 이야기이고 그 세계의 사건들을 소재로 떠들썩하고 흥겹게 놀고 있다는 점이었어요. 같이 어울리고 싶다는 욕구를 참을 수 없었습니다. 말 그대로 닥치고 눈팅 삼개월을 했더니 저는 너무도 자연스럽게 그들과 동화되었어요. 가끔씩 스갤 용어 해설집 이라는 글이 올라왔는데 저는 아니 이런걸 다 일일히 설명할 필요가 있나? 하고 느꼈습니다. 몇달 전까지만 해도 저 자신이 알아듣지 못했던 표현들에 대해서요.

그렇게 디시에 들어서게 된 저는 점차 다른 갤러리들도 기웃거리기 시작했어요. 고전게임,헬스,도서,영화,아르바이트,연애상담.. 각 갤러리마다 마치 다른 커뮤니티인 마냥 분위기가 전부 다르고 사용하는 '언어'도 달랐습니다. 최근에는 너의 이름을 감명깊게 봐서 너의이름은 갤러리에 들어가 봤는데 역시 처음에는 무슨 얘기 하는지 못알아듣겠더라구요.

소설의 이해라는 것도 약간은 그런 성격이 있는거 같습니다. 소설가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 계속 글로만 자신이 하고픈 이야기를 써 나가다 보면 약간은 그 세계에서 말하는 방식이 따로 생기는거 아닌가 싶어요.

스갤에 처음 들어설 당시의 제가 스타를 모르는 사람이 아니었듯이, 맨부커상 소식을 듣고 한강이라는 작가를 채식주의자로 처음 접하는 독자들이 한강이 이야기하는 주제에 대해 모르는 사람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주 평범하고 누구나 거기에 대해서 어떤 의견이나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이야기에요. 물론 공감가지 않는 부분은 있겠죠. 같은 스갤에서도 택빠와 뱅빠가 싸우고 테란이 사기다 아니다 싸우듯이. 채식주의자를 읽고 이게 무슨 소리야? 라는 기분이 드는 분들은 제가 처음 스갤에 들어갔을 때 얘네들 한국말 쓰는거 맞나 ? 하는 기분을 느낀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하생활자의 수기라는 소설을 한 십년 전에 제목만 보고 샀는데 그때는 도스토예프스키라는 사람이 누군지도 모르고 실존주의가 뭔지도 몰랐습니다. 책을 읽어도 이게 무슨 말인지 도무지 모르겠더라구요. 어렵고 말고가 아니라 아예 왜 이런 말을 하는지 이런 걸 뭐하자고 썼는지 이해가 안됐어요. 한 칠년 후 저는 그 소설을 배꼽 잡고 웃으며 읽고 있었습니다. 제가 실존주의를 이해하게 되어서가 아니었어요. 그냥 그 책이 어떤 식으로 말을 하고 있는지에 적응이 되었을 뿐입니다. 스갤 닥눈삼 한다음에 재미나게 스갤질을 하게 된 것처럼요.

저는 개인적으로 <문학적 소양>이라는 말을 싫어하는데, 철학이나 정치나 기타 학문적인 분야는 체계적이든 주먹구구식이든 어떻게든 공부가 필요한 반면에 소설읽기는 유희라는 성격이 강하다고 생각해서요. 한마디로 '재미있는 구라치기' 를 듣는 겁니다. 누가누가 나를 심심하지 않게 썰을 잘 풀어 주나 찾는 놀이가 소설읽기라고 생각하는 거에요. 스갤에서 개드립 잘치고 짤방 잘 만드는 사람에게 '스타크래프트 소양이 높다' 라고 표현하지 않잖아요.?

다만 이것은 소설이라는 매체를 소비하는 입장에서 그런 거고 평론의 영역으로 넘어가면 거기서부터는 확실히 차이가 나겠죠. 폭풍의 언덕을 감명 깊게 읽는건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에밀리 브론테의 문학세계에 대해 말하는건 사람마다 정말로 수준차이가 날테니까요.

혼자서 할 수 있는 트럼프 게임이 몇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중 '피라미드'라는 게임이 있습니다. 맨 위에 한 장의 카드를 깔고 그 아래 두 장의 카드를 반쯤 포개 올려놓고 그 아래 세 장을 올리고... 해서 맨 아래 열세 장인가의 카드가 깔려요. 그런 다음에 두 카드의 합이 13이 되는 쌍을 제거해 나가는 게임입니다. 약간은 헌티드 맨션 비슷하기도 하네요. 이게 어떤 카드가 처음에는 제거가 안되다가 다른 카드부터 제거해 나가다 보면 결국은 모든 카드가 다 제거가 됩니다. 근데 이게 나중에 제거되는 카드의 제거조건이 먼저 제거되는 카드의 제거조건보다 난이도가 높은게 아닙니다. 그저 우연히 어느 카드가 어느 위치에 깔려 있었느냐의 차이 뿐이에요.

사람마다 살아온 과정이 전부 다르고 경험의 종류도 순서도 다 다릅니다. 또 같은 경험을 해도 느끼는게 다 다르고요. 저는 이십대 중반까지 오만과 편견을 이해하지 못했고 이해하고 싶지도 않았습니다. 시시한 이야기라고 생각했어요. 나중에 여자사람들 속에서 이런저런 사귐을 경험하고 난 뒤에 읽은 오만과 편견은 엄지척! 이었지요. 고시원에서 폐인생활을 한 후 라스콜리니코프를 이해했고 아버지가 길에서 쓰러져 돌아가신 후 마르멜라도프를 이해했습니다. 한 사람에게 어떤 소설이 어느 시기에 어떻게 다가오느냐는 사람마다 전부 다를겁니다. 다만 약간 아래 깔려 있어서 조건만 충족되면 바로 제거할 수 있는 카드와 같은 소설이 있고 다른 카드를 먼저 제거한 이후에 제거할 수 있는 카드 같은 소설도 있는거 같아요. 또 스갤 닥눈삼 같은 시간을 보낸 후에 읽히는 소설도 있구요. 안녕 주정뱅이는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술에 대한 이야기라면 먼저 제거할 수 있는 카드 같은 소설이 아닌가 싶습니다. 삼공파일님께서 <채식주의자 대신 구원투수로>라고 표현하신건 아마 그런 의미가 아닐까 생각해요. 한 소설이 우연한 계기로 어떤 사람의 마음 속을 헤집어놓고 나면, 그 사람은 스갤에서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면서도 그곳이 너무 재미있어 보여 어떻게든 어울려 보고 싶어 미치겠는 사람과 비슷한 처지에 처합니다. 한번 받은 감동을 또 느끼고 싶어서 무슨 말인지 모르는 거 같은 수많은 소설들 속을 찾아 헤매요. 그런 시간들이 자연스럽게 닥눈삼을 충족시키기도 하고 자신의 인생 경험 톱니바퀴와 맞아떨어지는 소설을 한권 두권 만나다 보면 트럼프 카드가 한쌍 한쌍 제거되는 것과 같이 처음에는 안 읽혔던 소설도 나중에는 눈물범벅으로 만들기도 하고 현웃 터지며 읽기도 하고 그렇게 변하는거 같아요.
2
삼공파일
본문보다 긴 댓글 분량에 놀라고, 스갤에서 도스토예프스키까지 넘나드는 자기 성찰이라니 내용에 두 번 놀랍니다. 채식주의자는 전체적으로 난해한 느낌을 주는 단편집인데 알맹이는 별로 없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받고 있는 것 같아요. 채식주의자에 대한 비평글을 보면 수준 높은 텍스트를 보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았는데 그렇다고 저는 채식주의자를 똥이나 반기문에 비유할 정도로 미워하는 건 아니에요. 아직 스갤 용어집이 필요한 뉴비 정도 밖에 안돼서... 여튼 한 번 읽어보세요. 재밌는 소설이에요.
채식주의자가 머가 난해하죠...?
삼공파일
표지가...? 음... 글쎄요.
알료사
난해하다기보다는.. '아니 도대체 왜 이딴걸 이렇게 진지하고 심각하게 얘기하는거지' 라고 느껴질만한 부분이 있는거 같아요. 그런데 상은 받았고 사람들은 많이 읽고 나도 읽어서 그런 시류에 좀 탑승하고 싶은데 저런 부분이 답답하니까 읽기가 싫어지고, 그러면 나오는 말이 '난해하다'가 아닌가... 라고 추측합니다.. ㅋ
알료사
채식주의자는 상을 받아서 오히려 억울한 처지가 된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영호 이제동 김택용 놔두고 염보성이 올해의 프로게머상을 받으면 욕을 엄청 먹겠죠. 그렇다고 염보성이 전체 프로게이머 중에서 낮은 레벨이 아닌 것과 비슷하다고 봅니다. 안녕 주정뱅이는 안그래도 읽어야 할 목록에 있었는데 순번을 좀 당겨야겠네요 ㅎ
1
파란아게하
댓글 춫천박고 갑니다
파란아게하
잘 읽고 갑니다.
춫천
글은 안녕 주정뱅이 이야기인데, 댓글은 온통 채식주의자 얘기 ㅋㅋ
수성펜
제가 보니까 홍차넷은 문학글이 제일 핫함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6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47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18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0 dolmusa 25/04/25 592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41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05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0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76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0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79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1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4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40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5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5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85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0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31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1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7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3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3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8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1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6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