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05/15 23:26:37
Name   joel
Subject   축구로 숫자놀음을 할 수 있을까? 첫번째 생각, 야구의 통계.
축구는 세계적으로 누리는 인기와 투입되는 자본에 비해 통계적인 분석과 접근이 대단히 더딘 종목입니다. 최근 들어서야 일반팬들에게 생소한 통계적 개념이 제시되고 분석이 행해지고 있으나 여전히 '축구는 숫자놀음이 아니다' 라는 말의 아성은 높기만 합니다. 그렇다면 왜 축구는 통계로 분석하기 어려울까? 숫자놀음을 할 수는 없을까? 하는 의문은 축구팬이라면 대부분 가져봤을 겁니다.



그 답을 얻기 전에 먼저 세계에서 가장 통계화가 발달한 종목인 야구에 대해 알아봅시다. 오늘날 야구에서의 숫자놀음은 아득히 발전했습니다. 수학자와 통계학자들이 동원되는 어엿한 전문가의 영역이죠. 어지간한 야구팬들조차 정확히 이해하기 힘든 알쏭달쏭한 스탯들이 넘쳐나고 이젠 아예 구단들이 내부적으로 쓰는 스탯은 공개하질 않습니다. 모든 선수, 모든 재능이 숫자에 의해 평가받는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닙니다. 이만한 숫자의 영향력은 축구는 물론이고 타 종목에 비해서도 압도적입니다.

야구는 왜 이런 게 가능할까요. 사람들은 야구가 투수와 타자의 1대1 대결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물론 맞는 말이지만 이것만으로 '따라서 여타 팀 스포츠는 통계분석 안 됨! 땡!' 이라고 납득하고 돌아설 수는 없습니다. 엄밀히 말해 야구가 정말 1대1의 대결인 것도 아니고요. 좀 더 근본적인 종목의 특성을 짚어봅시다.



야구는 선수들을 정해진 위치에 두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특정한 행동(액션)을 할 것을 요구하며, 그 행동의 결과물을 객관적 지표에 의해 판정하여 하나의 사건(이벤트)으로 완결시킵니다. 그리고 시간이란 변수 없이 오로지 이벤트의 누적에 의해서만 경기가 진행됩니다. 그 판정에 있어 주관적 판단이 개입할 여지 또한 거의 없습니다. (물론 엄밀히 말하면 심판의 별모양 스트존이나 휘두르다가 멈춘 방망이를 스윙으로 판정할 것이냐 아니냐 하는 애매한 문제도 있긴 합니다만 야구에서 그리 비중이 크지는 않습니다.)

즉, 투수 타자는 정해진 위치에 섭니다. 모두가 동일한 조건이죠. 그리고 투수가 타자를 향해 공을 던집니다. 타자가 방망이를 휘둘렀나? 공이 방망이에 맞았나? 스트존에 들어왔나? 타자가 친 공이 타자가 1루로 도착하기 이전에 1루수 글러브에 들어갔나? 이런 기준에 의해 볼, 스트라이크, 안타, 범타 등등의 이벤트를 판정해서 볼이 쌓이면 출루, 출루와 진루가 쌓이면 득점, 스트라이크가 쌓이면 아웃, 아웃이 쌓이면 공수교대가 되죠. 여기에는 한치의 예외나 근사값도 있을 수 없습니다. 위에서 말했듯 이렇게 발생되는 이벤트는 거의 대부분 선수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고요.

그리고 결정적으로, 야구는 경기 숫자가 매우 많습니다. 통계학자들이 너무나 사랑하는 많은 표본과 시행횟수를 안겨줄 수 있는 거죠. 어쩌다 한 두 번 나온 행운의 이벤트가 전체를 왜곡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과거 빌 제임스를 비롯한 세이버메트리션들은 자신들의 골방에 틀어박혀 기록지를 정리하는 것으로 선수들이 발생시키는 이벤트의 가치를 가늠하고 가공하여 줄 세울 수가 있었습니다. 무엇이 더 많은 점수를 낼 수 있는 이벤트인가? 무엇이 더 득점에 도움이 되는가? 어떤 선수가 더 가치있는 선수인가? 이런 의문들에 답을 끌어낸 사람들이 오늘날 야구단을 운영하는 중추에 들어가 있고요.

그리하여 현대 야구는 어느 정도 선수의 스타일을 초월한 줄세우기가 가능합니다.

A: 전 안타를 잘 치고 도루를 잘 해요!
B: 저는 안타는 좀 못 치지만 찍히면 넘어가요!
C: 저는 볼넷을 잘 얻고 2루타를 잘 쳐요!
야구단: 응, 그래서 니네가 득점에 기여하는 거 점수로 환산하면 각각 몇 점?

이렇게 말이죠.

정리하자면 야구에서 통계화가 쉬운 이유는,

1. 선수들이 행하는 액션을 객관적 지표에 의해 이벤트로 완결시킨다.
2.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액션의 시작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모두가 동등한 조건을 갖는다.
3. 2에 따라 이벤트는 선수 개인의 능력에 의해 발생한다.
4. 수많은 시행에 의해 3이 검증된다.
5. 같은 이벤트는 같은 가치를 가지며, 이벤트의 누적에 따라 경기가 진행된다.

대략 이렇게 압축해볼 수가 있겠습니다.


이 5개의 기준을 다시 한 번 야구에 겹쳐봄으로써 유효성을 검증해볼 수 있습니다. 야구에 혁명을 가져온 스탯캐스트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야구 스탯의 정확성은 타자>투수>>수비였습니다. 타자의 경우, 세이버메트리션들은 자신들이 만들어낸 신뢰도 높은 스탯을 통해 기존에 사용되던 타율과 타점을 '간단한 맛에 보는 부정확한 지표' 쯤으로 밀어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투수에 대해서는 FIP나 DIPS 같은 수치가 만들어졌음에도 스탯 자체의 결함이 밝혀지며 끝내 평균자책점의 아성을 확실히 무너뜨릴 스탯을 만들지 못 했으며, 야수들의 수비력을 재는 스탯은 암중모색 수준이었죠. 그 이유를 위의 기준을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타자는 1~5의 조건에 거의 부합합니다. 모든 타자는 같은 자리 같은 조건에서 투수를 상대합니다. 안타를 치건 삼진을 당하건 그건 본인의 실력에 좌우되며, 밀어치건 당겨치건 홈런은 홈런이고 안타는 안타입니다. 부상만 아니라면 1년 내내 전 경기에 출전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어쩌다 한 두 번 행운의 홈런이나 불운한 삼진콜을 당한다 해도 시즌 전체로 보면 운에 의한 영향을 덜 받습니다. 단, 어쨌거나 타자 역시 운을 비롯하여 자신의 실력과 무관한, 이벤트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들을 가지고는 있습니다. 아무리 강타자라 해도 8명의 난쟁이와 함께하느냐 아니면 살인타선의 일원이 되느냐에 따라 성적에 영향이 없을 수가 없고 출루한 주자가 투수를 흔들어준다면 도움을 받으니까요. 다만 투수나 수비에 비하면 그 영향이 적습니다.


투수의 경우, 위의 5원칙 중 3과 5가 발목을 잡는 요소입니다. 3을 보자면 아무리 위대한 투수라도 잡아내는 아웃카운트의 태반은 삼진이 아니라 범타이며 공이 방망이에 맞은 후로는 야수들의 수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여기서 고민이 시작되죠. 범타로 잡은 아웃이라는 이벤트는 누구의 능력에 더 의존하는가? 투수인가, 야수인가? 각자에게 얼만큼의 지분이 있는가? 이것은 단순히 아웃카운트가 잡혔다 라는 이벤트만으로는 알아낼 수가 없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플레이 된 타구가 아웃이 될 확률을 계산하여 babip이란 스탯이 나왔고 추가 연구를 통해 타구의 아웃카운트 여부에 투수의 책임이 30퍼센트 쯤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이 역시 투수의 피칭 스타일마다 차이가 존재하며 운과 수비 도움의 영역이 크기에 명확하게 그 지분을 수치화 할 수가 없었습니다.

5의 경우도 문제죠. 투수는 타자와 달리 발생시키는 이벤트의 총량이 아닌 순서에도 큰 영향을 받습니다. 같은 이벤트를 발생시켜도 결과는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누구는 7이닝 2피안타 1볼넷 9k 완벽투를 펼치고도 2실점을 하는데 누구는 5이닝 6피안타 3볼넷 2k의 낙제점 투구를 하고도 무실점을 하는 일이 가능합니다. 이건 좀 극단적인 사례지만 이와 궤를 같이 하는 일들이 야구판에는 비일비재 합니다. 선발이 아닌 중간계투들은 시행횟수가 훨씬 적어서 더 심하고요. 다만 4의 원칙에 따라 충분히 긴 경력을 쌓은 투수라면 이런 외부요소들이 희석되어 통산 평균자책점이나 실점 같은 간단한 잣대도 쓸만한 도구가 되겠지만요.


투수보다 더 답이 안 나오던 수비의 경우 2,3원칙이 문제가 됩니다. 먼저 2원칙. 수비는 투수나 타자와 달리 위치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대략적인 위치는 정해져 있으나 시프트에 따라, 개인의 개성이나 타구 판단에 따라 얼마든지 위치가 유의미하게 달라질 수 있죠. 공을 잡느냐 못 잡느냐를 결정하는 가장 큰 변수가 위치임을 고려하면 이건 꽤 큰 문제입니다.

이에 따라 3원칙 역시 문제가 됩니다. 수비하는 야수를 향해 날아오는 타구의 질은 야수 본인이 전혀 통제할 수 없습니다. 인간의 육신으로는 잡을 수 없는 공부터 정상적인 프로 선수라면 잡아줘야 하는 공까지 결코 평균화할 수 없는 천차만별의 공이 날아오는데 여기서 야수가 할 수 있는 일은 위에서 말한대로 위치를 조정하는 것밖에 없습니다. 설령 위치가 같다 하더라도 공이 얼마나 빨리 왔는지 궤적이 어땠는지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공을 잡아서 던졌다 한들 받는 선수가 못 받으면 소용이 없기에 누구와 같이 콤비를 이루느냐도 은근히 영향을 미치구요. 내가 잘한다고 잡고, 내가 못 해서 못 잡았다고 하기엔 통제 불가능한 변수가 너무나 많아요. 축구에서 골 들어간 걸 가지고 이게 다 골키퍼가 못 막았기 때문이야! 라고 한다면 얼마나 억울하겠습니까? 타자는 못 칠 공이 오면 안 치면 되고(볼) 투수는 공의 질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것에 비하면 수비는 개인의 능력으로 뭘 해볼 수 있는 영역이 너무 좁습니다. 그래서 불방망이를 휘두르던 돌글러브 타자가 명예의 전당에 가기는 쉬워도 그 반대는 참 어려운 거겠고요.

세이버메트리션들은 어떻게든 수비를 계량화 하기 위해 종래의 방식을 벗어나 직접 수비를 보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력을 기울여 UZR 등의 스탯을 만들었지만 역시나 부정확한 건 마찬가지였죠.

이것이 기존의 세이버메트릭스가 갖는 어쩔 수 없는 단점이었습니다. 게임의 규칙 내에서 이벤트가 갖는 가치는 분석할 수 있었으나 그 이벤트 자체를 분해하여 명확하게 분석할 수는 없었습니다. 화물을 컨테이너 단위로 쌓아두면 아무리 많아도 수량만 가지고 쉽게 화물의 총량을 파악할 수 있지만 컨테이너 자체의 적재율이 0에서 100까지 제멋대로라면 그저 근사값을 동원할 수 밖에 없듯이 말입니다. 결국 이 문제는 첨단장비를 동원하여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 그 자체를 추적하고 연구하는 스탯캐스트가 도입된 이후에야 해결됩니다.



자, 이렇게 해서 우리는 스포츠의 숫자놀음을 위한 조건들을 대강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그럼 이제 이 기준을 축구에 적용해 봅시다. 다음 글에서 말이죠.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5-24 22:4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7
  • 학문적으로 엄밀하면서도 재미있는 분석은 그저 추천할 뿐입니다.
  • 글감을 모아볼까하고 게으름을 부리는 사이에 먼저 좋은 글이 나왔네요ㅠㅠ 추천합니다!
  • 축구도! 축구도 써주세요!
  • 궁금하던 토픽인데 글 덕분에 궁금증도 풀고 배우기도 했습니다.


아니 왜 다음 글입니까 선생님 ㅡㅡ
샨르우르파수정됨
[야구는 선수들을 정해진 위치에 두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특정한 행동(액션)을 할 것을 요구하며, 그 행동의 결과물을 객관적 지표에 의해 판정하여 하나의 사건(이벤트)으로 완결시킵니다. 그리고 시간이란 변수 없이 오로지 이벤트의 누적에 의해서만 경기가 진행됩니다. 그 판정에 있어 주관적 판단이 개입할 여지 또한 거의 없습니다.]

저는 위 요소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야구가 좀 특이한 구기스포츠로 느껴졌습니다.
신체를 움직이는 순간과 그 강도가 위 요소로 상당히 제한되어 육체를 움직인... 더 보기
[야구는 선수들을 정해진 위치에 두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특정한 행동(액션)을 할 것을 요구하며, 그 행동의 결과물을 객관적 지표에 의해 판정하여 하나의 사건(이벤트)으로 완결시킵니다. 그리고 시간이란 변수 없이 오로지 이벤트의 누적에 의해서만 경기가 진행됩니다. 그 판정에 있어 주관적 판단이 개입할 여지 또한 거의 없습니다.]

저는 위 요소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야구가 좀 특이한 구기스포츠로 느껴졌습니다.
신체를 움직이는 순간과 그 강도가 위 요소로 상당히 제한되어 육체를 움직인다는 스포츠 느낌이 덜 들고, (실제로 신체능력이 그나마 덜 요구되지요) 순전히 머리속에서 전개할 수 있는 전략의 비중이 유독 큰 구기스포츠에요. 게임이론에서 볼 법한 '게임'에 굉장히 가까운 스포츠입니다.
그래서 다른 구기 스포츠에 비해 유독 비직관적이고(특별 교육 없이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즐기기 만들기 제일 어려움. 이를 막기 위해 T볼같은 것도 나왔지요), 생활체육으로 즐기기 제일 어렵죠. 공간도 많이 요하지만, 공을 반대편으로 던지고 차고 날리는거에 비해, 정확한 구간에 던지고 그걸 치고 잡게 시키는 건 어렵습니다. 초기 진입장벽이 높은 셈이지요.

이런 면이 야구를 독특하게 만들고 야빠를 만들었겠지요. 물론 스탯 가지고 팬들이 열내고 화나게 만드는 부작용은 있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야구가 게임이랑 참 비슷한 종목이죠. 게임으로 치면 출루율은 연속 공격을 성공시킬 확률, 순장타율은 공격 적중시 치명타가 터질 확률이라고 봐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게임에서 최고 대미지를 뽑기 위한 아이템과 스킬 배치를 연구하듯이 야구의 통계학자들도 어떤 선수 어떤 스탯이 좀 더 많은 점수를 낼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셈이죠.

그런 이유로 야구가 처음 보는 사람에겐 도통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를 게임이면서도 한편으론 무슨 이벤트를 보고 기뻐해야 하는지 명확히 지정해주니(우리 팀이 삼진 잡고 홈런 치면 좋아하면 돼!) 이런 면에선 또 친절한 게임이기도 합니다. 또 깊게 파고드는 분들에겐 더욱 좋겠다 싶네요.
2
글을 쓰다보니 밤은 깊었고 글은 예상보다 길어졌네요. 축구 이야기는 더 길어질 거 같으니 다음 글에서 잇도록 하겠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전 축알못이라서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생각이 맞는 걸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하하.
조지 포먼
축구는 감성과 그 감성에 임펙트가 더해진 감펙트가 스탯보다 더 중요한 스포츠이죠
요일3장18절
소위 "심장이 불타오르는" 선수가 게임을 씹어먹거나 하드캐리하는 것이 야구는 불가능하죠.
아무리 투수가 미쳐도 타자들이 점수를 못내면 못이기고,

아무리 타자가 미쳐도 그 다음 타자가 안타를 못치면 잘해야 1루, 도루하면 2루죠.

그러니 MLB 류현진도 한국에서는 9승따리 투수인거고.
Carl Barker
오히려 야구가 축구보다는 개인 기량이 개입할 여지가 크지요. 축구는 선수 하나가 아무리 잘해도 전후반 90분 내내 볼을 점유하는 게 불가능하지만, 야구는 그게 가능하니까요. (선발 투수의 완투) 물론 리그 최고의 선발 투수도 당연히 수비, 타선 도움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기는 합니다만, 축구도 온전히 혼자 할 수 없는 종목이라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죠. 적어도 투수에게는 (수비하기 쉬운) 뜬공을 유도하거나 타자에게서 삼진을 빼앗는다는 선택지가 있기라도 합니다. 탈삼진이나 뜬공 유도도 투수 혼자서 하는 일은 아니지만(공을 잡아줄 포수, 야... 더 보기
오히려 야구가 축구보다는 개인 기량이 개입할 여지가 크지요. 축구는 선수 하나가 아무리 잘해도 전후반 90분 내내 볼을 점유하는 게 불가능하지만, 야구는 그게 가능하니까요. (선발 투수의 완투) 물론 리그 최고의 선발 투수도 당연히 수비, 타선 도움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기는 합니다만, 축구도 온전히 혼자 할 수 없는 종목이라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죠. 적어도 투수에게는 (수비하기 쉬운) 뜬공을 유도하거나 타자에게서 삼진을 빼앗는다는 선택지가 있기라도 합니다. 탈삼진이나 뜬공 유도도 투수 혼자서 하는 일은 아니지만(공을 잡아줄 포수, 야수들이 있어야 하므로), 프로 레벨의 야수라면 평범한 뜬공 처리는 당연하다시피 할 수 있는 일이고 포수가 투수의 결정구를 흘려서 생기는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 상황은 1년 162경기 중에 몇 번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매우 드문 일이죠. 요컨대, 다른 동료들에게 매우 적은 부담만을 요구하는 플레이라는 겁니다. 더구나 그 빈도가 적지도 않습니다. 축구에서도 이론상 미친 선수 하나가 단독으로 상대 수비 다 제끼고 공을 넣는다는 경우의 수가 있기는 합니다만, 상대 볼 캐리어나 수비진이 정말 치명적인 실책을 저지르거나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허점을 남긴 경우가 아니면 보기 어려운, 특수한 상황이죠.
요일3장18절
차범근이 6분 남겨놓고 세골을 퍼부은 경우가 있죠.

물론 굉장히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없진 않죠
바르셀로나 첼시전 보면 점유율은 7:3 8:2인데 첼시가 이기는 경우도 있고요
저는 실축을 많이 하는데 개개인의 기량이 경기에 너무 크게 반영되는거 같아요.
풀코트에서도 선출 아재 한명만 들어오면 경기 터집니다..
켈로그김
야구는 게임진행이 대부분 이산적이라 데이터놀음하기가 넘모 좋다고 생각합니다.

타 스포츠로 데이터 뽑으려면
이제 행위들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 부터 빡셀거 같읍니다 ㅋ
1
통계학, 계량경제학 시간에 맨날 언급되는 머니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261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987 5
1417 체육/스포츠기계인간 2024년 회고 - 몸부림과 그 결과 5 Omnic 24/11/05 1204 33
1368 체육/스포츠(데이터 주의)'자율 축구'는 없다. 요르단 전으로 돌아보는 문제점들. 11 joel 24/02/19 2308 8
1366 체육/스포츠(데이터 주의)'빌드업 축구'는 없다. 우루과이전으로 돌아보는 벤투호의 빌드업. 13 joel 24/02/12 2818 30
1339 체육/스포츠JTBC서울국제마라톤 후기 10 영원한초보 23/11/09 2453 22
1318 체육/스포츠대모산 간단 가이드(수서역~청솔마을 코스) 20 산타는옴닉 23/08/03 3043 19
1261 체육/스포츠10의 의지는 이어지리 다시갑시다 22/12/31 2954 6
1255 체육/스포츠미식축구와 축구. 미국이 축구에 진심펀치를 사용하면 최강이 될까? 19 joel 22/12/05 4560 18
1240 체육/스포츠북한산 의상능선 간략소개 9 주식못하는옴닉 22/09/25 4463 16
1103 체육/스포츠축구) 무엇이 위대한 선수를 위대하게 하나. 23 joel 21/07/10 5128 17
1090 체육/스포츠축구로 숫자놀음을 할 수 있을까? 첫번째 생각, 야구의 통계. 11 joel 21/05/15 4974 17
1031 체육/스포츠손기정평화마라톤 첫풀코스 도전기 12 오디너리안 20/11/17 4364 22
1022 체육/스포츠로마첸코-로페즈 : 초속과 변칙 5 Fate 20/10/18 6212 9
1017 체육/스포츠르브론 제임스의 우승은 그를 역대 2위 그 이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가? 15 손금불산입 20/10/14 5843 21
978 체육/스포츠깊게 말고 높게 - 축구력과 키의 관계 22 다시갑시다 20/07/03 6603 9
835 체육/스포츠파퀴아오-서먼 : Who will be resurrected? 5 Fate 19/07/21 7121 27
821 체육/스포츠사사키 로키, 야구의 신이 일본에 보낸 선물 18 温泉卵 19/06/20 8574 20
818 체육/스포츠심판 콜의 정확도와 스트라이크존 기계판정 4 손금불산입 19/06/15 6868 8
786 체육/스포츠안면밀폐형(방독면형) 미세먼지 마스크 착용기. 14 작고 둥근 좋은 날 19/03/27 7558 7
770 체육/스포츠[사이클] 랜스 암스트롱 (1) - It's not about the bike. 12 AGuyWithGlasses 19/02/17 6531 9
764 체육/스포츠슈퍼볼 53(Super Bowl LIII) 프리뷰 (약스압) 5 Fate 19/02/02 7096 11
719 체육/스포츠펩빡빡 펩빡빡 마빡 깨지는 소리 : 과르디올라는 왜 UCL에서 물을 먹는가 34 구밀복검 18/10/30 8423 14
709 체육/스포츠축구입문글: 나만 관심있는 리그 - 리그 결산 및 감상 7 다시갑시다 18/10/04 6674 8
678 체육/스포츠복싱을 잘해봅시다! #3 : 펀치학개론 15 Danial Plainview 18/08/09 10064 2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