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 21/10/15 17:43:20 |
Name | Rokine |
Subject | 백신 완료한 기념 AMA합니다 |
AMA는 지난번에 나를 맞춰보라는 컨셉으로 한번 해보긴 했지만 정석 AMA는 아니므로 이번에는 정석으로 해봅니다. 원래 어제 하려고 했는데 심장 두근댐이 심해서 못했네요. 오늘은 어제보단 괜찮으니 해봅니다. 기본정보 말씀드리면 91년생 남자고 경영 학사에 경제 석사입니다. 지금은 경제학 관련 회사에 취직을 했는데 청년인턴에 해당하는 직책이라 곧 퇴사예정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Rokine님의 최근 게시물 |
정확하게 말하면 학부는 경영학은 아니고 상경계열의 학과입니다. 졸업장에 경영학사로 나오지만 전공에는 경제 커리큘럼도 꽤 있죠.
그래도 경영을 어느정도 공부한 입장에서 말하자면 경영은 확실히 기업학이다 보니 기업의 입장에 대입해서 1인칭 시점으로 배우는게 많습니다. 또 실제 사례가 쓰이는 비중이 높고요. 그리고 수리적 방법론이 회계나 재무 같은거 빼곤 많이 안쓰이고요 ㅋㅋ
경제는 3인칭 관찰자 입장이니 같은 상황이라도 해석이 달라요. 예를 들어 경제는 독점공급자로 인해 발생하는 사중손실을 고려하는 반면 경영에서는 독점상... 더 보기
그래도 경영을 어느정도 공부한 입장에서 말하자면 경영은 확실히 기업학이다 보니 기업의 입장에 대입해서 1인칭 시점으로 배우는게 많습니다. 또 실제 사례가 쓰이는 비중이 높고요. 그리고 수리적 방법론이 회계나 재무 같은거 빼곤 많이 안쓰이고요 ㅋㅋ
경제는 3인칭 관찰자 입장이니 같은 상황이라도 해석이 달라요. 예를 들어 경제는 독점공급자로 인해 발생하는 사중손실을 고려하는 반면 경영에서는 독점상... 더 보기
정확하게 말하면 학부는 경영학은 아니고 상경계열의 학과입니다. 졸업장에 경영학사로 나오지만 전공에는 경제 커리큘럼도 꽤 있죠.
그래도 경영을 어느정도 공부한 입장에서 말하자면 경영은 확실히 기업학이다 보니 기업의 입장에 대입해서 1인칭 시점으로 배우는게 많습니다. 또 실제 사례가 쓰이는 비중이 높고요. 그리고 수리적 방법론이 회계나 재무 같은거 빼곤 많이 안쓰이고요 ㅋㅋ
경제는 3인칭 관찰자 입장이니 같은 상황이라도 해석이 달라요. 예를 들어 경제는 독점공급자로 인해 발생하는 사중손실을 고려하는 반면 경영에서는 독점상황이 꿀이거든요. 경제는 또 물론 실례도 많이 다루지만 경영에 비해서는 이론성향이 강하고요. 수리적 방법은 거의 대부분 쓰이고요.
아무래도 경제학과 석사 들어오면서 겨울방학때 수학공부는 꽤 했읍니다
그래도 경영을 어느정도 공부한 입장에서 말하자면 경영은 확실히 기업학이다 보니 기업의 입장에 대입해서 1인칭 시점으로 배우는게 많습니다. 또 실제 사례가 쓰이는 비중이 높고요. 그리고 수리적 방법론이 회계나 재무 같은거 빼곤 많이 안쓰이고요 ㅋㅋ
경제는 3인칭 관찰자 입장이니 같은 상황이라도 해석이 달라요. 예를 들어 경제는 독점공급자로 인해 발생하는 사중손실을 고려하는 반면 경영에서는 독점상황이 꿀이거든요. 경제는 또 물론 실례도 많이 다루지만 경영에 비해서는 이론성향이 강하고요. 수리적 방법은 거의 대부분 쓰이고요.
아무래도 경제학과 석사 들어오면서 겨울방학때 수학공부는 꽤 했읍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