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10/25 15:18:37 |
Name | 곰곰이 |
File #1 | 1.jpg (105.8 KB), Download : 11 |
Subject | 우리집 고양이는 천국에 갈 수 있을까? |
얼마 전, 일러스트레이터 스노우캣님의 반려묘였던 나옹이가 무지개 다리를 건넜습니다. 사람이 죽은 것도 아니고, 제가 키우던 반려동물도 아닌데, 어쩜 그렇게 마음 한 켠이 휑하던지. 되돌아보니 2002~3년 즈음부터 스노우캣 홈을 들락거리며 거의 매주/매달 나옹이의 소식을 보고 들으며 지냈기 때문에, 그 고양이의 부재가 더 크게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저는 기독교인입니다. '한국' 기독교에서는 대체로 '사람은 영/혼/육이 있지만 동물은 영이 없고 혼/육만 있기 때문에 천국에 가지 못한다.'고들 합니다. 그런데 사실 100여년 전만 해도, 미국의 목사들은 '흑인은 영이 없다.'고 했었고, 그 전 유럽 사람들은 '여자는 영이 없다.'고 했었지요. (물론 성경에 흑인과 여성의 영혼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당췌 '영이 없다.'는 이야기를 신뢰할 수가 없습니다. 현재 서구권은 아무래도 반려동물들과 가족처럼 지내는 문화이기 때문인지, 미국이나 유럽 기독 저술가의 책을 읽다 보면 의외로 '동물도 천국에 갈 수 있는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한 내용들이 종종 나옵니다. 대개는 '동물이 천국에 가지 못할 이유가 없다.' 정도로 요약됩니다. 큰 틀에서는 일단 성경에 딱히 명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이므로 '천국 가봐야 알 수 있다.'는 입장이 적절합니다. 그러므로 '동물은 천국에 가지 못한다.'는 말은 성급하고 근거 없는 주장이라 할 수 있겠지요. 그저 제가 알고 있는 하나님은, 하찮은 동물과 들풀도 사랑하시며,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되고 하는 유한한 사고방식에서부터 근본적으로 자유로운 분이시기 때문에, 저 역시도 천국에 반려동물들이 가지 못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초기 기독교 세계관에서 이야기하는 '천국'에 대해 좀 더 파고들자면, 애초에 '사후세계' 라거나 천국으로 '올라간다' 라는 현재 한국 기독교의 잘못된 개념부터 바로잡아야 하는데 (심지어 4차원 시공간도 아닐 듯) 그러면 반려동물 이야기와 너무 멀어지기 때문에 다음 기회에 정리해볼까 합니다. 9
이 게시판에 등록된 곰곰이님의 최근 게시물
|
이거 보고 문득 떠오른 기억 하나.
저는 고등학생 시절에 반기독교 운동에 빠진 적이 있었습니다.
제가 다녔던 고등학교는 개신교계 미션스쿨이라 1주일에 한 번씩 채플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딱히 별 생각이 없었는데, 어느 날인가 채플에 무슨 다른 교회 목사님을 초청해서 강연을 했었어요. 그 강연 내용 중에서 제 귀에 꽂히는 말이 있었으니, 바로 “불신자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영이 없다.”는 말이었어요. 아니, 그러면 신을 믿지 않는 나는 영이 없는 것이고, 신을 믿으면 그때부터는 영이 뿅 하고 생기는 것인가? 무엇보다도 기독교라... 더 보기
저는 고등학생 시절에 반기독교 운동에 빠진 적이 있었습니다.
제가 다녔던 고등학교는 개신교계 미션스쿨이라 1주일에 한 번씩 채플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딱히 별 생각이 없었는데, 어느 날인가 채플에 무슨 다른 교회 목사님을 초청해서 강연을 했었어요. 그 강연 내용 중에서 제 귀에 꽂히는 말이 있었으니, 바로 “불신자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영이 없다.”는 말이었어요. 아니, 그러면 신을 믿지 않는 나는 영이 없는 것이고, 신을 믿으면 그때부터는 영이 뿅 하고 생기는 것인가? 무엇보다도 기독교라... 더 보기
이거 보고 문득 떠오른 기억 하나.
저는 고등학생 시절에 반기독교 운동에 빠진 적이 있었습니다.
제가 다녔던 고등학교는 개신교계 미션스쿨이라 1주일에 한 번씩 채플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딱히 별 생각이 없었는데, 어느 날인가 채플에 무슨 다른 교회 목사님을 초청해서 강연을 했었어요. 그 강연 내용 중에서 제 귀에 꽂히는 말이 있었으니, 바로 “불신자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영이 없다.”는 말이었어요. 아니, 그러면 신을 믿지 않는 나는 영이 없는 것이고, 신을 믿으면 그때부터는 영이 뿅 하고 생기는 것인가? 무엇보다도 기독교라는 종교는 신을 믿지 않는 사람을 사람이 아닌 동물 취급하는구나 싶어서 굉장히 기분이 나빴더랬습니다. 이게 당시에 생각하고 있던 소위 “악의 문제” 등과 겹쳐서, 갑자기 기독교에 대한 반감이 급격하게 생겨났지요. 그래서 안티 기독교 운동을 하는 웹사이트에서 활동을 했었어요. 뭐, 한 고3쯤 되니까 여러 가지로 시들해지면서 그냥 활동을 접었었지만… “동물은 영이 없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문득 그때 생각이 나네요.
저는 고등학생 시절에 반기독교 운동에 빠진 적이 있었습니다.
제가 다녔던 고등학교는 개신교계 미션스쿨이라 1주일에 한 번씩 채플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딱히 별 생각이 없었는데, 어느 날인가 채플에 무슨 다른 교회 목사님을 초청해서 강연을 했었어요. 그 강연 내용 중에서 제 귀에 꽂히는 말이 있었으니, 바로 “불신자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영이 없다.”는 말이었어요. 아니, 그러면 신을 믿지 않는 나는 영이 없는 것이고, 신을 믿으면 그때부터는 영이 뿅 하고 생기는 것인가? 무엇보다도 기독교라는 종교는 신을 믿지 않는 사람을 사람이 아닌 동물 취급하는구나 싶어서 굉장히 기분이 나빴더랬습니다. 이게 당시에 생각하고 있던 소위 “악의 문제” 등과 겹쳐서, 갑자기 기독교에 대한 반감이 급격하게 생겨났지요. 그래서 안티 기독교 운동을 하는 웹사이트에서 활동을 했었어요. 뭐, 한 고3쯤 되니까 여러 가지로 시들해지면서 그냥 활동을 접었었지만… “동물은 영이 없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문득 그때 생각이 나네요.
아이고 먼저 사과드립니다. ㅠㅠ 정말 기본이 안 되어 있는 목사네요. (그런데 이런 사람이 상당히 많지요 -_-)
지난 수십년간 한국 기독교 목사들 퀄리티 컨트롤이 전혀 안되어 생기는 문제입니다. 한국인들에게 상처도 많이 줬고요.
일부 교회 개혁 움직임이 있긴 하지만 여전히 너무 미미하네요.
저도 10대~20대 때 기독교에 대한 반감을 많이 갖고 있었다가
다행히 (한국 기독교 말고) 처음 기독교가 생겨났을 당시의 초기 기독교 교리를 공부하면서
기독교에 대한 많은 의문과 불편한 점이 해결되었었습니다.
최근 팟캐스트... 더 보기
지난 수십년간 한국 기독교 목사들 퀄리티 컨트롤이 전혀 안되어 생기는 문제입니다. 한국인들에게 상처도 많이 줬고요.
일부 교회 개혁 움직임이 있긴 하지만 여전히 너무 미미하네요.
저도 10대~20대 때 기독교에 대한 반감을 많이 갖고 있었다가
다행히 (한국 기독교 말고) 처음 기독교가 생겨났을 당시의 초기 기독교 교리를 공부하면서
기독교에 대한 많은 의문과 불편한 점이 해결되었었습니다.
최근 팟캐스트... 더 보기
아이고 먼저 사과드립니다. ㅠㅠ 정말 기본이 안 되어 있는 목사네요. (그런데 이런 사람이 상당히 많지요 -_-)
지난 수십년간 한국 기독교 목사들 퀄리티 컨트롤이 전혀 안되어 생기는 문제입니다. 한국인들에게 상처도 많이 줬고요.
일부 교회 개혁 움직임이 있긴 하지만 여전히 너무 미미하네요.
저도 10대~20대 때 기독교에 대한 반감을 많이 갖고 있었다가
다행히 (한국 기독교 말고) 처음 기독교가 생겨났을 당시의 초기 기독교 교리를 공부하면서
기독교에 대한 많은 의문과 불편한 점이 해결되었었습니다.
최근 팟캐스트중에 안기부(안티와 기독교의 부적절한 동거)라는 방송이 있는데
거기에 반기독교 운동하시는 분들이 종종 나오십니다. 나름 유익하고 재밌게 듣고 있어요. ㅎㅎ
지난 수십년간 한국 기독교 목사들 퀄리티 컨트롤이 전혀 안되어 생기는 문제입니다. 한국인들에게 상처도 많이 줬고요.
일부 교회 개혁 움직임이 있긴 하지만 여전히 너무 미미하네요.
저도 10대~20대 때 기독교에 대한 반감을 많이 갖고 있었다가
다행히 (한국 기독교 말고) 처음 기독교가 생겨났을 당시의 초기 기독교 교리를 공부하면서
기독교에 대한 많은 의문과 불편한 점이 해결되었었습니다.
최근 팟캐스트중에 안기부(안티와 기독교의 부적절한 동거)라는 방송이 있는데
거기에 반기독교 운동하시는 분들이 종종 나오십니다. 나름 유익하고 재밌게 듣고 있어요. ㅎㅎ
반려동물들은 대부분 사람보다 수명이 짧아서 특히 애틋한 것 같아요.
꼬리 흔드는 그림만 봐도 울컥하는 것이... 주위 동물들을 더 사랑해야겠습니다.
꼬리 흔드는 그림만 봐도 울컥하는 것이... 주위 동물들을 더 사랑해야겠습니다.
마르틴 루터도 자기가 기르던 개를 천국에서 다시 만날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쓴 글이 있더랴그요
그 글에서 마르틴 루터도 동물들이 천국 갈지 안갈지 나도 잘은 모르겠는데 내 개는 보고싶다!!! 라는 면이 느껴져서 엄청 귀여워보이더라고요
전에 저희 교회 목사님은 천국은 완벽한 곳인데 두둠칫이 천국 가서 너희 고양이가 없어서 슬프면 그곳은 완벽한 곳이 아닐 테니까 고양이도 같이 천국 갈꺼라고 설명 해주신적이 있어요
근데 이건 지금 생각해보니 중딩 때 예민한 아이들 목사님이 다독이려고 하신 얘기같긴 하네요
고양이 자리에 짐 모리슨을 넣고 생각해보니 더욱 그런 생각이 드네요. 이럴수가!.
그 글에서 마르틴 루터도 동물들이 천국 갈지 안갈지 나도 잘은 모르겠는데 내 개는 보고싶다!!! 라는 면이 느껴져서 엄청 귀여워보이더라고요
전에 저희 교회 목사님은 천국은 완벽한 곳인데 두둠칫이 천국 가서 너희 고양이가 없어서 슬프면 그곳은 완벽한 곳이 아닐 테니까 고양이도 같이 천국 갈꺼라고 설명 해주신적이 있어요
근데 이건 지금 생각해보니 중딩 때 예민한 아이들 목사님이 다독이려고 하신 얘기같긴 하네요
고양이 자리에 짐 모리슨을 넣고 생각해보니 더욱 그런 생각이 드네요. 이럴수가!.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