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5/13 00:50:31
Name   곰곰이
Subject   인공위성이 지구를 도는 방법과 추락하는 이유
오랜만에 우주항공테마로 글을 씁니다. 
(사실 지난 4월 톈궁 1호 추락 기념으로 작성하기 시작했으나 이제야 완성해서 올립니다.)

인공위성이 추락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인공위성이 추락하지 않고 어떻게 계속 지구 주위를 돌 수 있는 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한국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1호 – 출처: 항우연


[인공위성은 큰 엔진도 없는데 어떻게 계속 지구 주위를 돌 수 있나요?]

3. ‘우주는 무중력이니까 안 떨어집니다.’ 라고 대답하면 삼류
2. ‘우주는 중력이 약하니까 천천히 떨어집니다.’ 라고 대답하면 이류
1. ‘지구를 향해 포물선을 그리며 빠르게 자유 낙하하고 있는데, 
   아무리 내려가도 지표면이 그 만큼 밑으로 둥글어져 안 부딪히고 계속 떨어질 수 있습니다.’ 
   라고 대답해야 일류입니다. (갑자기 대답이 엄청 복잡해졌다!)

인공위성은 지표면으로부터 약 160km (저궤도) ~ 36,000km (정지궤도) 떨어진 궤도를 도는데, 
이 정도의 높이로 올라가도 절대 지구의 중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습니다.
지구에서 384,400km 떨어져 있는 달도 지구의 중력에 잡혀 돌고있는 것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않이 그래비티 보니까 우주정거장 안에서 무중력 상태로 둥둥 떠 다니던데?’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을 텐데, 
그 이유는 우주정거장 역시 지구의 중력에 끌려 자유 낙하하고 있기 때문에 그 내부가 무중력상태가 된 것입니다.





* 인공위성 원리 - 출처: 시사논술개념사전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야구선수가 공을 앞으로 던지는 것과 동일합니다. 
만약 야구선수가 공을 지표면과 평행하게 정말 세게 멀리 던질 수 있다면, 
[지구를 한 바퀴 돌아올 수 있을 만큼 빠르게 = 초속 7.9km] 던진다면 
그 공은 이제 아무리 중력방향으로 떨어져도 지표면에 닿지 않고 
(공 입장에서는 지표면도 계속 밑으로 떨어지니까) 계속 지구를 돌 수 있습니다. 

야구선수가 던진 힘은 더 이상 공에 작용하지 않지만, 오히려 지구 중력이 계속 공을 당겨주고 있기 때문에 영원히 돌 수 있지요. 
다만 지표면 가까이에는 기체 분자가 너무 많아 그렇게 빠른 속도로 던지면 
공이 (인공위성이) 마찰에 의해 느려지고 다 타 버리기 때문에 분자가 거의 없는 우주궤도까지 올리는 것입니다. 
이번에 톈궁 1호가 그렇게 빠른 속도로 고도 100km 밑으로 내려오니 불타기 시작했었죠.

인공위성 궤도가 저궤도, 중궤도, 정지궤도 등 다양한 이유는, 
저궤도에 있으면 하루에도 지구를 여러 번 돌 수 있고 가깝기 때문에 이곳저곳 관측하기 용이하고, 
또 정지궤도 가까이 높게 올리면 안정적인 통신/GPS 위성으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처음 발사할 때 위성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궤도를 선택하여 높이와 속도를 맞추어 올려놓게 됩니다. 


https://youtu.be/WPq9oV9azyQ
Bangabandhu Satellite-1 deployment

SpaceX의 Falcon 로켓으로 Bangabandhu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영상입니다.
40초 정도부터 보시면, 고도 729km에서 시속 33,526km (초속 약 9km) 속도로 인공위성을 로켓에서 분리합니다. 

- 로켓 발사할 때 엄청난 속도로 가속하며 날아가는데 그 속도 그대로 목표궤도에 도달해
  짐칸에 들어있는 인공위성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궤도에 올려놓게 됩니다.
  이렇게 우주에 올라가 있는 것들은 다들 총알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데, 
  막상 영상에서는 속도를 비교할만한 다른 물체도 없고, 대기가 없어 궤적이 남지도 않으니 그냥 둥둥 떠 있는 것 처럼 나옵니다.

- 저궤도 인공위성은 초속 7.9km 가까이, 정지궤도 인공위성은 초속 3km 정도의 속도여야 궤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 적도기준으로 그 정도 높이에서 초속 3km로 움직이면 지구입장에서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 GPS위성은 정지궤도가 아니라 20,000km 정도 높이를 유지하며 움직이고 있습니다.





* 선외활동 – 출처: NASA
'안녕 나는 지금 초속 7.7km로 날아가고 있어어어어'

이제 우리는, 우주비행사가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우주정거장이나 우주왕복선 외부에서
마치 무중력인 것처럼 느릿느릿 둥둥 떠 있는 장면을 보더라도 ‘아 저기가 무중력이구나’ 라고 생각하지 않고 
‘아 저 우주비행사랑 우주선이 엄청난 속도로 등속원운동을 하고 있구나.’ 라고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약 여기서 우주비행사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가 정말 그 자리에 정지해버리면, 
우주비행사는 우주정거장과 함께 총알보다 빠른 속도로 시야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카메라는 지표면을 향해 가속 낙하하게 되겠죠.

(심화내용) 
그럼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에는 이렇게 힘이 (중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왜 가속운동을 하지 않고 등속운동을 하는 걸까요? 
→ 그 힘은 정확히 ‘원 운동’을 하게 만드는 일에 다 쓰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절묘한 균형을 이루어 드디어 인공위성은 지구의 중력을 이용하여 등속원운동을 하며 지구궤도를 돌게 됩니다.



[그런데 인공위성은 왜 궤도를 벗어나 지구로 추락하나요?]

크게 세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1. (마찰 때문) 저궤도일수록 기체분자들이 많이 남아있어 인공위성에 자꾸 부딪히고 
   그런 마찰 때문에 조금씩 속도가 느려져 궤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2. (중력 때문)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동안 지구의 중력이 균일하지 않아 인공위성의 속력이 자꾸 변합니다. 
   지구도 완벽한 구체가 아니라 어디는 지표면이 높고, 어디는 바다고 그렇기 때문이겠죠?
3. 그리고 태양풍, 자기폭풍 등에도 (대기권이 보호해주지 않으니)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인공위성은 꾸준히 자세와 궤도를 교정하며 지구를 돌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 매번 연료를 조금씩 소모하게 되는데 그러다 연료가 다 떨어지면 별 수 없이 지구로 떨어지게 되겠죠. 
보통은 대기권에서 다 타버리는데, 톈궁처럼 톤 단위가 넘을 만큼 큰 경우에는 
미처 다 타지 않은 잔해가 지표면에 떨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그렇게 큰 위성은 연료가 다 떨어지기 전에 미리 자세와 궤도를 조정해 큰 바다나 평야에 안전하게 낙하시킵니다. 
(그런데 톈궁은 그렇게 확실히 컨트롤하고 있는 건지 좀 미심쩍었던 터라 괜히 세계적으로 불안불안했었죠 ㄷㄷ)


https://youtu.be/JpgzHUBVpKk?t=10s
Strange lights in the sky

* 텐궁 1호 낙하 라이브 (떨어지며 이미 다 분해된 상태에서 10초부터 본격 파이어)


어쨌든 대부분 위성은 저렇게 크지 않으므로, 지표면에 닿기 한참 전에 흔적도 없이 타버리고, 
게다가 저궤도 위성이 아닌 중궤도, 정지궤도 위성의 경우는 마찰도 적고, 거리도 멀어서 
웬만해선 지구로 떨어지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 
만의 하나 떨어진다 하더라도 거의 다 컨트롤 되고 있으며, 
최악의 경우도 수 시간 전에는 낙하지점을 특정해서 대피가 가능하니 인공위성 추락 관련해서는 죽 안심하셔도 되겠습니다.


대기권이 있으니 안심하라구!


*
인공위성 관련해서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는 내용은 다 정리한 것 같은데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
정지궤도보다 더 먼 궤도를 도는 위성도 있고, 타원궤도, 극궤도 그리고 궤도를 오르내리는 위성 등도 있는데
너무 길어질 것 같아 일단 기본내용만 정리했습니다.



17
  • 춫천
  • 지구과학은 ㅊㅊ
  • 좋은글감사합니다!
  • 오.. 떨어지고 있는거였군요
  • 우왕 물포자도 재밌게 봤어요


파란아게하
우어 재밌어용
학습만화인줄
곰곰이
따듯한 응원 힘이 됩니다 ㅎㅎ
엄마곰도 귀엽다
재밌게 잘 읽었어요!
곰곰이
감사합니다! ^^
바나나코우
궁금했던 주제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거의 이해하지 못한 게 좀 슬프기는하지만 역시 우주는 신비로운 곳이군요!
곰곰이
제가 글을 쉽게 썼어야 했는데 ㅠㅠ 잘 쓰기가 어렵네요.
본문을 다시 읽다보니, 중력에 끌려 (떨어지며) 궤도를 유지하는 것도 그냥 '떨어진다'고 쓰고, 궤도를 이탈해서 진짜 땅에 떨어지는 것도 '떨어진다'고 써서 헷갈리셨을 것 같네요. 그런 부분은 '추락'으로 바꿔서 몇몇 부분 수정했습니다. ㄷㄷ
바나나코우
별말씀을요 ㅎ 다른분들은 깔끔하게 잘 이해하시고 계시니 글의 문제가 아니라 저의 문제입니다. 다시한번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오.. 떨어지고 있는거였군요
곰곰이
정확히 이해하셨습니다. 작성한 보람이 있네요 ㅎㅎ
쉽고 직관적인 설명이네요.
애매하게 그런가보다 했던 인공위성이 도는 궤도에 대해서 알기 쉬운 설명 감사해정
곰곰이
저도 글 작성하면서 애매했던 부분들이 많이 정리되었네요^^
기쁨평안
원심력과 중역이 일치해서 떨어지지 않는거 아닌가요..? 같은 이야기인가.....
넵, 같은 이야기입니다.
서로 방향이 다른 [원심력의 크기 + 중력의 크기 = 0] 을 유지하며 돌고 있습니다.
텐궁 낙하 라이브 멋진데요?
웬만한 별똥별 보다 훨씬 멋지네요.

워크래프트 스타폴 느낌인데... ㅎㅎ
곰곰이
우주정거장은 예산이 조원대를 왔다갔다할테니
불탈 때도 활활 멋진(?) 것 같아요 ㅎㅎㅎ
쒸익쒸익
사고 날까봐 이런 말 하기 그러지만 텐쿵 추락쇼 멋지네요 ㄷㄷㄷ
곰곰이
ㄷㄷㄷ 우주 영상들이 스케일 크고 생소해서 보면 볼 수록 재밌습니다.
4월 톈궁 떨어질 때 실시간으로 낙하쇼 영상 모아 포스팅 했었으면 흥했을 듯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700 7
15351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22 + 토비 25/04/02 438 26
15350 오프모임[마감]4월 5일 5시 학동역 세종한우 갑시다. 16 송파사랑 25/04/01 613 6
15349 정치젊은 공화국의 미망 - 12·3 계엄과 장기 내란 3 meson 25/04/01 536 6
15348 경제[개업인사] 법률사무소 간성 김태웅 변호사 개업인사 117 + 김비버 25/03/31 1588 95
15347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 - 5시간 짧은 후기 2 kaestro 25/03/31 310 2
15346 사회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338 5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640 4
15344 경제[의료법인 회생절차 가이드(1)] 요양급여 및 본인부담금 채권 압류해제 어떻게 해야할까? 1 김비버 25/03/28 348 2
15343 정치(혐오주의) 생성형 AI는 예상보다 빠르게 극단주의를 퍼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12 명동의밤 25/03/27 1531 9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55 명동의밤 25/03/26 2099 12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전문가) 25/03/26 471 5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9 kien 25/03/25 1136 0
15339 일상/생각알중고백 7 당근매니아 25/03/25 736 6
15338 오프모임3/27(목) 신촌서 봅시다아 26 나단 25/03/25 782 0
15337 일상/생각평범한 동네 이야기 4 nm막장 25/03/24 502 7
15336 도서/문학[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358 9
15335 일상/생각와이프한테 보낼 보고서 써달라고 했습니다. 클로드한테 ㅋㅋㅋㅋ 6 큐리스 25/03/24 782 2
15334 정치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한 여야합의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 9 파로돈탁스 25/03/24 981 1
15332 일상/생각감자와 당근의 이야기입니다~~ 7 큐리스 25/03/24 468 0
15331 일상/생각기분 좋은 하루를 기록하기 3 골든햄스 25/03/22 492 11
15330 일상/생각국민연금 내기 싫다, 고갈되면 나는 헛돈 낸 게 아니냐는 친구의 말을 듣고.. 15 타치코마 25/03/21 1741 5
15329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795 23
15328 기타한화에어로 이것들이 유증을 하는군요. 이참에 유상증자 관련 몇가지 아는 것들 이야기 해봅니다. 17 동네주방장 25/03/21 1146 2
15327 정치헌재 선고 시점, 인용/기각 인원에 따른 짧은 생각 9 kien 25/03/21 96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